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ffee Price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45초

감성적-유용적 동기에 따른 커피전문점 시장세분화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Emotional-utilitarian Motivation - Focused on Specialty Coffee Shops -)

  • 김주연;안경모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103-117
    • /
    • 2010
  • 본 연구는 기호식품인 커피가 감성적 성격 혹은 유용적 성격의 소비재로 사용되고 있는 현실을 인식하여 커피전문점 이용 동기를 감성적-유용적 동기로 파악하고, 이 동기요인에 따라 시장세분화를 시도하였다. 시장세분 결과, 감성적 동기가 높은 감성적 소비자와 유용적 동기가 높은 유용적 소비자, 그리고 두 가지 동기요인이 모두 낮게 나타난 수동적 소비자의 세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집단별 커피전문점 이용 선택 속성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감성적 소비자는 '커피맛과 분위기', '특별한 커피', '쾌적한 공간' 등 감성적 선택 요인에 대한 인식과 '가격적 혜택', '인터넷 사용 여부' 등 실용적 혜택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어 감성적 소비자인 동시에 합리적 소비자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유용적 소비자는 '여러 명이 회의할 수 있는 독립적 공간', '혼잡 정도', '화장실 및 흡연실 등의 시설' 등의 '쾌적한 공간'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또, 세분시장별 일반적 특성이나 커피 음용 행동 간 연관성에 있어서, 성별과 주로 마시는 커피 종류, 커피 마시는 시간대, 마시는 장소만이 유의한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베트남의 지속 가능한 커피 인증 프로그램의 도입과 한계: 비나카페를 사례로 (Adoption and Limits of Sustainable Coffee Certification Program in Vietnam: A Case Study of Vinacafe)

  • 지호철;이승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03-521
    • /
    • 2017
  • 세계 커피 시장에서 지속 가능한 커피 인증 프로그램을 적용한 원두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글로벌 커피산업의 동향처럼 최근 베트남의 지속 가능한 커피 인증 프로그램 도입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베트남의 커피 인증 프로그램은 비나카페라는 단일 국영기업에 의해 주도적으로 도입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국가의 커피 인증 프로그램과 차별된다. 특히, 비나카페의 폐쇄적 의사결정구조는 베트남의 지속 가능한 인증 커피 프로그램 도입에 따른 경제적 파급 효과에 장애가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비나카페를 사례로 베트남의 지속 가능한 커피 인증 프로그램 도입에 따른 커피산업의 가치사슬의 변화와 그 한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베트남 중부고원지역의 커피산업 성장 과정에서 나타난 비나카페의 역할을 분석하고, 2) 비나카페에 의해 주도된 지속 가능한 커피 인증 프로그램 도입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고, 3) 이에 따른 한계점을 고찰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비나카페 자회사에 속한 농가는 지속 가능한 커피 생산을 위해 인증 커피의 환경 기준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면서 기존 일반 커피 생산 비용에서 환경 비용을 추가적으로 지불하며, 비나카페 자회사는 인증 커피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추가 환경 비용을 농가에 일부 지원한다. 그러나 모기업이 자회사로부터 인증 커피를 일반 커피 가격으로 구매함으로써 자회사는 모기업으로부터 인증 커피에 대한 프리미엄을 보장받지 못했다. 따라서 자회사는 인증 커피 프리미엄에 따른 손실을 상쇄하기 위해 농가에 환경 비용을 다른 형태로 전가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농가 역시 인증 커피 생산에 따른 프리미엄을 보장 받지 못해 인증 커피 생산에 따른 최종 손실은 농가가 부담해야 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서울지역 대학생의 커피전문점 이용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Coffee Shop Use in the Seoul Area)

  • 최영심;김영태;지옥화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87-295
    • /
    • 2009
  • 서울 지역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2008년 10월 6일부터 10월 10일까지 커피전문점의 이용 실태를 연구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의 커피전문점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5점 척도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중요도는 4.03점, 수행도는 3.01점으로 나타났다. 커피전문점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격자도로 보여주는 IPA 분석을 살펴 본 결과, 중요하지만 불만이 있는 항목으로는 실내 위생 상태, 종업원의 개인 위생 정도, 커피 기구 등의 위생 관리 상태, 얼음의 위생 상태, 사용되는 물의 위생 관리 상태, 제품의 냉장 보관 상태, 커피 가격이 해당되었다.

