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gnitive Accuracy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33초

인지적 통제 과정에 미치는 노화의 비대칭적 영향: ERP 연구 (Asymmetric effect of aging on cognitive control processes: An ERP study)

  • 진영선;김현옥
    • 인지과학
    • /
    • 제28권4호
    • /
    • pp.245-265
    • /
    • 2017
  • 최근 인지적 통제에 대한 연구들은 최적의 통제 수준이 보상과 비용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보상이 가지는 가치는 주관적이며 이에 따라 최적의 신호 강도도 달라진다. 우리는 인지적 통제에 대한 노화의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들이 비일관적인 이유가 노인이 탄력적으로 통제 신호를 조절한 결과일 수 있다고 보았다. 다시 말해, 노인은 최적의 통제 수준을 결정하는 능력을 잘 유지하고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전대상회의 역할로 알려져 있다. 반면 인지적 통제에서 노화에 따른 기능의 감퇴는 주로 규칙 표상의 유지와 억제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주로 외측전전두피질이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청년과 노인에게 보상의 유형을 조절한 Go-Nogo 과제를 수행하게 하여 각 보상 조건에서 행동결과와 ERN(Error-Related Negativity) 크기를 비교하였다. 두 집단 모두는 각 연령에게 가장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조건에서 가장 뛰어난 행동 수행과 가장 큰 ERN 크기를 나타내었다. 또한 노인은 d'과 정확률에서는 연령차를 나타내었으나 ERN의 크기에서는 연령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인지적 통제의 각 과정에 대한 노화의 영향이 상이할 수 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A Study on the Effect of Pre-cue in Simple Reactions on Control-on-Display Interfaces

  • Lim, Ji-Hyoun;Choi, Jun-Young;Kim, Young-Su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63-569
    • /
    • 2011
  • Objective: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pre-cues informing the location of upcoming visual stimulus on finger movement response in the context of control-on-display interfaces. Background: Previous research on pre-cues focus on attention allocation and motion studies were limited to indirect control conditions. The design of this study aimed to collect data on the exact landing point for finger-tap responses to a given visual stimulus. Method: Controlled visual stimuli and tasks were presented on a UI evaluation system built using mobile web standards; response accuracy and response time were measured and collected as appropriate. Among the 16 recruited participants, 11 completed the experiment. Results: Providing pre-cue on the location of stimulus affected response time and response accuracy. The response bias, which is a distance from the center of stimulus to the finger-tap location, was larger when the pre-cue was given during a one-handed operation. Conclusion: Given a pre-cue, response time decreases, but with accuracy penalized. Application: In designing touch-screen UI's - more strictly, visual components also acting as controllers - designers would do well to balance human perceptu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strategically.

ASD 아동의 초기 사회기술 향상을 위한 인지-운동 통합 기반 악기연주 중재 (Cognitive-Motor Interaction-Based Instrument Playing for Improving Early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유현경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0권1호
    • /
    • pp.75-9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학령전기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을 대상으로 인지-운동 통합 기반 악기연주 중재를 제공하여 초기 사회기술이 향상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평균 만5.6세의 ASD 아동 총 9명로, 개별로 30분씩 주 2회, 총 12회의 세션에 참여하였다. 중재는 자기 감각 증진 및 자기조절(1단계), 상호작용에 대한 의도 형성(2단계), 상호적 활동에 대한 수용(3단계), 상호적 맥락에서의 움직임 조정(4단계), 공동행동 수행(5단계)의 5단계로 구성되었다. 중재 전후 초기 사회-의사소통 평가 척도(ESCS) 내 과제를 참고해 공동주의 행동 및 상호작용 행동을 측정하였고, 참여 아동의 보호자가 사회적 반응성 척도(SRS-2)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또한, 타인(연구자)에 맞추어 움직임(드럼 연주)의 타이밍을 조절하는지 측정하는 사회적 동기화 과제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 ASD 아동은 초기 사회기술에 있어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사회적 동기화 과제에서도 동기화 반응 속도를 제외한 동기화 정확도 및 지속시간에 있어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SRS-2 척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장기간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SD 아동의 초기 사회기술 발달에 있어 인지-운동 통합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 결과는 인지-운동 통합 기반 악기 연주가 사회적 정보를 인지적으로 처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맥락에서 움직임을 조정하는 과정의 측면에서 ASD 아동의 사회기술 발달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전자펜을 활용한 인지기능장애 환자 검사 시스템 (Electronic Pen-based Cognitive Dysfunction Assessment System)

