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enzyme Q$_{10}$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6초

미생물을 이용한 생리 활성 물질의 생산 - 제 2 보 : Rhodotorula rubra로 부터 균체 성분의 추출 - (Production of Biological Activator by Microorganisms - II. Extraction of Cellular Materials from Rhodotorula rubra -)

  • 오두환;변유량;유승곤;유주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3-139
    • /
    • 1980
  • 미생물 균체로부터 유용 물질을 추출해 내는 기작(機作)을 조사하기 위하여 Rhodotorula rubra YUFE 1526의 냉동 건조 균체로 부터의 균체 유지 추출을 통하여 고찰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균체 유지의 최적 추출 용매로는 메탈알코홀이 적합하였으며, extractable total lipid의 량은 균체량의 19.17 % 이었다. 2. 교반 속도의 영향은 없었으며, 최적 추출 온도는 $50^{\circ}C$이었고, 2시간 동안의 추출에서 90 %의 추출률을 보였다. 3. 균체 유지의 확산도는 $50^{\circ}C$에서 $9.4{\times}10^{-9}\;mm^2/min.$로서 최대를 보였으며 추출 온도에 따른 확산도는 다음과 같았다. $D=2.2e^{0002907T}{\times}10^{-9}\;mm^{2}/min\;20^{\circ}C{\leq}T{\leq}50^{\circ}C$ 4. 균체내의 유지 함유량이 변화되어도 확산도 값은 $9.4{\times}10^{-9}\;mm^2/min.$로서 거의 일정하였다. 5. 추출 모델의 설정을 통해 구해진 이론식이 실험치와 거의 일치하고 있었다.

  • PDF

Enzymes and Their Reaction Mechanisms in Dimethylsulfoniopropionate Cleavage and Biosynthesis of Dimethylsulfide by Marine Bacteria

  • Do, Hackwon;Hwang, Jisub;Lee, Sung Gu;Lee, Jun Hyuck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8
    • /
    • 2021
  • In marine ecosystems, the biosynthesis and catabolism of dimethylsulfoniopropionate (DMSP) by marine bacteria is critical to microbial survival and the ocean food chain. Furthermore, these processes also influence sulfur recycling and climate change. Recent studies using emerging genome sequencing data and extensive bioinformatics analysis have enabled us to identify new DMSP-related genes. Currently, seven bacterial DMSP lyases (DddD, DddP, DddY, DddK, DddL, DddQ and DddW), two acrylate degrading enzymes (DddA and DddC), and four demethylases (DmdA, DmdB, DmdC, and DmdD) have been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in diverse marine bacteria. In this review, we focus on the biochemical properties of DMSP cleavage enzymes with special attention to DddD, DddA, and DddC pathways. These three enzymes function in the production of acetyl coenzyme A (CoA) and CO2 from DMSP. DddD is a DMSP lyase that converts DMSP to 3-hydroxypropionate with the release of dimethylsulfide. 3-Hydroxypropionate is then converted to malonate semialdehyde by DddA, an alcohol dehydrogenase. Then, DddC transforms malonate semialdehyde to acetyl-CoA and CO2 gas. DddC is a putative methylmalonate semialdehyde dehydrogenase that requires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and CoA cofactors. Here we review recent insights in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se enzymes and the molecular events of DMSP degradation.

Transcriptome Analysis of Antrodia cinnamomea Mycelia from Different Wood Substrates

  • Jiao-Jiao Chen;Zhang Zhang;Yi Wang;Xiao-Long Yuan;Juan Wang;Yu-Ming Yang;Yuan Zheng
    • Mycobiology
    • /
    • 제51권1호
    • /
    • pp.49-59
    • /
    • 2023
  • Antrodia cinnamomea, an edible and medicinal fungus with significant economic value and application prospects, is rich in terpenoids, benzenoids, lignans, polysaccharides, and benzoquinone, succinic and maleic derivatives. In this study, the transcriptome of A. cinnamomea cultured on the wood substrates of Cinnamomum glanduliferum (YZM), C. camphora (XZM), and C. kanehirae (NZM) was sequenced using the high-throughput sequencing technology Illumina HiSeq 2000, and the data were assembled by de novo strategy to obtain 78,729 Unigenes with an N50 of 4,463 bp. Compared with public databases, about 11,435, 6,947, and 5,994 Unigenes were annotated to the Non-Redundant (NR), Gene Ontology (GO), and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 (KEGG), respectively.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mycelium terpene biosynthesis-related genes in A. cinnamomea revealed that the expression of acetyl-CoA acetyltransferase (AACT), acyl-CoA dehydrogenase (MCAD), 3-hydroxy-3-methylglutaryl-coenzyme A (HMG-CoA), mevalonate pyrophosphate decarboxylase (MVD), and isopentenyl diphosphate isomerase (IDI) was significantly higher on NZM compared to the other two wood substrates. Similarly, the expression of geranylgeranyltransferase (GGT) was significantly higher on YZM compared to NZM and XZM, and the expression of farnesyl transferase (FTase) was significantly higher on XZM. Furthermore, the expressions of 2,3-oxidized squalene cyclase (OCS), squalene synthase (SQS), and squalene epoxidase (SE)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NZM. Overall, this study provides a potential approach to explore the molecular regulation mechanism of terpenoid biosynthesis in A. cinnamomea.