  • PDF

What should be Prioritized for Delivery Café Service in COVID-19?

  • SHIN, Mee-Hye;JANG, Jeong-Rok;CHA, Seong-Soo
    • 산경연구논집
    • /
    • 제13권3호
    • /
    • pp.25-34
    • /
    • 2022
  • Purpose: Food delivery services are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recent COVID-19 outbreak. This study examines how much taste, price, brand, and reliability affect the satisfaction of delivery apps and delivery companies in food delivery services, as well as its effects on repurchase intention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on a coffee shop that started delivery service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analyzed, and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iscriminant valid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Results: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delivery apps at coffee shops were taste and brand image. Only 'tast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factor that made consumers feel satisfaction. In addition, satisfaction with delivery apps of coffee shops and delivery compani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The company should focus on improving the image of the coffee application rather than the corporate image. Conclusions: Now and in the future, F&B companies will have to recognize and respond, as well as rethink on how to deliver satisfaction of delivery apps and delivery companies to consumers in the ever-increasing delivery competition.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through satisfaction analysis of coffee delivery apps and companies.

서비스 품질, 지각된 희생, 식당 가격과 이미지가 가치에 미치는 영향 평가 (Measuring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Perceived Sacrifice, Food Price and Image on Value)

  • 강종헌;고범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7-6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perceived sacrifice, food price and image on value. A total of 273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MANOVA, ANOVA, and ANCOVA were used to measure the main effects and mediating effects of service quality and perceived sacrifice on the relationships among price, image, and value. The main effects of price on service quality, perceived sacrifice, and valu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in effects of image on service quality and valu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expected, when price, service quality, and perceived sacrifice regressed on the value, the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when image, service quality, and perceived sacrifice regressed on the value, the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valu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service quality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ce and value.

  • PDF

커피전문점 방문동기에 따른 커피전문점 및 커피 선택속성 연구(서울·경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ttributes of Selecting Coffee Shop and Type of Coffee in Relation to the Reason for the Visit: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 김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409-419
    • /
    • 2016
  •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 방문 동기에 따른 커피전문점의 선택속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커피 전문점에서 구매하는 커피의 종류에 차이가 발생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서울 경기지역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중 커피전문점을 이용한 209명을 모집단으로 분석을 위해서 spss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커피전문점을 방문하는 동기는 편리성, 사회적 만남, 심리적 요인, 경제적 요인, 정신적 요인 및 습관적 방문 등 크게 6가지로 도출하였다. 6가지 커피전문점 방문동기에 따라 응답자를 집단화하면 경제적 동기나 습관적 동기로 커피 전문점을 방문하는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커피의 다양성'을 더 중요하게 고려하였고, 편리적 동기 및 습관적 동기로 방문하는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종업원의 친절도'를 더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사회적 동기로 방문하는 집단은 '저렴한 커피 값'을 월등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전문점 방문동기나 선택속성이 최종 선택한 커피의 종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은 특정 종류의 커피(아메리카노, 라떼)를 압도적으로 많이 선택하는 결과이기 때문이며, 이는 커피의 다양성 측면에서 전문점들이 소비자인 대학생들의 선택의 폭을 넓히는 데 충분한 노력이나 차별성을 보여주고 있지 못하는 것에도 원인이 있다 할 것이다.

