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stal Vegetation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7초

Spatial analysis of Shoreline change in Northwest coast of Taean Peninsula

  • Yun, MyungHyun;Choi, ChulUong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9-38
    • /
    • 2015
  • The coastline influenced naturally and artificially changes dynamically. While the long-term change is influenced by the rise in the surface of the sea and the changes in water level of the rivers, the short-term change is influenced by the tide, earthquake and storm. Also, man-made thoughtless development such as construction of embankment and reclaimed land not considering erosion and deformation of coast has been causes for breaking functions of coast and damages on natural environment. In order to manage coastal environment and resources effectively, In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and predict erosion in coastal environment and changes in sedimentation quantitatively by detecting changes in coastal line from data collection for satellite images and aerial LiDAR data. The coastal line in 2007 and 2012 was extracted by manufacturing Digital Surface Model (DSM) with Aviation LiDAR materials. For the coastal line in 2009 and 2010,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method was used to extract the KOMPSAT-2 image selected after considering tide level and wave height. The change rate of the coastal line is varied in line with the forms of the observation target but most of topography shows a tendency of being eroded as time goes by. Compared to the relatively monotonous beach of Taean, the gravel and rock has very complex form. Therefore, there are more errors in extraction of coastlines and the combination of transect and shoreline, which affect overall changes. Thus, we think the correction of the anomalies caused by these properties is required in the future research.

해안사구 지형변화에 대한 해안림의 영향: 소황리 전사구를 사례로 (Impact of Coastal Forests on Geomorphological Changes of Coastal Dunes: A Case of the Sohawang-ri Foredune, Chungnam Province)

  • 김윤미;공학양;최광희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1-66
    • /
    • 2021
  • This study shows that coastal sand dunes are negatively affected by coastal forests. In South Korea, planting pine trees on the dunes has been carried out to stabilize the dune landscapes and protect residential areas from coastal disasters since the 20th century. However, this strategy could reduce the resilience of dunes. In this study, we selected three monitoring sites with automated weather stations to compare the geomorph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between tree-covered and grass-covered dunes at Sohwang-ri, Boryeong-si, Chungnam Province for three years. In addition, we monitored the rates of erosion and deposition using eight pins along the dune crests. We found that the forest affected both wind velocity and direction, resulting in decreased blown sand supply to the dunes in front of the forest. The velocity of the strong winds faster than 5 m/s diminished to 10%-30% of the control sites, and the direction of northwesterly wind were skewed to the north by about 6°. Sand deposition occurred at about 15-20 m away from the pine forest and the amount was only 1/10 of the deposition within the grass-covered dunes. This study suggests that planting trees in coastal dunes is an undesirable strategy with negative impacts on the landscape management.

해안습지 성장률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순천만 염하구 해안습지를 사례로 -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Vertical Accretion Rate in a Coastal Wetland - In case of Sunchon bay estuarine marsh, south coast of Korea -)

  • 박의준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53-168
    • /
    • 2000
  • 해안습지는 육지와 해양이 만나는 점이지대에 형성된 해안퇴적지형으로, 이 중 염하구는 하천과 조류의 영향이 갯강을 통해 직접적으로 미치는 만입형 해안습지이다. 따라서 하천과 조류에 의한 퇴적작용은 염하구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프로세스이다. 해안습지는 최근 중요한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해수면 상승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지형이기 때문에, 해안습지 성장률에 관한 연구는 해안환경의 이해와 관리에 있어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순천만 염하구 해안습지를 대상으로 상이한 시간단위 속에서 진행되는 퇴적률과 조류에 의한 부유하중의 이동패턴 분석을 토대로 해안습지 성장률의 공간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조석의 일주기간의 퇴적률은 경사변환점이 염생습지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하구에서 바다로 이동하면서 퇴적률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조석의 일주기간의 퇴적률에서는 갯강과 배후 갯벌사이 경사변환점의 제방효과와 부유하중의 농도가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연간 퇴적률은 염생습지가 경사변환점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어 조석의 일주기간의 퇴적률과는 다른 공간적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하구에서 바다로 이동하면서 퇴적률이 감소하는 것은 동일하였다. 따라서 연간 퇴적률에서는 식생에 의한 부유하중 고착능력과 조류의 정체시간, 부유하중의 농도가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조류내 부유하중의 농도는 전체적으로 썰물시 영생습지를 통과한 직후가 밀물시 경사변환점을 통과한 직후보다 높은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썰물시 경사변환점을 통과한 직후의 부유하중 농도는 오히려 약간 증가하였는데, 이는 썰물에 의해 경사변환점의 퇴적물이 침식되었기 때문이다. 연구지역의 퇴적률은 시간단위와 지점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보이면서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경사변환점은 제방효과에 의한 퇴적과 조류 및 외부요인에 의한 침식이 동시에 일어난 반면, 염생습지는 조류의 정체시간과 식생에 의한 부유하중 포획에 따라 침식보다는 퇴적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따라서 연구지역의 성장률은 갯강을 중심으로 횡적으로는 염생습지가 경사변환점보다 높고, 종적으로하는 하구지점에 가까울수록 높게 나타났다. 특히, 지난 1년간의 성장률은 다른 지역에 비해서 매우 빠른 $0.9{\sim}3.5cm/yr$로 모든 지점에서 퇴적이 침식보다 우세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연구지역이 새로운 퇴적환경으로 전이되고 있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다.