다양한 임상경과를 보인 멜라스(MELAS, mitochondrial encephalopathy, lactic acidosis, and stroke-like episode) 증후군 2례 (Two Cases of MELAS Syndrome Manifesting Variable Clinical Cour)

  • 최서열;이승호;명나혜;이영석;유지숙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2-108
    • /
    • 2016
  • 멜라스 증후군은 사립체 질환 중의 하나로서, 증상발현 시기 및 임상 양상이 매우 다양하여 의심하지 않으면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연구자들은 임상경과를 달리하는 두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1에서는 두통과 시야 흐림, 경련 등이, 증례 2에서는 성장장애, 난청, 시야 흐림, 경련 등이 초기 증상으로 나타났으며, 증례 1은 현재도 일상 생활이 가능한 정상적인 활동도를 보이는 반면에, 증례 2의 경우에는 심각한 뇌손상을 받은 후에 진단되어 예후가 불량하였다. 멜라스 증후군의 치료는 대증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약물적인 치료 중 코엔자임 Q10, L-아르지닌 등을 사용하였을 때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질환의 초기에는 비특이적인 경우가 많음으로 관심과 의심을 통하여 멜라스 증후군을 조기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조기 진단과 적절한 교육 및 지지적인 치료를 통해 임상경과를 좋게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예후에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 처리가 동결 건조된 소간의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저감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Reduction of Freeze-Dried Bovine Liver)

  • 김혜민;우성운;김아나;허호진;천지연;최성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847-185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처리에 따라 동결 건조된 소간의 이화학적 특성과 미생물 저감화 효과를 연구하였다. 다양한 압력(200, 300 및 450 bar)으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처리한 결과, 먼저 지방 추출 수율의 경우 200, 300, 450 bar에서 각각 84, 86, 90%로 나타나 처리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타민 A 및 $CoQ_{10}$ 성분은 지용성 물질로서 거의 대부분 초임계 이산화탄소 처리에 의해 다른 지방성분과 같이 추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된 지방의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 포화지방산 비율은 처리 압력이 높아질수록 감소한 반면에 다가불포화지방산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아미노산의 경우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처리한 시료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낮은 함량을 보였다. 총세균수의 경우 동결 건조로 인해 수분 함량이 극히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저감화되었으며, 또한 5일간 냉장 저장한 시료에서 총세균수가 약 6.2 log CFU/g 이었으나 100 bar에서 3시간 처리에 의해 약 4.4 log CFU/g으로 저감화되었다. 특히 흥미롭게도 대장균군의 경우 100 bar에서 3시간 처리 후 저장 시 7일차까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본 결과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처리가 수분 함량이 낮은 식품소재의 대장균군 저감화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라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적절한 처리를 통해 미생물 안전성 및 지방 산화에 대한 안정성이 개선된 소간을 고단백 식품소재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Beneficial effects of oral antioxidant supplementation on semen quality parameters, reproductive hormones, and sperm DNA integrity in men with idiopathic oligoasthenoteratozoospermia

  • Chaymae Rochdi;Meriem Ouadrhiri;Larbi Allai;Ibtissam Bellajdel;Samira Mamri;Hafsa Taheri;Hanane Saadi;Ahmed Mimouni;Mohammed Choukri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51권2호
    • /
    • pp.135-141
    • /
    • 2024
  • Objective: Recently, oral antioxidants in combined forms have been used to treat men with idiopathic infertility.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reatment with vitamin C, vitamin E, selenium, zinc, arginine, L-carnitine, and coenzyme Q10 on sperm quality parameters, DNA integrity, reproductive hormones, and pregnancy rates in men with infertility and idiopathic oligoasthenoteratozoospermia (OAT). Methods: A p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420 men with infertility and idiopathic OAT who took an oral supplement of antioxidant SP-Power tablets twice daily for 6 months. Semen quality, reproductive hormones, and the DNA fragmentation index (DFI) were evaluated at baseline and at 3 and 6 months after supplementation, using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 guidelines.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volume or the percentage of typical morphology during treatment.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perm concentration was observed after supplementation (8.67±1.41, 12.17±1.91, and 19.01±0.86 at baseline, 3, and 6 months respectively, p<0.01). The total motility, progressive motility, and total motile sperm count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p<0.01), whereas the DFI decreased after 6 months. There was an increase in normal FSH levels and testosterone levels after 6 months of supplementation of antioxidant SP-Power but thes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not significant and p=0.06, respectively). Conclusion: Supplementation with SP-Power tablets improved sperm quality parameters, sperm DFI, some reproductive hormones, and pregnancy rates in men with infertility and idiopathic OAT, which could be attributed to the supplement's synergistic antioxidant ac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pplementation on oxidative stress markers.

