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Behaviors Therapy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2초

청소년의 비행 문제 감소를 위한 롤플레잉게임형식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Development of RPG-based Cognitive Behavioral Group Therapy for Reducing Delinquency in Adolescents)

  • 배성훈;유성은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3호
    • /
    • pp.471-49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비행 청소년의 비행 행동을 감소시키고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 정서조절 능력, 자기 통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행동치료의 치료 구성요소들을 롤플레잉게임(Role Playing Game)의 형식으로 구성하여 치료 효과 뿐 아니라 프로그램 참여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중학교에서 비행 문제로 의뢰된 36명의 청소년들과 이들의 담임교사 18명이었다. 청소년들은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무선 배정되었고 담임교사 역시 청소년들의 무선 배정에 의해 함께 무선 배정되었다. 실험집단에는 RPG형식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이 수행되었고 비교집단에는 문제해결 기술 집단치료 프로그램이 수행되었다. RPG형식 인지 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에 할당된 담임교사에게는 매 회기 후에 청소년 지도와 관련된 교사 교육을 실시하였다. 문제해결 기술 집단치료 프로그램에 할당된 담임교사는 교사 교육을 받지 않고 사후 및 추후 측정에만 관여하였다. 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비행행동,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 정서조절, 자기 통제 수준을 사전, 사후, 추후(두 달 후)에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사후 검사에서 실험집단의 비행행동은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되었고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 정서조절 능력, 자기 통제력은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프로그램이 종결된 시점에서 한 달이 지난 후에 재측정을 했을 때에도 비행 행동,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 정서조절 능력 및 자기 통제력 수준이 모두 사후 평가 때와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더불어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프로그램 만족도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RPG 형식의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비행 문제 감소 및 비행 문제 감소와 관련된 기술 및 전략의 향상에 효과적이면서도 비행 청소년들이 흥미를 갖고 참여할 수 있는 집단치료 프로그램임을 보여준다.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무게감 있는 조끼 착용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Weighted Vest in Behavioral Problem for the Sensory Modulation Disorder)

  • 한미애;김지연;장기연;박미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3
    • /
    • 2010
  • 목적 : 본 연구는 주변 환경에 민감하고 감정기복이 심한 감각조절장애 아동에게 무게감 있는 조끼 착용을 통한 고유수용성 감각을 제공하여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연구 대상자는 일반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만 7세 남아로 연구설계는 ABA'단일사례연구를 사용하였고, 14회기 실험을 실시하였다. 중재기간(B)동안 1.3kg의 무게를 첨부한 조끼를 착용하고 학습인지교육을 받았다. 결과 : 치료회기가 진행될수록 의자에서 엉덩이를 떼고 일어나거나 몸을 앞/뒤, 좌/우로 흔드는 경우 및 엄지손가락 을 입에 넣기, 손등 입으로 가져가기, 손장난하기 등 행동적 측면에서의 문제행동은 점차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연구결과 무게감 있는 조끼를 착용한 후 아동의 문제행동이 회기가 지날수록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무게감 있는 조끼가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감각통합치료의 효과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데 본 연구설계 및 중재기간상 제한점이 있어서, 무게감 있는 조끼가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었다기 보다는 감각통합치료를 지속적으로 실시한 결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설계의 변형이나 연구회기의 증가를 통해 무게감 있는 조끼가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지속하는지에 대해 명확히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고, 감각조절장애 아동에게 무게감 있는 조끼를 착용시키는 것에 대한 적용방법, 무게, 적용시간에 대한 효율적인 프로토콜을 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외상후스트레스장애를 위한 마음챙김기반 치료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홍현미;정영은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
    • /
    • 2022
  • Mindfulness has been widely researched in mental, physical health, and healthy populations. The effectiveness of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have also been demonstrated in research studies. This report reviews the research on mindfulness based interventions currently employed for the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Mindfulness-based theories postulate that symptoms of PTSD are developed and maintained by experiential avoidance and non-mindful behaviors. Recent emerging work indicates that mindfulness based interventions, such as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and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ay improve the symptoms of PTSD. Further advances are needed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ability of mindfulness based interventions to target specific symptom dimensions of PTSD and the psychological/neurobiological mechanisms of actions underlying these interventions.

