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deword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18초

Random Beamforming 시스템에서의 CQI 양자화 기법 (CQI Quantization Scheme in Random Beamforming System)

  • 고경준;이정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2A호
    • /
    • pp.170-176
    • /
    • 2009
  • 다중사용자 다중안테나 시스템은 단일사용자 다중안테나 시스템보다 더 좋은 성능을 가진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다중사용자 다중안테나 시스템은 선택된 사용자들 간의 신호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것을 제거해야 된다.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기법 중에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으로서 zero-forcing beamforming (ZFBF)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상당히 정확한 채널 정보를 송신단이 알아야 되기 때문에 실제 시스템에서 사용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피드백 비트수가 필요하게 된다. ZFBF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Random Beamforming (RBF) 시스템이 제안되었다[1]. RBF는 미리 정해진 코드북에 가장 최적의 성능을 보이는 사용자들에게 데이터를 보내는 방법으로서, 각 수신단은 코드북 내의 최적의 성능을 가지는 코드워드의 인텍스와 CQI 정보를 피드백 한다. 그러나 [l]에서는 송신단이 각 수신단의 CQI 정보를 완벽히 안다고 가정을 하였는데 실제 시스템에서는 CQI 정보도 양자화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번 논문에서는 CQI 정보를 효율적으로 양자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M-PSK 성운을 이용한 적응형 차분 동 이득 전송 기술 (An Adaptive Differential Equal Gain Transmission Technique using M-PSK Constellations)

  • 김영주;서창원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3호
    • /
    • pp.21-28
    • /
    • 2016
  • 시간 상관 채널에 대한 차분 코드북의 적응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코드북의 코드워드 인자들은 M의 값이 8, 16 또는 32인 M-PSK 성운의 여러 집합 중에서 선택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코드북의 최적의 구면 캡 반경을 어떻게 추적하는지 수학적으로 분석하고 적응형 기법의 구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논문의 차분 코드북들은 무선 채널 시간 상관 계수에 의해 적응적으로 선택되므로 항상 채널 상태에 따르는 최적의 코드북을 이용하여 송수신을 한다. Monte-Carlo 시뮬레이션은 제안하는 코드북의 성능이 같은 양의 피드백 정보를 가진 M-PSK 성운을 이용하는 비적응형 코드북보다 항상 우수함을 보인다.

Phased-in 코드를 이용한 움직임 벡터 예측기의 효율적인 부호화 방법 (Efficient Coding of Motion Vector Predictor using Phased-in Code)

  • 문지희;최정아;호요성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26-433
    • /
    • 2010
  • H.264/AVC 비디오 압축 표준은 압축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크기의 블록을 사용하여 화면 사이의 움직임 예측을 수행한다. H.264/AVC는 가변적인 블록 크기의 움직임 보상을 통해 세밀한 영역의 움직임까지 예측할 수 있어 잔여 영상을 나타내는 정보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복호를 위해서는 각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전송해야 하는데, 저비트율 환경에서는 움직임 벡터 정보가 전체 비트스트림의 약 40%를 차지한다. 움직임 벡터 정보량을 줄이기 위해 비디오 부호화 전문가 그룹(VCEG)에서는 다양한 움직임 벡터 예측(Motion Vector Competition) 방법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사용하여 실제 전송해야 할 움직임 벡터 차분값(Motion Vector Difference, MVD)의 크기를 줄이기 때문에 압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예측 움직임 벡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선택된 예측 움직임 벡터의 인덱스 정보를 복호기로 전송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인덱스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Phased-in 코드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코드워드 표를 제안했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동일한 화질에서 평균 약 7.24%의 비트율을 절감할 수 있었고, 동일한 비트율에서는 평균 약 0.36dB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가변 블록길이를 갖는 적응형 리드솔로몬 복호기의 설계 (Design of an Adaptive Reed-Solomon Decoder with Varying Block Length)

  • 송문규;공민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4C호
    • /
    • pp.365-373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수정 유클리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임의의 메시지 길이 k 뿐 아니라 임의의 블록 길이 n를 갖는 RS 부호를 복호할 수 잇는 적응형 RS 복호기를 설계한다. 설계된 복호기는 임의의 길이를 갖는 단축형 RS 부호의 복호 전에 영들을 추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축형 RS 부호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 이들 RS 부호의 오류정정 능력 t의 값을 매 부호어 블록마다 실시간으로 변화시킬수 있으므로 응답 채널이 유용한 경우 채널의 시변 잡음 레벨에 적응적으로 오류 정정 능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제시된 복호기 구조는 수정 유클리드 알고리즘에 기반한 4단계는 파이프라인 처리를 수행한다 : (1) 신드롬 계산 (2) MEA 블록 (3) 에러크기 계산 (4) 복호기 실패 검사. 각 단계는 가변 길이의 RS 복호에 적합한 구조를 갖도록 설계된다. 수정 유클리드 알고리즘(MEA) 블록의 새로운 구조를 제시하고, 에러의 크기 계산을 위한 다항식 평가를 위해 역순 출력을 갖는 다항식 평가 회로를 채용한다. MEA 블록은 연산 셀들의 멀티플렉싱 기법과 배속의 전용 클럭 기법(overclocking)을 적용하여 간단한 하드웨어로써 처리 속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최대 오류정정 능력이 10인 GF($2^8$) 상의 적응형 RS 부호를 VHDL로 설계하고, FPGA에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