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stal disaster

검색결과 353건 처리시간 0.031초

수치지도를 이용한 연안재해지도 작성 방안 (The Methods of Coastal Disaster Mapping Using Digital Map)

  • 정종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16권5호
    • /
    • pp.373-379
    • /
    • 2007
  • Natural hazards such as typhoon, flood, landslide affect both coastal and inland areas more often according to increasement of severe and unusual weather. To provide adequate coastal disaster mitigation strategies, coastal disaster prevention system using GIS is very useful. Application methods of digital map on this issue was discussed in this study. For developing of coastal disaster prevention system, the data structures related to disaster monitoring is needed to be revised for interdisciplinary framework. To improve the current coastal disaster mapping methods, GIS based new model for coastal disaster mapping was suggested. In this study, coastal GIS showed the attribute data and structures of coastal disaster mapping.

연안거주민에 대한 재해대응능력 평가 연구 (A Study on Assessing Disaster Response Capacity for Coastal Residents)

  • 강태순;이승록;이종섭;김종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5호
    • /
    • pp.979-990
    • /
    • 2014
  • Recently the frequency of coastal disasters caused by global warming is increasing and the damage is becoming greater.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is establishing various policies and measures to minimize damage. For disaster prevention, this study will evaluate the disaster response capacity of each local resident(Eup/Myeun/Dong) in coastal areas through the surve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understand the disaster response capacity and analyze spatial autocorrelation between hot spots(vulnerable area) and cold spots.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a survey of 311 towns(Eup/Myeun/Dong) about the disaster response capacity of coastal residents. As a result, Namhae has the highest average score(4.9). On the contrary, Hampyeong has the lowest(1.6). Coastal residents in Namhae seem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first aid and preventive maintenance. But coastal residents in Hampyeong seem to not have these characteristics. Afterwards, this study builds a database of disaster response capacity, and analyzes it using the spatial autocorrelation method. Finally, the area of hot spots and cold spots for disaster response capacity was quantitatively detected.

해안방재림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Ⅱ) - 기 조성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Coastal Disaster Prevention Forest(Ⅱ) - on Forested Site -)

  • 전근우;이진호;차두송;김경남;마호섭;박문수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767-770
    • /
    • 2008
  • 우리나라의 해안방재림의 조성실태를 파악하여 미래지향적인 관리 및 조성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한 결과, 전국에 기 조성되어 있는 해안방재림의 면적은 약 1,479ha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에 조성되어 있는 약 1,479ha에 대한 간벌지침 등을 마련하여 방재기능이 저하된 빈약한 임분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소나무 재선충병과 해안침식의 위협을 받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비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PDF

연안도시 풍수해 관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Storm and Wind Damage Management System of Coastal Cities)

  • 오상백;이한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09-218
    • /
    • 2019
  • 연안도시는 내륙도시보다 태풍이나 해일 등에 의한 풍수해가 크며 도시마다 풍수해 특성이 서로 다르다. 그래서 연안도시는 풍수해 특성을 고려하여 풍수해 유형별 그리고 지역별 특성에 적합한 풍수해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관리, 연안관리, 재해관리 측면에서 우리나라 풍수해 관리체계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미국과 일본 풍수해 관리체계를 검토한 후 연안도시 특성에 적합한 풍수해 관리체계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연구결과로서 도시관리 측면에서 방재지구 대상지 선정 의무화, 연안도시통합관리계획 수립,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를 방재지구로 지정, 방재지구를 풍해방재지구 수해방재지구 침식방재지구로 세분화, 방재지구 내 건축제한을 조례로 지정 등을 제안한다. 연안관리 측면에서 연안침식관리구역 지정권을 지자체장에게 위임, 연안침식관리구역은 연안침식심각구역 연안침식진행구역 연안침식발생우려지역으로 세분화, 연안침식관리구역의 건축제한을 조례로 결정, 연안도시 침식예상도 작성 등을 제안한다. 재해관리 측면에서 "자연재해대책법"과 "재난및안전관리기본법"의 통합, 지자체 주도 방재체계로 전환, 지역단위 재해관리네트워크 구축, 맞춤형 지역방재계획 수립 등을 제안한다.

우리나라 해안별 해안방재림의 유형특성 비교 (A Comparison on the Forest Type of Coastal Disaster Prevention Forest Between the Coastal Areas in Korea)

  • 김찬범;박기형;이창우;윤호중;김경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564-573
    • /
    • 2014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서해안, 남해안, 동해안의 주요 해안방재림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각 해안별 해안방재림의 특징과 각 해안을 대표할 수 있는 해안방재림 선정을 목적으로 하였다. 해안방재림 방재효과에 영향을 주는 임분밀도와 수고, DBH, 해안방재림 폭을 기준으로 하여 각 군집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해안별 각각 2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서해안은 임분밀도가 높고 DBH가 작은 특징을 갖는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황촌리 구례포해수욕장 해안방재림과 수고가 높은 특징을 보이는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운산리 고사포해수욕장 해안방재림이 각 군집을 대표하는 해안방재림이었다. 남해안은 수고가 낮은 특징을 보이는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남양리 해안방재림과 DBH가 큰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동고리해수욕장 해안방재림으로 나타났다. 동해안은 임분밀도가 낮은 경상남도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해안방재림과 수고가 낮고 DBH가 작은 강원도 강릉시 견소동 안목해수욕장 해안방재림이 대표적이다. 이 연구는 앞으로 각 해안별 가장 적합한 해안방재림을 설정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표본추출법을 이용한 연안주민의 재해대응능력 평가 및 특성 분석 (Assessing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and Feature Analysis for Coastal Residents of Korea using Sampling Process)

