•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psychology

검색결과 639건 처리시간 0.034초

다차원척도법으로 알아본 음료 TV광고 인식구조: 주의 속성을 중심으로 (Cognitive structure of TV drink advertisement based on multidimensional scaling)

  • 김은영;이훈재;정상철
    • 인지과학
    • /
    • 제25권1호
    • /
    • pp.25-49
    • /
    • 2014
  • 본 연구는 한 제품 군(음료)의 다양한 TV 광고들을 대상으로 광고 수용자들이 어떤 속성을 중심으로 광고를 인식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차원척도법을 사용하여, 14개의 음료 광고들의 각 쌍에 대한 광고 수용자의 유사성 평정에 근거한 광고들의 포지셔닝 맵을 도출하였다. 광고 수용자의 인식 구조를 반영하는 포지셔닝 맵의 차원을 알아보고자 각 광고에 대한 주의 요소, 태도, 구매의도에 대한 평정치와 포지셔닝 맵 상의 각 광고 위치 좌표 간의 상관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음료 광고인식 차원은 내용에 대한 주의, 색상, 움직임에 대한 주의 요소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특히, 주의 요소들 중 내용에 대한 주의가 강조될수록 광고에 대한 감성적, 행동적 태도가 긍정적으로 형성되었으며, 구매 의도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주의를 끄는 내용이 담긴 광고가 소비자의 긍정적인 태도와 관련이 높음을 시사한다.

한국 노인의 주관적 감각장애와 인지기능 간 관계: 2017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The Association between Self-Reported Sensory Impairment and Cognitive Funct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Results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the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Older Koreans)

  • 배수현;김기연
    • 한국노년학
    • /
    • 제39권2호
    • /
    • pp.389-404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감각장애와 인지기능 간의 관계 조사이다. 연구방법은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10,082명에 대한 주관적 감각장애에 대한 평가 자료와 MMSE-DS를 통한 인지기능 간 관계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시력, 청력, 구강 기능에 대해 주관적 불편감을 보고할수록 인지기능 감소의 위험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청력, 구강에 대한 불편감은 치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다른 감각기능에 비해 청력 불편감이 치매의심 집단의 인지기능과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의 감각기능을 정부 차원에서 관리할 필요성이 있으며, 노인 스스로 감각기능의 신체적 변화를 지각하고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아울러 노인의 건강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IT컨설팅에서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에 관한 연구 (Cognitive and Affective Trust in IT Consulting Service)

  • 박준기;조철현;김한별;이정우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9-54
    • /
    • 2013
  • IT consulting is becoming a norm rather than exception in this age of smart work and information revolution. As IT consulting is one of the knowledge intensive services requiring high credence on both sides, maintaining a good trustful relationship is critical in sustenance of strategic partnership between business firms and IT service firms. Trust is known to be one of the salient constructs in service relationships. In this study, building from the social psychology literature, trust is conceptualized as two dimensions : cognitive and affective trust. Using two dimensions of trust as mediators, a research model is constructed for IT consulting specific context : relationship continuance intention as the dependent construct while expertise, service performance, reputa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value similarity as antecedents of cognitive and affective trust. 145 data points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IT service client project managers retrospectively asking their experience with IT consultants. Findings suggest that cognitive trust is associated with perceived level of expertise and service performance while affective trust with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value similarity, respectively. Interestingly, the paths from reputation are foun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owards both dimensions of trust, indicating IT service context would be more practically outcome oriented than any other professional service context. Also, cognitive trust seems to maintain stronger influence on relationship continuance intention as anticipat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at the end.

인지적 통제 과정에 미치는 노화의 비대칭적 영향: ERP 연구 (Asymmetric effect of aging on cognitive control processes: An ERP study)

