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rse particle

검색결과 413건 처리시간 0.022초

부산 도심지에서 측정된 에어로졸 농도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erosol Concentrations Observed in an Urban Area, Busan)

  • 김연종;김철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31-342
    • /
    • 2010
  • Aerosol physical properties have been measured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by using the 16-channel LPC(Laser Particle Counter), and particle characteristics have been examined for the period from Aug. 4 2007 to Dec. 30, 2008. Annual total average, seasonal average, and other averages of the meteorologically classified four categories such as Asian dust, precipitation, foggy, and clear days are respectively described here. Both annually and seasonally averaged number concentration show three peaks at the particle diameter of 0.3, 1.3, and $4{\mu}m$, respectively. However, the first peak for summer season tends to be shifted toward smaller size than other seasons, implying the strong fine particle generation. Meteorological condition shows strong contrast in aerosol concentrations. In Asian dust case, relatively lower number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les (i.e., smaller than $0.5{\mu}m$) were predominant, while higher concentrations of coarse particles were found particularly for the size bigger than $0.5{\mu}m$. In precipitation day, number concentrations were decreased by approximately 30% due to the removal process of precipitation. Foggy day shows significantly higher concentrations for fine particles, implying the importance of the aerosol condensation process of micro-fine-particle growing to fine-particle. Finally the regressed particle size distribution function was fitted optimally with two log-normal distribution, and discuss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four categorized cases of the Asian dust, precipitation, foggy, and clear days.

고형성분의 농도와 입도가 액상 초코렛의 유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lid Content and Particle Size on the Flow Properties of Molten Chocolate)

  • 김도언;유명식;변유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5-79
    • /
    • 1989
  • 초콜렛의 주요 고체성분인 설탕과 코코아 현탁액의 용융상태에서의 유동특성을 Haake회전점도계로 측정 분석하였다. 두 현탁액 모두 실험 농도에서 항복응력을 가졌으며 낮은 전단속도에서는 rheopexy, 높은 전단속도에서는 thixotropy 성질을 나타내었다. 현탁액의 유동특성은 변형된 Casson식으로 분석되었으며 Casson viscosity와 yield value는 설탕과 코코아 입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Casson viscosity는 고체성분의 입도가 커짐에 따라 설탕 현탁액에서는 감소하였고 코코아 현탁액에서는 증가하였다. Casson yield value는 고체성분의 입도가 커짐에 따라 설탕 현탁액에서 는 감소하였고 코코아 현탁액에서 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초콜렛의 유동성은 관능적으로 바람직한 범위 내에서 설탕 입도는 크게 하고 코코아 입도는 작게 함으로써 개선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조분(粗粉) 시멘트와 플라이애시를 복합 치환한 매트 기초 매스콘크리트의 현장적용 (Field Application on Mass Concrete of Combined Coarse Particle Cement and Fly-Ash in Mat Foundation)

  • 한천구;장덕배;이충섭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1-20
    • /
    • 2010
  • 매스콘크리트를 시공함에 있어 수화열은 균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이와 같은 저발열형 시멘트를 이용하는 방법은 거의 채택되지 않고, 값싼 플라이애시나 고로슬래그미분말 등의 혼화재만을 치환하여 수화열을 줄이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렇게 혼화재만을 다량 치환하게 되면 내구성 품질에 악영향을 미쳐 구조물의 성능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조분(粗粉)시멘트(CC)를 사용하면서 혼화재를 복합 치환함으로서 성능저하를 최소화 하며, 수화열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공법의 개발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OPC에 CC와 함께 FA를 복합 치환하여 분말도를 약 $3,000\;{\pm}\;200\;cm^2/g$으로 조정한 시멘트를 실용화 할 목적으로 Mock-up test를 진행한 후 이를 실무현장에 적용하도록 한다.

순환식 양액재배에 있어서 관주 주기, Perlite의 입자 크기 및 깊이가 국화 '수방력'의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rrigation Frequency, Particle Size and Depth of Perlite Medium on Growth and Flowering of Dendranthema grandiflorum Grown on Recycling System)

  • 김선화;김기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3호
    • /
    • pp.355-360
    • /
    • 1999
  • 본 연구는 절화용 국화의 생산에 있어서 관주 주기, 펄라이트 배지의 입자 크기 및 배지 깊이가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 관주 주기는 하루에 3, 9, 18회로 처리하였으며 가는 입자와 굵은 입자 펄라이트를 각각 단용으로 처리하였다. 배지 깊이는 $34{\times}120{\times}15cm$의 스티로폴 성형 베드내에서 15, 10cm로 하였다. 실험 2에서 관주 주기는 하루에 3, 6, 9회로 하여 한 번에 동일한 양을 관주하였고 배지는 가는 입자와 굵은 입자 펄라이트를 각각 단용으로 처리하였다. 배지 깊이는 같은 베드 내에서 15, 7.5cm로 하였다. 관주 횟수에 따른 생육의 차이를 살펴보면 실험 1에서, 관주 주기간 생육의 차는 거의 없었지만 체내 무기성분의 함량은 18회 관주시 가장 많았다. 실험 2에서는 9회 관주시 가장 생육이 좋았고 체내무기성분의 함량도 많았다. 배지 굵기간 차이를 살펴볼 때, 가는 입자 배지에서 생육이 월등하게 좋았으나 관주가 잦아질수록 생육의 차는 줄어들었다. 같은 관주 주기 내에서 배지간 생육 차이는 배지내 수분보유능력과 공극률의 차이와 뿌리 뻗음의 형태적 차이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배지 깊이간 생육의 차이는 거의 없어서 배지의 양을 줄임으로써 생산비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2001년 봄철 서울시 북동부지점에서 관측한 중금속성분의 농도분포 (The Metallic Composition of PM2.5 and PM10 in a Northeast Region of Seoul During the Spring 2001)

