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on & Emotion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31초

VMD 적합성이 소비자의 감정적, 인지적, 행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 감정.인지이론과 인지.감정이론에 근거한 모델 검증 - (The Effect of VMD Image Appropriateness on Consumers' Affective, Cognitive, and Conative Responses - Testing Models based on the Emotion-Cognition Theory and the Cognitive Theory of Emotions -)

  • 박민정;이소은
    • 복식문화연구
    • /
    • 제17권3호
    • /
    • pp.459-471
    • /
    • 2009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VMD image appropriateness in apparel shopping contexts. Two competing models are utilized. The first model is developed from the emotion-cognition theory which explains that environmental cues(i.e., VMD image appropriateness) generate consumers' emotion, and in turn, consumers' behaviors. The second model is developed based on the cognitive theory of emotions and posits that environmental cues stimulates consumers' cognitive perceptions of retail environments, subsequently influencing consumers'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 A 2(VMD image appropriateness: high vs. low) 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 experiment was conducted. Female college students(n=592)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tudy found that the emotion-cognition model better explains the effect of VMD image appropriateness on consumers'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responses.

  • PDF

자기조직 신경망을 이용한 인지 및 감성 특성의 직관적 시계열 예측과의 상관성 조사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on and Emotion Charateristics and Judgmental Time-Series Forecasting Using a Self-Organizing Neural Network)

  • 유현중;박흥국;송병호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1권4호
    • /
    • pp.175-186
    • /
    • 2001
  • Though people frequently rely on intuition in managing activities, they rarely use it in developing effective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s. In this report, we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characteristics of cognition and emotion and judgmental time-series forecasting accuracy, and compare their strengths by using a self-supervised adaptive neural network. Through the experiments, we hope to help find a desirable atmosphere for decision-making. Our experiments showed that both cognition characteristics and emotion characteristics had correlations with the time-series forecasting accuracy, and that cognition characteristics had larger correlation than emotion characteristics. We also found that conceptual style had larger correlation than behavioral or analytical styles with the accuracy.

  • PDF

패션매장에서 판매원의 특성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A Study of Consumers' Responses to the Attributes of Salespeople in Fashion Retail Stores)

  • 서민정;전대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09-519
    • /
    • 2018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alespeople' attributes (i.e., empathy, availability, professional appearance) on consumer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A conceptual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stimulus-organism-response (S-O-R) theory and cognition-emotion theory. A total of 54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online and some incompletely written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Because of the high possibility of memory distortion, only the questionnaires (n=220) written by those who visited fashion stores within one week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PLS analyses demonstrated that 1) salespeople's empathy directly affected consumers' shopping emotion; 2) salespeople's availability and professional appearance indirectly affected consumer's shopping emotion through store image; 3) consumers' shopping emotion positive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salespeople were identified in order to allow the consumers visiting the fashion store to buy the fashion products naturally and the basic directions of sales manuals for the salespeople in the fashion store were presented. It is also hoped that academic researchers will be able to use the characteristics of salespeople as the main data to understand how they affect consumers'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s and how they are connected to purchase behavior.

Emotion Architecture 적용 사례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Cases of Application of Emotion Architecture)

  • 윤호창;오정석;전현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3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7-453
    • /
    • 2003
  • Emotion을 이용한 컴퓨터 인공 지능, 그래픽, 로봇, 상호 작용 등 다양한 분야에 나타나고 있다. 이에 각 분야에 적용되어진 이론적 배경과, 적용의 특징, 기술 등을 본 글에서 다루고자 한다. 먼저 이론적 접근방식에 있어서는 심리학적 접근과, 사람의 감정 연구, Behavior-Bas설 접근, 생물 행동적 접근, 등이 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로는 학습 알고리즘, Neural Network 의 Self-Organizing Maps, Fuzzy Cognition Maps등이 있다. 적용 분야로는 Software Agent, Agent Robot과 Entrainment Robot 등이 있다. 본 글에서는 이들의 적용 사례들을 살펴보고 Emotion Architecture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 PDF

자기 조직 신경망에 의한 인지/감성 유형의 시계열 직관 예측과의 상관성 조사 (Investigation of Correlation Between Cognition/Emotion Styles and Judgmental Time-Series Forecasting Using a Self-Organizing Neural Network)