  • PDF

갈대 서식 연안습지에서의 순복사와 토양열 플럭스 (Net Radiation and Soil Heat Fluxes Measured on Coastal Wetland Covered with Reeds)

  • 김희종;김동수;윤일희;이동인;권병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33-239
    • /
    • 2007
  • In the coastal wetland the mud is consist of fine particles, which means that it is characterized by small gap, and heat transfer is obstructed since moisture is found between the gaps. The relationship between net radiation ($R_N$) and soil heat flux($H_G$) shows a counterclockwise hysteresis cycle, which refer to a time lag behind in the maximal soil heat fluxes. The albedo is independent of seasonal variation of the vegetation canopy which plays very important roles to store and control the heat in the atmospheric surface layer.

海安 鹽濕地 植生의 純生産性 推定法의 比較 (Comparison of Estimation Methods for Primary Net Production at Herbaceous Coastal Marsh Vegetation)

  • Ryu, Beung Tae;Joon-Ho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8권3호
    • /
    • pp.133-140
    • /
    • 1985
  • Aboveground net productions of four stands in the coastal salt marsh of Incheon were estimated with three different methods: first method was to measure peak live standing crop; second to measure both live and dead standing crops; thrid to measure live and dead standing crops and dead disappearance as well. Net productions estimated by the first method were lowest with a difference of 28~50% from those by the third method. Whereas estimates by the second method approximated considerably to those by the third method with a difference of 4~15%. The third method figured out the highest values and seemed to be most appropriate in estimating net production of herbaceous community. Form these results it is known that live standing crop, dead standing crop and dead disappearance respectively accounted for about 60, 30, 10% of net production estimated by the third method. Annual net productions estimated by the third method for Suaeda japonica-Salicornia herbacea, Artemisia scoparia-Limonium tetragonum, Calamagrostis epigeios, and Sonchus brachyotus-Setaria viridis stand were 650, 1, 080, 1, 409 and 1, 126 g.$m^{-2}.yr^{-1}$, respectively.

  • PDF

멸종위기 식물인 갯봄맞이 최남단 군락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Glaux maritima var. obtusifolia Community on the Southernmost Distribution Area in Korea)

  • 임정철;이철호;김의주;최병기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3
    • /
    • 2018
  • 갯봄맞이는 한국에서 매우 제한적인 분포를 보여 멸종위기종으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갯봄맞이의 남방한계지역에 해당하는 당사해안습지의 식생 다양성을 확인하고 식생결정 요인과 서식처 중요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식생분류를 위해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환경요인과 식생과의 관계 분석을 위해 수리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당사해안습지는 갯봄맞이-지채군락 (3개 하위군락), 갯꾸러미풀s.l.군락, 기장대 풀군락, 갈대-꼬마부들군락의 4개 단위식생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 식생의 주요 결정요인은 수분환경과 토심, 수위교란정도, 식생고, 군락구조 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갯봄맞이는 갯봄맞이-지채군락의 전형아군집에서 가장 우세하게 생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인접한 일본의 남방한계지역과도 유사한 종조성 및 우점상황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사해안습지는 식물지리 및 식생지리학적 측면에서 큰 의미를 지니는 입지이며, 다양한 종의 피난처로서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당사해안습지의 가치를 다양한 관점에서 정밀하게 파악하고 보호 및 관리하기 위한 보전전략의 수립이 요구된다.

육상지형을 고려한 연안해역에서의 취송류에 관한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f Wind Driven Current and Mesoscale Air Flow in Coastal Region with Land Topography)

  • 이성대;김인호;홍창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925-1930
    • /
    • 2006
  • 흐름의 연직분포를 가정하여 수면에서 바닥까지 적분하여 평균화한 방정식에 기초한 준2차원 흐름모형을 연안해역에서의 취송류해석을 위해 적용되었다. 바람장의 변동에 따른 취송류장의 변동이 크게 나타나므로 본 연구에서는 육상지형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3차원 중규모 지역기상장 모형을 통해 연안해역에서의 시간에 따른 바람장변동을 수치해석 하였다. 육상에서의 지표면 열수지 변화를 위해 식생모델을 적용하였다. 기상장과 취송류 해석을 위한 수치모형실험결과 바람장의 변동에 따른 연안역에서의 흐름특성을 효과적으로 예측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우리나라 남부 지역의 식생에 따른 세포성 점균의 출현과 분포 -남해안 및 도서 지역 상록수림에서의 세포성 점균-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Cellular Slime Molds in Relation to the Vegetation of Southern Area in Korea -Cellualr Slime Molds in Evergreen Forests in the Southern Coastal Area and Islands -)