소비자지식의 효과를 고려한 윤리적 제품의 프리미엄 지불의사 및 지불비용 분석-공정무역커피를 대상으로 (A Study of Willingness to Pay Premium and Purchasing Cost of an Ethical Product with Considering the Treatment Effect of Consumer Knowledge)

  • 유소이;박재홍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91-30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sumer responses such as willingness to pay premium and purchasing cost for fair trade coffee as an ethical product while considering the treatment effect of consumer knowledge. First, the levels of consumer knowledge, willingness to pay premium and purchasing cost were presented. Then, the influencing factors on willingness to pay premium and purchasing cost of fair trade coffee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treatment effect model. From the results, first, the level of willingness to pay premium was high and consumers having purchasing experience of fair trade coffee spent 9,923 won at once, while less than half of the consumers knew the fair trade coffee. Second, consumer knowledge, ethical judgement, perception of price value, education level and pocket money significantly influenced to willingness to pay premium, while consumer knowledge, information evaluation, importance of fair trade criteria and level of educ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to purchasing cost for fair trade coffee. Especially, consumer knowledge of fair trade coffee was an important influencing factor for willingness to pay premium and purchasing cost indirectly as well as directly. Thus, this study might provide some useful information for consumers to choose the ethical behavior and the related companies to create effective promoting strategies for ethical products.

대학생들의 커피전문점 선택속성이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Selection Attribute on Coffee Shop toward Use Satisfaction by College Students)

  • 한진명;김종원;김재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424-434
    • /
    • 2020
  •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 선택속성인 접근성, 상권, 공간성, 편의성, 신뢰성, 확신성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또한 만족, 전환비용, 재이용의도 간에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설문조사는 최근 1개월 이내에 커피전문점을 이용했던 경험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24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모형 검정은 SPSS 18.0과 AMOS 18.0을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구조모형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커피전문점의 선택속성요인 중 편의성만 제외하고 확신성, 접근성, 상권, 신뢰성, 공간성순으로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만족과 전환비용은 재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택속성의 만족은 대학생 고객의 행동의도를 높여 궁극적으로 커피전문점 성과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커피전문점은 커피의 맛, 가격, 다양한 메뉴와 접근성이나 상권, 규모 있는 공간에 대한 많은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레스토랑 이미지, 식음료 가격, 가치와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 (The Linkages among Restaurant Image, Food and Beverage Price, Value and Service Quality)

  • 강종헌;고범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66-27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mediating the linkage among food and beverage price, restaurant image and value. A total of 273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MANOVA, ANOVA and ANCOVA were used to measure the mediating effect of service quality on the relationships among food and beverage price, restaurant image, and value. The effects of food and beverage price and restaurant image on service quality and valu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expected, when food and beverage price and service quality were regressed on the value, the service quality was significant and the effect of the food and beverage price was reduced. Moreover, when restaurant image and service quality were regressed on the value, the restaurant image and service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valu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service quality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and beverage price and value, and between restaurant image and value.

  • PDF

커피전문점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i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Coffee Shops)

  • 김호식;심재현
    • 산경연구논집
    • /
    • 제8권5호
    • /
    • pp.95-109
    • /
    • 2017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quality factors of coffee shop customers with the service quality based on the SERVQUAL, selection attributes, and service qualities used in previous studies. The path structure of coffee shops' quality factors → customer satisfaction → trust → behavioral intention was analyzed in order to confirm the system of coffee shops' quality facto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urvey of was conducted with college students of Kangwon University. A total of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with 232 collected. Of them, Excluding 36 respondents' because of incomplete answers and missing values, 196 respons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mpirical analysis was made through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tatistics Package SPSS 19.0. Results -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coffee shops' quality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like service encounter quality, product quality, cleanliness, overall interior, purchase quality, convenience, and aesthetics. Secondly, service encounter quality, product quality, purchase quality, and aesthetics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respectively. Thirdly, it showed that service encounter quality, product quality, overall interior, purchase quality, and aesthetics had a positive effect on trust, respectively. Fourthly, custom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Lastly, after verifying the effect relations of trust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bout coffee shop and behavioral intention, customer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rust and trust has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rust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But, cleanliness, convenience, and overall interior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Conclusions - Coffee shop consumers put importance on price, discount systems, taste, and freshness, but more on courteous and kind services of coffee shop staff or comfortable and calming atmosphere of inner space. Thereby, coffee shop marketers need to take factors like service encounter quality and aesthetics into more consideration. In addition, customer satisfaction has an effect on trust, while trust on behavioral intention, even though trust is not mediated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