  • 유현중;박흥국;조태경;박종일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2권3호
    • /
    • pp.29-38
    • /
    • 2005
  • 직관력은 의사결정시 자주 의존되나, 효과적인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의 개발 목적으로는 거의 고려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의사결정자의 인지특성 및 감성특성과 시계열 직관 예측 간의 상관성을 자기조직 인공신경망에 의해 확인하고 비교함으로써, 시계열 직관 예측에 영향을 주는 의사결정자의 인지적 특성과 감성적 특성을 도출하고 궁극적으로는 효과적인 의사결정 환경을 조성하는데 공헌하고자 한다. 이 실험에 사용하는 인공신경망은 자기감독적응 알고리듬을 이용하는데, 이의 특징은 학습 기간 중 자기조직 층의 뉴런 클러스터 간에 정보를 교류함으로써 본질적으로 입력 벡터간의 상관성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험결과, 인지 특성과 감성 특성이 모두 시계열 예측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인지 특성이 감성 특성보다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개념적 인지유형이 분석적 또는 행동적 인지유형보다, 불쾌-이완 감성유형이 쾌활-각성 감성유형보다 시계열 직관 예측의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방정신요법과 서구 정신요법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Psychotherapies between Western and Oriental Medicine)

  • 이승기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45-157
    • /
    • 2010
  • Objectives: Oriental psychotherapy and western psychotherapy in Korea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develop a new oriental psychotherapeutic model for modern Korean. Methods: Oriental psychotherapy and Western psychotherapy were compared and investigated in some viewpoints such as cognition, behaviour, emotion and ultimate purposes for the therapies. Cultural differences are examined, too. Results: There are clear differences between two psychotherapies. It seems that cognition is more important than behaviour or emotion in western psychotherapy. On the other hand, emotion is more important than cognition or behaviour in oriental psychotherapy. Ultimate purposes for the therapies are also different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Conclusions: New oriental psychotherapeutic model considering cultural differences and merits of two therapies is needed.

감정 상태에 따라 색 오버레이가 언어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lor Overlay on Reading Comprehension Depending on Emotional State)

  • 박윤;양장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332-343
    • /
    • 2016
  •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색 정보를 획득하고 색 정보를 다양한 콘텐츠와 결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들이 등장하고 있다. 색은 이미지의 요소로서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주거나 우리의 감성에 영향을 준다. 또한, 색 자극에 의한 감성의 변화나 감각의 변화는 인지 기능에 변화를 가져온다. 본 연구는 인지 기능에 있어서 사용자의 감성에 따른 색 오버레이의 효과에 대해 조사한다. 이 목적에 따라, 20대 성인 남녀 각각 10명을 대상으로 영상을 이용하여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을 유도 한 후에 적색/주황색/녹색 오버레이를 적용했을 때의 문제 풀이 능력을 테스트 하였다. 실험 분석 결과 긍정적인 감정 상태에서는 적색이 문제 풀이 능력을 저하시켰고, 부정적인 감정 상태에서는 녹색이 문제풀이 능력을 향상 시켰다. 또한, 색 오버레이 적용애 따른 초기 감정 상태가 인지에 주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색 오버레이 적용시에는 초기 감정 상태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반면, 색 오버레이 미적용시에는 긍정적 감정 상태에서 언어 인지 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감정 상태에서 보다 향상됨을 보였다.

시청각 자극을 이용한 공간인지 분석 (Analysis of Spatial Cognition using the Visual-Auditiory Stimulation)

  • 심해영;정우석;양길태;김철생;김남균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9-20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시각 자극, 청각 자극, 시청각 자극을 이용하여 인간의 공간인지 능력과 감각-운동 협응 정도를 분석하였다. 피험자는 과거에 시력과 청력장애를 경험하지 않은 20대의 정상성인 남녀 각각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EOG, EMG등의 생체신호와 3차원 좌표추적장치(FASTRAK)를 이용하여 지시운동시 손가락의 위치좌표를 검출하였다. 그 결과 시청각 자극에서 가장 작은 인식오차를 보였고 공간인지에 있어서 시각이 청각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뇌졸중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인식의 차이 (Emotional Recogni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roke Patients)

  • 박성호;김민호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3-69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emotion recogni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roke patients. Method: The subjects consisted of 38 stroke patients receiving rehabilitation at S Hospital in Busan. Used the eMETT program to assess emotional cognition. Result: The age and duration of diseas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 recognition ability score, the gender and les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me emotion(p<.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ce in emotion recognition ability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roke. There will be a variety of future research related to standardized research or interventions targeted at stroke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to be carried 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