  • 강태순;오형민;김종규;정광영;황순미;김수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5-61
    • /
    • 2017
  • 본 연구는 연안주민의 재해대응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표본추출방법은 비확률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으며, 표본크기는 4,520명,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pm}1.5%p$이다. 조사결과 10개 지문 중 비상연락망 파악이 72%, 재난방송청취가 68%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자율방재단이 17%, 재난대비 훈련 참여가 18%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남성의 재해대응능력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응급처치요령과 재난대비 훈련 참여는 10대와 20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직업군별로는 공무원이 재해대응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지역적 분석결과 동해안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남해안지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연안주민 재해대응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재난대비교육 및 홍보 개선이 필요하다.

비디오 영상 자료를 이용한 연안 국지파랑 관측기술과 그 활용에 대한 고찰 (Review of Video Imaging Technology in Coastal Wave Observations and Suggestion for Its Applications)

  • 이동영;유제선;박광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1권4호
    • /
    • pp.415-422
    • /
    • 2009
  • The wave observation system in Korea has been established with an emphasis on pointmeasurement based on in situ instrumentations. However, the system cannot fully investigate the coastal wave-related problems that are significantly localized and intensified with three-dimensional regional geometries. Observation technique that can cover local processes with large time and spatial variation needs to be established. Video imaging techniques that can provide continuous monitoring of coastal waves and related phenomena with high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s at minimum cost of instrumentation risks are reviewed together with present status of implementation in Korea.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video imaging techniques are suggested to tackle with various coastal issues of public concern in Korea including, real-time monitoring of wave runup and overtopping of swells on the east coast of Korea, longshore and rip currents, morphological and bathymetric changes, storm surge and tsunami inundation, and abnormal extreme waves in the west coast of Korea, etc.

기후변화를 고려한 연안지역 재해예방기법 적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astal Disaster Prevention Considering Climate Change)

  • 이성현;김보람;임준혁;오국열;심우배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69-376
    • /
    • 2018
  • Korea is surrounded by the West Sea, the South Sea, and the East Sea. There are various points at which large and small rivers flow into the sea, and areas where these rivers meet the coast are vulnerable to disasters. Thus, it is necessary to study disaster prevention techniques based on coastal characteristics and the pattern of disaster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isk factors of disaster districts analyzed in comprehensive plans for the reduction of damage to coastal cities from storms and floods. As a result of standardization, four factors (tide level, intensive rainfall & typhoon, wave, and tsunami) were identified. Intensive rainfall & typhoon occurred along the West Sea, the South Sea, and the East Sea coast.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influence disasters are tide level for the West Sea, tsunami and tide level for the South Sea, and wave in the East Sea. In addition, disaster prevention techniques to address these factors are presented, focusing on domestic and overseas cases.

재해통계기반 풍랑피해액예측함수 개발 : 동해안, 제주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Predicting Function for Wind Wave Damage based on Disaster Statistics: Focused on East Sea and Jeju Island)

  • 추태호;권재욱;윤관선;양다운;곽길신
    • 한국환경기술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5-172
    • /
    • 2017
  • 현 단계에서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규모를 정확히 예측하고, 그에 대처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재해대응 차원에서 피해 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면 신속하게 대응하여 피해를 저감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자연재해 중 풍랑에 관한 피해액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동해 및 제주 연안지역을 대상으로 국민안전처에서 발간하는 재해연보(1991~2014)의 풍랑 및 태풍피해 이력을 수집하였으며, 물가상승률을 반영하기 위해 2014년 기준으로 피해액을 환산하였다. 또한, 기상청 및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에서 파고, 풍속, 조위, 파향, 파주기 등의 기상 자료를 수집하였다. 풍랑피해가 발생했을 때 연안지역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2015년 국립해양조사연구원에서 발행한 연안재해노출지수(Coastal Disaster Index; CODI), 연안민감도지수(Coastal Sensitivity Index; COSI), 연안재해영향지수(Coastal Potential Impact Index; CPII)를 반영하였다. 피해 발생 시 기상현황, 지역특성을 나타내는 지수, 피해액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풍랑피해액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연안도시 재해지도 작성을 위한 복합재해정보 콘텐츠 분석 (Analysis on Complex Disaster Information Contents for Building Disaster Map of Coastal Cities)

  • 김정옥;김지영;이원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3-60
    • /
    • 2016
  • 연안도시는 태풍에 의해서 해상에서 발생하는 조석이나 해일뿐만 아니라 호우로 인한 하천범람이나 저지대 침수 등의 복합원인을 고려한 대응방안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재해정보 관리를 효율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재해지도를 주목하고 재해지도 작성을 위한 복합재해정보 콘텐츠를 정립하였다. 연안도시 맞춤형으로 설계한 복합재해정보 콘텐츠 프레임은 크게 복합재해콘텐츠, 대피 및 시설콘텐츠, 학습콘텐츠로 구성된다. 제안한 연안도시 복합 재해정보 콘텐츠는 국민안전처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에서 공개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공간정보 형태로 구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