ASD 아동의 초기 사회기술 향상을 위한 인지-운동 통합 기반 악기연주 중재 (Cognitive-Motor Interaction-Based Instrument Playing for Improving Early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유현경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0권1호
    • /
    • pp.75-9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학령전기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을 대상으로 인지-운동 통합 기반 악기연주 중재를 제공하여 초기 사회기술이 향상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평균 만5.6세의 ASD 아동 총 9명로, 개별로 30분씩 주 2회, 총 12회의 세션에 참여하였다. 중재는 자기 감각 증진 및 자기조절(1단계), 상호작용에 대한 의도 형성(2단계), 상호적 활동에 대한 수용(3단계), 상호적 맥락에서의 움직임 조정(4단계), 공동행동 수행(5단계)의 5단계로 구성되었다. 중재 전후 초기 사회-의사소통 평가 척도(ESCS) 내 과제를 참고해 공동주의 행동 및 상호작용 행동을 측정하였고, 참여 아동의 보호자가 사회적 반응성 척도(SRS-2)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또한, 타인(연구자)에 맞추어 움직임(드럼 연주)의 타이밍을 조절하는지 측정하는 사회적 동기화 과제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 ASD 아동은 초기 사회기술에 있어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사회적 동기화 과제에서도 동기화 반응 속도를 제외한 동기화 정확도 및 지속시간에 있어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SRS-2 척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장기간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SD 아동의 초기 사회기술 발달에 있어 인지-운동 통합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 결과는 인지-운동 통합 기반 악기 연주가 사회적 정보를 인지적으로 처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맥락에서 움직임을 조정하는 과정의 측면에서 ASD 아동의 사회기술 발달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일부지역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 자각증상 인지 정도 및 경험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degree and experience of dental hygienists musculoskeletal symptoms)

  • 박정란;한동욱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41-151
    • /
    • 2009
  • Cognitive degre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experience was conducted following dental hygienists' health habits, heath state and working environment targeting dental hygienists who were working for the dental clinics in Masan-si, Changwon-si and Jinhae-si in Gyeongsangnam-do for one year or more.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1. Cognitive degree of musculoskeletal symptom following general characteristics was the highest among the subjects who were 40 years old or above. 2. As for the education level, cognitive degre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was high while prevalence was low,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education level was higher. 3. Cognitive degree of musculoskeletal symptom was high when the subjects exercised, and cognitive degree of musculoskeletal symptom and prevalence were significantly high when they are engaged in leisure activities or hobbies. 4.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was statistically high if they are afflicted with disease, if they feel burdened by their job, if they suffer from considerable physical fatigue, if they feel chronic fatigue or if they feel that their health state is poor. 5. Cognitive degree of musculoskeletal symptom and prevalence were higher,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number of years worked was higher. 6. Cognitive degree of musculoskeletal symptom was higher, but prevalence was lower when the time that they were seated was longer.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at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related to their job that afflicts the dental hygienists is not caused by one element, but it is possible to see that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results from the interaction of the diverse elements that are interrelated such as the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health habits and heath state, working environment and so forth including inappropriate work related movements. To this, dental hygienists need to improve their health habits so that they can form proper health habits that will ensure health in every day life on their own with the improvement of their every day life habit and positive self-evaluation to act o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education and publicity, and measures to prevent and to manage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overall need to bepursued after in an active manner.

  • PDF

비정상 질병 행동 (Abnormal Illness Behavior)

  • 송지영
    • 정신신체의학
    • /
    • 제4권1호
    • /
    • pp.138-145
    • /
    • 1996
  • 동일한 질병을 갖고 있거나, 같은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의 경우라도 병과 관련된 행동은 사람마다 각기 다르다. 이러한 행동 양식을 잘 이해하는 것은 병의 진단과 치료 방법, 치료 순응도와 치료 효과를 결정하는 데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비정상적인 질병 행동은 병자 역할이 핵심이 되며, 간혹 병을 부정하거나 무시하는 반대의 경우도 있다. 비정상적인 질병행동에 대한 평가는 기질적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여러 기능성 장애를 규명하는 한가지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인지 치료 내지는 재활, 직업 치료시에도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개념으로 알려져 있다. 향후 한국인에게 맞는 치료법의 개발을 위해서는 각 질병에 따른 의학 역사적 관점, 사회 문화적 요소가 어우러진 통합적인 질병 행동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이는 의료 경제 측면에서도 필수적인 내용이 될 것이다.

  • PDF

정신치료와 신경생물학적 연구결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therapy and Neurobiological Findings)

  • 오현영;박용천
    • 생물정신의학
    • /
    • 제19권1호
    • /
    • pp.1-8
    • /
    • 2012
  • The mechanism of psychotherapy is explained by the recent developments in neuroscience and neuroimag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psychotherapy and to discuss the future of psychotherapy improvement with the help of advances of the neurobiological findings in psychotherapy. For this study, we investigated a wide range of materials. We searched for various researches on psychotherapy, brain, and neurobiology.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psychodynamic psychotherapy, we investigated research findings o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terpersonal psychotherapy and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EMDR). Moreover, based on the actual experiences of treating patients, we speculated the neurobiological mechanisms of the process and results of psychotherapy. With the development of neuroscience, we are now able to understand the personal consciousness, unconsciousness and developmental process. Also subdividing the disease is made possible. Personalized treatment has become available, and we are able to predict the prognosis of patients. Our memories are composed by implicit memory and explicit memory. By psychotherapy, we can consciously remember explicit memory, and it becomes easier to explore implicit memory through free association. Through psychotherapy, we will also be able to learn the effect of acquired environment and experience. Psychotherapy is able to correct human behaviors by modifying the memories. Through the regulation of emotions, it becomes possible to modify the memories and correct the behaviors. In this process, doctor-patient relationship is the main factor which cause positive treatment effects. Furthermore imagination therapy or unconscious, non-verbal stimuli could bring about positive treatment effects. Now psychotherapy could be explained and studied by neuroscientific researches. In this sense, we could provide the direction of future advances in neuroscience by the neurobiological understanding of psychotherapy.