  • 최규훈;강창희;김기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14-525
    • /
    • 2002
  • 본 연구는 서울시 북동지역의 군자동에 위치한 세종대학교를 중심으로 2001년 봄철 3월에서 4월까지 PM2.5와 PM10을 채취하여, 이들과 결합된 중금속 성분들에 대한 농도분포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전체 관측기간 동안 산출된 PM2.5, PM10, 조대입자 영역(PM10-PM2.5)의 평균농도는 49.3${\pm}$29.2, 95.5${\pm}$46.1, 50.5${\pm}$35.0 ${\mu}g$/m$^3$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지역의 중금속 오염도를 살펴보기 위해 부화계수(enrichment factor: EF)를 비교한 결과, 미세 및 조대입자 모두에서 Zn, V, Cr, Pb, Cu, Ni, Co, Mo 등의 중금속 성분들의 EF값이 수십, 수백의 범위에 달할 정도로 오염의 수준이 심각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세/조대입자 영역간에 형성되는 농도비를 비교한 결과, Zn, Cr, Pb, Ni 등이 미세입자 영역에서 뚜렷하게 더 높은 농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금속 농도에 대해 보다 세부적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금속 성분들의 농도는 상당 수준 증가하는데, 이와 같은 증가는 황사의 영향을 상당 수준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무 에어로졸의 조성 및 기류 유입경로별 변화: 2012-2013년 제주도 고산지역 측정 (Compositions of haze aerosols and their variation by inflow pathway of air mass at Gosan site in Jeju Island during 2012-2013)

  • 현동림;송정민;김기주;김원형;강창희;고희정
    • 분석과학
    • /
    • 제27권4호
    • /
    • pp.213-222
    • /
    • 2014
  • 국내 배경지역인 제주도 고산측정소에서 2012~2013년에 대기 미세먼지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로부터 연무와 비현상일의 조성특성을 조사하였다. 연무 시 $nss-SO_4{^{2-}}$, $NO_3{^-}$, $NH_4{^+}$ 농도는 비현상일에 비해 조대입자에서 2.1~3.7배, 미세입자에서 3.1~6.5배로 미세입자에서 더 높게 증가하였고, 특히 $NO_3{^-}$ 농도가 미세입자에서 6.5배 상승하였다. 원소성분들 중에는 S, Zn, Pb, K 등이 비현상일보다 조대입자에서 3.0~5.6배, 미세입자에서 3.2~7.7배 증가하나 Al, Fe, Ca 등은 대부분 조대입자에서 농도가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역궤적 분석 결과 연무 시 $nss-SO_4{^{2-}}$, $NO_3{^-}$ 농도는 중국으로부터 유입되었을 때 더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특히 기류가 중국남부를 통과했을 때 $NO_3{^-}$ 농도가 더 크게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NO_3{^-}/nss-SO_4{^{2-}}$ 농도비는 중국에서 기류가 이동했을 때 조대입자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이나 미세입자에서는 오히려 한반도를 통과했을 때 더 높은 성분비를 나타내었다.

Chemical Properties of Indoor Individual Particles Collected at the Daily Behavior Spaces of a Factory Worker

  • Ma, Chang-Jin;Kang, Gong-Unn;Sakai, Takuro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1권2호
    • /
    • pp.122-130
    • /
    • 2017
  •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larify the properties of individual particles collected at each behavior space of a factory worker. The samplings of size-segregated ($PM_{2.1-1.1}$ and $PM_{4.7-3.3}$) indoor particles were conducted at three different behavior spaces of a factory worker who is engaged in an auto parts manufacturing plant (i.e., his home, his work place in factory, and his favorite restaurant). Elemental specification (i.e., relative elemental content and distribution in and/or on individual particles) was performed by a micro-PIXE system. Every element detected from the coarse particulate matters of home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i.e., a group of high net-counts (Na, Al, and Si), a group of intermediate net-counts (Mg, S, Cl, K, and Ca), and a group of minor trace elements (P, Ti, V, Cr, Mn, Fe, Co, Ni, Cu, Zn, and Pb). The results of EF for $PM_{4.7-3.3}$ in home indicated that several heavy metals were generated from the sources within the house itself. An exceptional feature shown in the individual particles in workplace is that Cr, Mn, and Co were clearly detected in both fine and coarse particles. Cluster analysis suggested that the individual coarse particles ($PM_{4.7-3.3}$) collected at the indoor of factory were chemically heterogeneous and they modified with sea-salt, mineral, and artificially derived elements. The principal components in individual coarse particles collected at restaurant were sea-salt and mineral without mixing with harmful trace elements like chromium and manganese. Compared to the indoor fine particles of home and restaurant, many elements, especially, Cl, Na, Cr, Mn, Pb, and Zn showed overwhelmingly high net-counts in those of factory.