  • 진영선;김현옥
    • 인지과학
    • /
    • 제28권4호
    • /
    • pp.245-265
    • /
    • 2017
  • 최근 인지적 통제에 대한 연구들은 최적의 통제 수준이 보상과 비용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보상이 가지는 가치는 주관적이며 이에 따라 최적의 신호 강도도 달라진다. 우리는 인지적 통제에 대한 노화의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들이 비일관적인 이유가 노인이 탄력적으로 통제 신호를 조절한 결과일 수 있다고 보았다. 다시 말해, 노인은 최적의 통제 수준을 결정하는 능력을 잘 유지하고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전대상회의 역할로 알려져 있다. 반면 인지적 통제에서 노화에 따른 기능의 감퇴는 주로 규칙 표상의 유지와 억제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주로 외측전전두피질이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청년과 노인에게 보상의 유형을 조절한 Go-Nogo 과제를 수행하게 하여 각 보상 조건에서 행동결과와 ERN(Error-Related Negativity) 크기를 비교하였다. 두 집단 모두는 각 연령에게 가장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조건에서 가장 뛰어난 행동 수행과 가장 큰 ERN 크기를 나타내었다. 또한 노인은 d'과 정확률에서는 연령차를 나타내었으나 ERN의 크기에서는 연령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인지적 통제의 각 과정에 대한 노화의 영향이 상이할 수 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에서의 인지적 공감 및 정서적 공감의 신경 상관물 (Neural Correlates of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in Pati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정승원;손정우;이승복;김혜리;이상익;신철진;김시경;주가원;최상철;김양렬;구영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7권3호
    • /
    • pp.196-206
    • /
    • 2016
  • Objectives: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re considered to have problems with empathy. It has recently been suggested that there are two systems for empathy; cognitive and emotional. We aimed to investigate the neural response to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and elucidate the neurobiological aspects of empathy in patients with ASD. Methods: We recruited patients with ASD (N=17, ASD group) and healthy controls (HC) (N=22, HC group) for an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All of the subjects were scanned while performing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tasks. The differences in brain activation between the groups were assessed by contrasting their neural activity during the tasks. Results: During both tasks, the ASD group showed greater neural activities in the bilateral occipital area compared to the HC group. The ASD group showed more activation in the bilateral precunei only during the emotional empathy task. No brain regions were more activated in the HC group than in the ASD group during the cognitive empathy task. While performing the emotional empathy task, the HC group exhibited greater neural activities in the left middle frontal gyrus and right anterior cingulate gyrus than the ASD group.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brain regions associated with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in ASD patients differed from those in healthy individu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ASD might have defects both in cognitive empathy and in emotional empathy.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를 대상으로 한 긍정성 증진을 위한 단기 성격 강점 워크숍의 효과 (Effects of Brief Character Strength Workshop for Enhancement of Positivity to Psychiatrists)

  • 권예지;이지은;백경희;노재흥;채정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5-161
    • /
    • 2015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a single-session, positive psychology-based, strength-enhancing workshop for psychiatrists. The program is composed of lecture about positive psychology and workshop activities for identifying and utilizing character strengths. Methods : A total of 42 psychiatris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rogram consisted of a lecture about positive psychology and workshop activities for identifying and utilizing character strengths. Results of a positive resources test, given before and after the session, were used to assess changes in the personal positive resources of the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e program. Results : We noted significant increases in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life, positive affect, gratitude, acceptance, positive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rientation of life, growth, spirit, autonomy, social support, and care factors after completion of the program. On additional analysis, spirit and care scores of female participant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male participants's. Conclusion : The findings are meaningful in verifying the efficacy of a short-term intervention to improve psychiatrists's positive resources.

그 말은 진실일까?: CBCA의 진실 탐지 효용성에 대한 메타분석적 고찰 (Is it true?: A Meta-analysis on the Efficacy of CBCA in Detecting Truths)

  • 김혜진;이상민;허태균;최승혁
    • 한국심리학회지:법
    • /
    • 제12권2호
    • /
    • pp.121-149
    • /
    • 2021
  • 진술의 진실성을 평가하는 절차인 진술타당도분석(Statement Validity Analysis: SVA)은 국내외 범죄 수사와 법정 상황에서 활용되고 있다. SVA 절차 중 내용분석 단계에서는 준거기반내용분석(Criteria-Based Content Analysis: CBCA) 준거를 사용하여 진술에서 실제 경험에 기반하였을 때 나타나는 특징들이 현출되는지를 평가한다. CBCA 준거의 변별력과 효과크기에 대한 국내 연구는 다양한 패러다임으로 이루어졌지만, 그 연구 결과들의 일관성은 여전히 검증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관련 연구가 시작된 2004년부터 2020년까지 수행된 CBCA 준거 관련 연구들(14개의 연구자료)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CBCA 총점이 진실과 작화를 성공적으로 변별해내고 있었다. 준거별로는, 네 개의 준거(3번, 4번, 10번, 12번; 모두 인지적 준거)에서 정적(+)인 효과크기가 유의미했다. 그러나 18번 준거(동기적 준거)는 CBCA의 기본 가정과는 반대로, 효과크기가 부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효과분석이 가능한 열한 개의 준거(2번~9번, 12번, 13번, 15번) 각각에 대해 잠재적 조절변인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일부 준거들에 대하여 진술인의 성별 및 신분, 연구 유형 및 설계, 사건 유형, 평가자 수, 출판 여부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진실여부를 타당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CBCA 총점보다는 세부 준거, 특히 인지적 준거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며, 잠재적 조절변인의 영향 가능성 또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관련하여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