성인 비만 여성을 위한 체중조절 프로그램이 비만과 식행동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Weight Control Programs on Limiting Obesity and Improving the Eating Behaviors of Adult Obese Women)

  • 김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84-792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eight control programs on BMI, serum profiles,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s of adult obese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 adult obese women aged 30-65 years residing in Seoul. The weight control program for obese women included nutritional educatio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exercise for 12 weeks. The weight control experience of the subjects was 60.6%. They preferred physical exercise and diet restriction to weight control and 72.7%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 reasons for wanting to control their weight was health. The BMI of test subjects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from 28.3 to 27.1 after the 12 weeks of the weight control program. In addition, the % body fat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from 36.4% to 34.5% after completion of the weight control program. SGPT levels in the serum wer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fter the program. Triglyceride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94.9 mg/dL to 98.1 mg/dL (p<0.01) and the HDL cholesterol level significantly increased (p<0.01) from 55.8 mg/dL to 60.0 mg/dL after completion of the weight control program. Nutritional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01). In addition, the eating self-efficacy of the subject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1); however, the food diversity scores were not changed after the program.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eight control program for adult obese women may be effectively used to promote weight reduction and improve nutritional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

국내·외 중등도 및 중증 치매 노인 대상 음악 중재 연구 고찰 (A Review of Music Intervention Studies With Elderly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Dementia)

  • 이현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9권2호
    • /
    • pp.1-26
    • /
    • 2022
  • 본 연구는 중등도 및 중증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한 국내·외 음악 중재 연구를 고찰하여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참여자의 임상적 특성이 고려된 음악 중재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검색을 통해 선정된 17편의 문헌을 분석한 결과, 종속 변인은 행동심리증상 등 심리·정서적 변인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참여유형을 살펴보면 내담자의 활동 참여가 요구되는 적극적 유형이 감상만 하는 수용적 유형보다 많았다. 중재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과반수가 라이브 음악, 친숙하고 선호하는 음악 선곡, 리듬기반 연주활동을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 유형의 음악중재 내용을 살펴보면 음악에 맞춰 그룹 연주나 노래를 하며 유발되는 감정을 말하도록 하는 것으로 참여자가 중등도와 중증이 혼합된 경우와 중증 치매만인 경우 차이점이 없어 중증 치매가 지닌 기능적 한계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에서는 중증 치매 노인의 의미있는 음악경험을 위한 중재구성과 내담자의 치매 진행 정도에 따른 음악치료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Effects of Energy Conservation Strategies on Cancer Related Fatigue and Health Promotion Lifestyle in Breast Cancer Survivors: a Randomized Control Trial

  • Sadeghi, Elham;Gozali, Nahid;Tabrizi, Fatemeh Moghadda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0호
    • /
    • pp.4783-4790
    • /
    • 2016
  • Purpose: Cancer-related fatigue is frequently experienced by patients during and after therapy.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impact of energy conservation strategies and health promotion in breast cancer survivors. Method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intervention effect (n=69.0) with controls (n=66.0) based on routine oncology ward care. The intervention was five weekly sessions for groups of 6-8 breast cancer survivors. Data on fatigue and health promotion lifestyle were obtained before and after completion the intervention and then 8 weeks later for analysis of variance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Results: Our findings showed cancer-related fatigue to be reduced in the intervention group from pre- to post-intervention, and this persisted over the 8-weeks follow-up period (F = 69.8, p<0.001). All subscales of the cancer fatigue scale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with partial eta-squared values ranging from 0.15 (the smallest effect in cognitive fatigue) to 0.21 (the largest for affective fatigue). Changes in the health promotion life style indicated a significant promotion from pre- to post-intervention, and this again continued after 8-weeks follow-up (F = 41.6, p < 0.001). All six domains of a health promoting life style featured significantly elevated values, the largest effect being seen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 subscale (F=57.7, partial ${\eta}^2=0.21$, p<0.001) followed by physical activity (F=51.9, partial ${\eta}^2=0.18$, p<0.001). Conclusions: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decreasing cancer related fatigue and promoting a healthy life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