육계에서 비타민 C 및 E의 첨가 급여가 성장 능력과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Vitamin C and E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the Stress Response in Broiler Chickens)

  • 손시환;조은정;장인석;문양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1-40
    • /
    • 2013
  • 본 연구는 브로일러에서 비타민 C와 E의 첨가 급여가 성장 능력 및 개체별 스트레스 경감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스트레스 반응 정도는 혈액과 각 조직별 세포들에 대한 텔로미어 함량, DNA 손상율 및 열손상단백질 유전자(HSP, HMGCR) 발현율을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텔로미어 함량 및 감축율은 양적 형광접합보인법(Q-FISH)으로 분석하였고, DNA 손상율은 comet assay로 분석하였다. 열손상단백질 유전자 발현율은 HSP70, HSP90-${\alpha}$, HSP90-${\beta}$ 및 HMGCR을 표적으로 하여 real-time PCR로 분석하였다. 시험 결과, 급여 처리구 간에 체중, 증체량, 사료 섭취량, 사료 요구율 및 생존율 등 생산 능력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텔로미어 감축율에 있어서는 비타민 E 첨가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감축율을 보여 스트레스 경감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DNA 손상율 또한 모든 비타민 첨가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양상을 보였다. HMGCR, HSP90-${\alpha}$ 및 HSP90-${\beta}$의 유전자 발현율에 있어서도 비타민 E 첨가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발현율을 나타내어 스트레스 경감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브로일러에 사료 내 비타민 E의 첨가 급여(100 mg/kg feed)는 성장 능력의 저하 없이 개체의 생리적 스트레스 정도를 경감시키는 바람직한 항산화 제재로 사료된다.

멜라스 증후군의 개요 (Overview of Mitochondrial Encephalomyopathy with Lactic Acidosis and Stroke-like episodes (MELAS) syndrome)

  • 나지훈;이영목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9
    • /
    • 2024
  • MELAS 증후군은 다양한 임상 증상을 나타내는 복잡하고 다면적인 미토콘드리아 질환으로, 반복적인 뇌졸중 유사 에피소드, 발작, 당뇨병, 심근병증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증상들은 뇌, 심장, 근육과 같은 대사적으로 활발한 조직에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가 미치는 심각한 영향을 반영한다. 현재의 치료는 이러한 증상을 완화하고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증상 치료, 고용량 비타민 요법 및 고용량 타우린 보충과 같은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포함한다. 유전자 치료 및 미토콘드리아 표적 약물 분야의 새로운 치료법은 근본적인 유전자 돌연변이를 해결하고 미토콘드리아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망한 새로운 길을 제공한다. MELAS에 대한 이해가 계속 깊어짐에 따라, 유전자 검사 및 치료적 개입의 발전은 환자의 결과를 크게 개선할 가능성을 갖고 있다. MELAS 치료의 미래는 낙관적이며, 진행 중인 연구는 더 효과적이고 표적화된 치료법을 위한 길을 열어 이 질환의 부담을 줄이고 영향을 받는 개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PDF

시판버섯의 부위별 항산화능과 유비퀴논 함량 (Antioxidant Properties and Ubiquinone Contents in Different Parts of Several Commercial Mushrooms)

  • 홍명희;진유정;표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1235-1241
    • /
    • 2012
  • 시판중인 14종의 식용버섯을 전체(E), 갓(P), 대(S)의 부위별로 분류하여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에 따른 항산화활성과 이들 활성의 근거물질인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그리고 유비퀴논 함량을 측정하였다. 시판버섯의 갓 부위(P)에 함유된 총 페놀함량은 193.9~536.6 mg/100 g으로 대 부위(S)의 156.8~370.8 mg/100 g보다 23.4~44.7% 높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quercetin의 동량 값으로 표시했을 때 전체 부위(E)에서 14.8~31.2 mg/100 g으로 나타나 총 페놀함량에 비해 매우 낮은 함량으로 측정되었다. 유비퀴논 함량 역시 갓 부위(P)가 163.5~485.1 ${\mu}g$/100 g으로 나타나 대 부위(S)의 65.6~142.9 ${\mu}g$/100 g에 비해 2.5~3.4배 더 높은 것으로 측정되어 시판버섯에 함유된 유효활성 성분은 주로 자실체의 주름부위에 분포된 것을 알 수 있다. 시료(10mg/mL)의 80% 메탄올 추출물의 DPPH와 ABTS 자유 라디칼 소거능에 따른 전체 부위(E)의 항산화활성은 각각 51.2~90.1%와 62.5~95.8%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특히 상황버섯의 라디칼 소거능은 평균 92.7%로 나타나 전체 부위(E)의 시판버섯 중 가장 높았으며 목이버섯은 평균 56.9%로 나타나 항산화활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이 같은 결과는 각 부위별 자체 내 함유된 평균 총 페놀함량($R^2=0.080$) 및 유비퀴논 함량($R^2=0.55$)과 유의적인 상관관계(p<0.05)를 나타내어 이들 성분이 항산화활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