  • 장남기;홍정수;심규철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1-88
    • /
    • 1996
  • Twelve dictyostelids occurred in the southern coastal area and islands; nine species of genus Dictvostelium and three species of genus Polysphoslylium. In ten sites of evergreen-broadleaved forests, 12 species were identified and average prensent species was 6.0. D. mucoroiles, D. misutum, P. pallilum and P. violaceum were dominant species. The first dominant species was D. mucoroides. Its importance value was 55 and was much more than the others. Especially, for P. violaceum presence was 90%. It was much higher. But relative density was no more than 3%. D. minutum that was not common species had comparahly high im- portance value. In two sites of evergreen conifers, only four species occurred; D. mucoroiles, D. brefeldianum, D. capitatum and P. pallilum Average present species was 2.0. Dominant species was D. mucoroides. Average of total clones in evergreen-hroadleaved forests and evergreen conifers were irrespectively 8,608 and 9,541. As for the number of species, cellular slime molds distributed variably in evergreen-broadleaved forests than evergreen conifers.

  • PDF

Assembly processes of moss and lichen community with snow melting at the coastal region of the Barton Peninsula, maritime Antarctic

  • Kim, Seok Cheol;Kim, Jun Seok;Hong, Bo Ram;Hong, Soon Gyu;Kim, Ji Hee;Lee, Kyu S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0권1호
    • /
    • pp.55-65
    • /
    • 2016
  • Background: In this article, it was analyzed how snow melting affects the assembly of lichen and moss communities in a small area of the coastal region of Barton Peninsula, which is in maritime Antarctic. In the small area, even though there is a huge gap of difference of the environment between the snow-filled area and snow-melt one, the latter did not have distinctive environmental gradients. Results: Depending on the snow melting time, coverage and species diversity of lichens and mosses tend to increase remarkably. For species with significant changes depending on the snow-covered period, there are Andreaea regularis, crustose lichens, Placopsis contortuplicata, Usnea aurantiaco-atra, and snow algae. In this area, the process of vegetation assembly process has shown the directional development in the order of snow algae${\rightarrow}$crustose, lichen sub-formation${\rightarrow}$fruticose lichen, moss cushion sub-formation (Andreaea sociation)${\rightarrow}$fruticose lichen, and moss cushion sub-formation (Usnea sociation), according to the order of snow melting. These directional development stages are shown in gradual change in small area with the snow melting phenomena. However, in the snow-free area, where water is sufficiently supplied, it is expected that moss carpet sub-formation (Sanionia sociation) will be developed. Vegetation development in the small area with the snow melting phenomena, depending on differences of resistance on snow kill and moisture settled by species in according to the time of snow melting, tolerance model to form community is followed. Conclusions: The research results explain the development of vegetation in the Antarctic tundra and its spatial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period for growth of lichens and mosses in the summer time by differences of snow melting in the small area. In the future, if research for the community development process in a large scale will be done, it will be helpful to figure out temporal and spatial dynamic of vegetation in the Antarctic tundra where snow and glaciers melt rapidly due to climatic warming.

우리나라 해안림조성과 관리의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Review on the Planting and Management of Coastal Forests in Korea)

  • 김용식;김도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0-123
    • /
    • 2017
  • 본 연구는 한반도 해안림의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해안림의 조성과 관리에 대한 역사, 목적, 주체, 대상지, 규모, 조성방법, 식재수종, 식재지반, 층위구조, 관리제도 등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해안가의 주민들은 삶의 터인 정주지에 당면한 바닷가의 잦은 자연재해로부터 안전과 풍수지리학적 경관의 비보를 위하여 해안림을 조성하였고, 관청은 자연재해나 군사목적으로 조성하고 관리하였다. 한반도의 해안림은 기록상으로 고려시대와 이조시대에는 민간과 관청이 주도적으로 조성하고 관리하였으나 1970년대 후부터는 민간, 관청, NGO단체, 종교단체, 기업 등이 참여하고 있다. 해안림의 조성과 관리는 기본적으로 해안가의 재난방지, 풍수적 비보, 군사적 이용, 목재생산을 위하여 조성되었지만, 부대적으로 신앙의 장소, 질병감소, 화재의 감소, 임산물 생산성의 증가, 어류의 증가, 풍치 경관 쾌적성의 향상, 관광객과 이주자의 증가, 문화예술의 동기부여, 휴식, 심신단련의 장, 공동체 결속, 전통문화의 계승, 교육, 생물의 서식처, 생물이동통로, 생물다양성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해안가로부터 재난의 경험이 많은 사람들은 해안림 보전에 대한 인식이 강하고, 해안림을 자자손손 대대로 물려주어야 할 유산으로 생각하고 있다. 해안림은 학술적 측면에서 인문, 사회, 문화, 생물, 생태, 풍치적 이용 등에 대한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한반도 해안림은 한번 훼손되면 다시 회복되기 어려운 환경압이 높으므로 자자손손 후대에 온전하게 물려주어야 할 사명으로 관리하고 보전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반도 해안림에 대한 이론적 고찰에 국한된 것으로 실상을 면밀하게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우리나라 해안림에 대한 조성과 관리 그리고 민속과 문화 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현장조사를 통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