Direct Horizontal-Flow Roughing Filtration의 조립 여상에서의 입자 제거 모델링 (Modeling of Particle Removal in the Coarse Media of Direct Horizontal-Flow Roughing Filtration)

  • 안효원;박노석;이선주;이경혁;왕창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38-347
    • /
    • 2005
  • Horizontal-Flow Roughing Filtration (HRF) is one of altemative pretreatment methods e.g. prior to Slow Sand Filtration (SSF). However, some of its limitations are that the effluent quality drops drastically at higher turbidity (>200 NTU) and at higher filtration rate (>1 m/h). To overcome these drawbacks, we suggested Direct Horizontal-Flow Roughing Filtration (DHRF), which is a modified system of Horizontal-Flow Roughing (HRF) by addition of low dose of coagulant prior to filtration. In this study to optimize the DHRF configuration, a conceptual and mathematical model for the coarse compartment has been developed in analogy with multi-plate settlers. Data from simple column settling test can be used in the model to predict the filter performance. Furthermore, the model developed herein has been validated by successive experiments carried out. The conventional column settling test has been found to be an handy and useful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DHRF for different raw water characteristics (e.g. coagulated or uncoagulated water, different presence of organic matter, etc.) and different inital process conditions (e.g. coagulant dose, mixing time and intensity, etc.). An optimum filter design for the coarse compartment (grain size 20mm) has been found to be of 3 m/h filtration rate with filter length of 4-4.5 m.

대기중 중금속 입자의 입경분포 및 건식침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Size Distributions and Atmospheric Dry Deposition of Heavy Metals)

  • 이승묵;이은영;정장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75-585
    • /
    • 2000
  • 서울지역의 질량 및 중금속 건식침적량과 대기중 입자의 입경분포를 1998년 7월부터 11월까지 건식침적판, 다단계 관성충돌 채취기(Cascade Impactor) 및 조대업자 채취기(Coarse Particle Sampl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인위적 오염원에 기인한 중금속(Cu, Mn, Ni, Pt, Zn)의 건식침적량이 주로 자연적 오염원에 기인한 중금속(Al, Ca)의 건식침적량에 비하여 약 10배에서 100배 정도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완전한 총 입자 및 중금속 입자의 입경분포는 입자 입경이 $10{\mu}m$보다 작은 영역에서 두 개의 peak를 보이고 $10{\mu}m$보다 큰 입자 영역에서 또다른 peak을 보이는 삼봉형(trimodal) 입경분포를 보여주었다. Sehmel-Hodgson 모델을 사용하여 건식침적속도를 추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총 입자 및 중금속 입자의 건식침적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다단계 모델(Multi-step model)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에 의하면, 건식침적량은 입자의 입경이 $10{\mu}m$보다 큰 입자들의 높은 건식침적속도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고 이로부터 건식침적은 $10{\mu}m$보다 큰 입자들의 침적이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측정된 입자의 입경분포와 추정된 건식침적속도를 이용하여 다단계 모델을 통하여 예측된 건식침적량은 직접 측정된 건식침적량과 비교하였을 때 잘 일치하였다.

  • PDF

쌀의 품종과 입도를 달리한 탁주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Takju with Different Varieties of Rice and Particle Size)

  • 이효정;이인숙;정희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1-205
    • /
    • 2012
  • 식생활이 다양화되고 편의화 됨에 따라 쌀 소비량은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의 쌀 소비를 촉진시키고 쌀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주식으로서의 쌀 외에 쌀 가공식품 개발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 술을 이용한 쌀 소비는 다른 쌀 가공식품에 비해 높은 부가가치성을 지니므로 더욱 주목된다. 본 연구는 쌀 품종과 입도의 가공특성을 달리하여 탁주를 제조한 다음 품온, 당도, 알코올 함량, 산도, 아미노산가, pH, 색도 및 관능 등의 품질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먼저 안다, 하이아미, 추청 세 품종의 쌀가루를 이용하여 무증자법으로 탁주를 제조한 다음 입도별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모든 탁주 술덧의 품온은 담금 2일 후 최고 온도에 도달하였다. 품종에 따른 차이는 산도와 관능 평가에서만 나타났다. 산도의 경우 안다, 추청, 하이아미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관능 평가는 추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입도별로는 알코올 함량과 산도는 중분쇄 쌀가루 탁주에서 높게 나타났고 담금 직후의 품온, 당도, 아미노산가, pH, 색도, 관능은 초미세 쌀가루 탁주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쌀 품종과 입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무증자 탁주는 추청 초미세 쌀가루로 담그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