  • 신상호;지혜미;박재현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7-23
    • /
    • 2018
  • 본 논문은 인지기능장애를 동반한 환자를 검사하고, 재활치료와 인지기능 평가를 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전자펜 기반의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에 병원에서 널리 사용 중인 종이와 펜을 활용한 라인추종시험(Line tracing test; LTT)을 그대로 응용함으로써, 환자와 치료사가 거부감 없이 새로운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의 정확성과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 전자펜을 활용한 측정치와 사람이 직접 측정한 측정치 간의 신뢰도가 0.90으로, 효과크기는 0.38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전자펜을 활용한 검사 결과를 충분히 신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같이 신뢰성을 유지하는 반면, 검사 결과를 산출하는 시간에 있어서 사람이 직접 산출하는 경우 평균 48.2초가 소요되는데 반하여 전자펜을 기반으로 하는 방식의 경우 실시간으로 평가 결과가 기록되며 검사 종료 후 즉시(1초이내) 결과가 산출되기 때문에 시간 효율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은 파킨슨병, 심장마비 등으로 인한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장애 검사에 활용될 수 있다.

인지 무선 네트워크에서 보고 오류를 고려한 OR 규칙 기반의 협력 스펙트럼 센싱 기법 (Or-Rule Based Cooperative Spectrum Sensing Scheme Considering Reporting Error in Cognitive Radio Networks)

  • 최로미;변윤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A권1호
    • /
    • pp.19-27
    • /
    • 2014
  • 최근 주파수 자원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이미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재사용하여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인지 무선 기술(Cognitive Radio, CR)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CR은 주파수 대역의 사용현황에 따라 기회적으로 사용자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므로 이를 위한 정보를 얻는 센싱 단계가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센싱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은 CR에서의 중요 이슈가 되며 이를 위해 다수의 단말이 협력하여 1차 사용자의 스펙트럼 점유 여부를 검출하는 협력 스펙트럼 센싱이 고려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협력 스펙트럼 센싱 환경에서 각 사용자의 센싱 정보가 융합 센터(Fusion Center, FC)로 보고되는 채널의 오류 확률을 고려하는 OR 규칙 기반의 협력 스펙트럼 센싱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보고 오류 확률을 통해 협력 센싱에 참여하는 사용자 수를 제한함으로써 기존 기법에서 나타나는 오경보 확률의 제한을 완화시킨다.

뇌 기반 진화적 접근법을 적용한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 자유탐구에서 인지적 영역 분석 (Analyses on Elementary Students' Cognitive Domain in Free Science Inquiry Activities Applying a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 백자연;임채성;김재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4호
    • /
    • pp.773-783
    • /
    • 2014
  • In National Curriculum of Science revised in 2007, the Free Inquiry was newly introduced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and to foster creativity by having students make their own question and find answer by themsel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in cognitive domain, appeared in the processes of performing the Free Inquiry activities applying a brain-based evolutionary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For this study, 106 fif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and they performed individually Free Inquiry activities. In order to characterize of the diversifying, estimating-evaluating-executing, and extending-applying activities in cognitive domain (C-DEF), the Free Inquiry diary constructed by the students, observations by a researcher, and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were analyz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t C-D step, many students (71.5%) had difficulty in searching the meanings of their results and the contents of interpretations were at the level of simple description of their results. A few students (15.2%) derived interpretations based on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pecific variable and result. Also, the tendency that the numbers of interpretation about meaning of their results were increased as the scores of science attitude and achievement was appeared. Second, at C-E step, the students showed tendency of considering facts exactly explaining inquiry topic and being appliable to daily life rather than objectivity or accuracy of scientific knowledge. Third, at C-F step, there were three types of extension and application: simple repetition (8.2%), extension (64.0%), and upward application (17.6%) type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supporting appropriate interpretation, evaluation, and application of inquiry results are discussed.

리듬 산출 검사 어플리케이션 Beat Processing Device 개발 (Development of Beat Processing Device for Rhythm Production Assessment)

  • 정현주;문주형;한은영;최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215-22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리듬 산출 시 수행 정확도를 정밀하게 수집, 저장하기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Beat Processing Device(이하 BPD)' 개발에 있다. 이를 위하여 총 3단계의 개발 과정을 거쳤다. 1단계에서는 문헌 조사를 통해 기존 노인 인지 기능 훈련을 위해 사용된 리듬꼴들을 수집, 비교, 분석함으로써, 리듬 산출 과제 구성에 필요한 4개의 리듬꼴 문항을 확정하였다. 2단계에서는 확정한 4개의 리듬꼴 문항이 탑재된 iOS 기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으며, 예비 테스트를 통해 디바이스 종류, 사용할 악기 음색, 구현할 실험 종류 등을 최적화하였다. 마지막 단계인 3단계에서는 노인 60명을 대상으로 본 기기와 미디(MIDI)로 수집한 리듬 산출 데이터를 비교하여, BPD의 실효성과 타당성, 정밀함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BPD는 인지기능 강화를 위한 리듬 수행력 증진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다양한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usical Aptitude as a Variable in the Assessment of Working Memory and Selective Attention Tasks

  • Nisha, Kavassery Venkateswaran;Neelamegarajan, Devi;Nayagam, Nishant N.;Winston, Jim Saroj;Anil, Sam Publius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78-188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influence of musical aptitude on cognitive test performance in musicians is a long-debated research question. Evidence points to the low performance of nonmusicians in visual and auditory cognitive tasks (working memory and attention) compared with musicians. This cannot be generalized to all nonmusicians, as a sub-group in this population can have innate musical abilities even without any formal musical training. The present study aimed to study the effect of musical aptitude on the working memory and selective attention. Subjects and Methods: Three groups of 20 individuals each (a total of 60 participants), including trained-musicians, nonmusicians with good musical aptitude, and nonmusicians with low musical aptitude,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Cognitive-based visual (Flanker's selective attention test) and auditory (working memory tests: backward digit span and operation span) tests were administered. Results: MANOVA (followed by ANOVA) revealed a benefit of musicianship and musical aptitude on backward digit span and Flanker's reaction time (p<0.05). Discriminant function analyses showed that the groups could be effectively (accuracy, 80%) segregated based on the backward digit span and Flanker's selective attention test. Trained musicians and nonmusicians with good musical aptitude were distinguished as one cluster and nonmusicians with low musical aptitude formed another cluster, hinting the role of musical aptitude in working memory and selective attention. Conclusions: Nonmusicians with good musical aptitude can have enhanced working memory and selective attention skills like musicians. Hence, caution is required when these individuals are included as controls in cognitive-based visual and auditory experiments.

Musical Aptitude as a Variable in the Assessment of Working Memory and Selective Attention Tasks

  • Nisha, Kavassery Venkateswaran;Neelamegarajan, Devi;Nayagam, Nishant N.;Winston, Jim Saroj;Anil, Sam Publius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5권4호
    • /
    • pp.178-188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influence of musical aptitude on cognitive test performance in musicians is a long-debated research question. Evidence points to the low performance of nonmusicians in visual and auditory cognitive tasks (working memory and attention) compared with musicians. This cannot be generalized to all nonmusicians, as a sub-group in this population can have innate musical abilities even without any formal musical training. The present study aimed to study the effect of musical aptitude on the working memory and selective attention. Subjects and Methods: Three groups of 20 individuals each (a total of 60 participants), including trained-musicians, nonmusicians with good musical aptitude, and nonmusicians with low musical aptitude,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Cognitive-based visual (Flanker's selective attention test) and auditory (working memory tests: backward digit span and operation span) tests were administered. Results: MANOVA (followed by ANOVA) revealed a benefit of musicianship and musical aptitude on backward digit span and Flanker's reaction time (p<0.05). Discriminant function analyses showed that the groups could be effectively (accuracy, 80%) segregated based on the backward digit span and Flanker's selective attention test. Trained musicians and nonmusicians with good musical aptitude were distinguished as one cluster and nonmusicians with low musical aptitude formed another cluster, hinting the role of musical aptitude in working memory and selective attention. Conclusions: Nonmusicians with good musical aptitude can have enhanced working memory and selective attention skills like musicians. Hence, caution is required when these individuals are included as controls in cognitive-based visual and auditory experiments.

종합 신경인지기능 평가(Comprehensive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CNFT)의 표준화 예비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Comprehensive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 박진혁;김학병
    • 재활치료과학
    • /
    • 제6권1호
    • /
    • pp.55-69
    • /
    • 2017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 신경인지기능 평가인 Comprehensive Neurocognitive Function Test(CNFT)의 표준화 자료를 얻고 신뢰도와 공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CNFT는 기억력, 집중력, 감각,운동협응, 전두엽 및 고위인지기능을 평가하는 것으로 결과는 전산화되어 일관성 있고 자동으로 처리된다. 연구대상은 표준화 자료를 얻고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조사에서 20대부터 80대 이상까지 서울특별시와 대구시에 거주하는 정상 성인 140명이 참여하였다.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CNT)와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조사에는 정상 성인 40명이 참여하였다. 결과 : 정확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며, 반응속도는 늦어졌다. 또한 영역별 점수 분석결과 기억력, 전두엽 및 고위인지기능 점수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2주 간격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r=.48~.85로 나타났고 두 검사 사이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CNT와의 세부 영역과의 상관계수는 r=.67~.79이다(p<.05). 결론 : 종합 신경인지기능 평가인 CNFT의 표준자료와 해석기준이 마련되었다. CNFT는 인지기능에 문제를 평가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평가도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