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HY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35초

한국 재배종 낙동벼에서 임성 형질전환식물체의 재분화 (Regeneration of Fertile Transgenic Rice Plane from a Korean Cultivar, Nakdongbyeo)

  • Soo In LEE;Hyun Jin CHUN;Chae Oh LIM;Jeong Dong BAHK;Moo Je CHO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75-182
    • /
    • 1995
  • 벼는 임성 식물체의 재분화 뿐만 아니라 유전적으로 안정된 형질전환 식물체를 얻을 수 있는 가장 성공적인 단자엽 식물중 하나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유전적으로 안정된 임성 형질전환 벼품종에 대한 보고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의 재배종인 낙동벼로부터 임성 형질전환식물체를 얼을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현탁뱅양세포로부터 분리된 원형질체를 이용하여 PEG로 HPT와 GUS Plasmids늘 함께 형질전환시켰다. 다섯번의 실험을 통하여 hygromycin 저항성 캘러스는 평균 1.73%이였다. 소식물체는 항생제 저항성 캘러스로부터 재분화되었고 식물체 재분화효율은 약 27%이었다. 항생제에 저항성이 있는 캘러스에서 GUS 유전자가 발현되는 캘러스는 평균 35%였다. R0형질전환식물체는 성숙 개화하여 Rl 종자를 생성하였다. Rl 종자와 유모의 해부학적 GUS 활성을 분석하여 CaMV35S 프로모터 의해 GUS 유전자가 적절히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리는 Rl세대에서 HPT유전자가 멘델 법칙에 따라 유전됨을 확인하였다

  • PDF

Effect of Red Pepper (Capsicum frutescens) Powder or Red Pepper Pigment on the Performance and Egg Yolk Color of Laying Hens

  • Li, Huaqiang;Jin, Liji;Wu, Feifei;Thacker, Philip;Li, Xiaoyu;You, Jiansong;Wang, Xiaoyan;Liu, Sizhao;Li, Shuying;Xu, Yongpi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11호
    • /
    • pp.1605-1610
    • /
    • 2012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s of red pepper (Capsicum frutescens) powder or red pepper pigment on the performance and egg yolk color of laying hens. In Exp. 1, 210, thirty-wk old, Hy-line Brown laying hens were fed one of seven diets containing 0.3, 0.6, 1.2, 2.0, 4.8 or 9.6 ppm red pepper pigment or 0.3 ppm carophyll red. Each diet was fed to three replicate batteries of hens with each battery consisting of a row of five cages of hens with two hens per cage (n = 3). In Exp. 2, 180, thirty-wk old, Hyline Brown laying hens, housed similarly to those in Exp. 1, were fed an unsupplemented basal diet as well as treatments in which the basal diet was supplemented with 0.8% red pepper powder processed in a laboratory blender to an average particle size of $300{\mu}m$, 0.8% red pepper powder processed as a super fine powder with a vibrational mill ($44{\mu}m$) and finally 0.8% red pepper powder processed as a super fine powder with a vibrational mill but mixed with 5% $Na_2CO_3$ either before or after grinding. A diet supplemented with 0.3 ppm carophyll red pigment was also included (n = 3). In both experiments, hens were fed the red pepper powder or pigment for 14 days. After feeding of the powder or pigment was terminated, all hens were fed the basal diet for eight more days to determine if the dietary treatments had any residual effects. In Exp. 1,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gg-laying performance, feed consumption or feed conversion ratio due to inclusion of red pepper pigment in the diet. Average egg weight was higher (p<0.05) for birds fed 1.2, 2.4 or 9.6 ppm red pepper pigment than for birds fed the diet containing 0.3 ppm red pepper pigment. On d 14, egg color scores increased linearly as the level of red pepper pigment in the diet increased. In Exp. 2, feeding red pepper powder did not affect egg-laying performance, feed consumption or feed conversion ratio (p>0.05). However,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upplementation with all of the red pepper powder treatments increased egg weight (p<0.05). All the red pepper powder treatments also increased (p<0.05) the yolk color score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both red pepper powder and pigment are effective feed additives for improving egg yolk color for laying hens.

Pseudomonas sp. HJ에 의한 Poly(Hydroxybutyric-Co-Hydroxyvaleric) Acid의 생산 (Production of Poly(Hydroxybutyric-Co-Hydroxyvaleric) Acid by Pseudomonas sp. HJ)

  • 손홍주;민관필이상준
    • KSBB Journal
    • /
    • 제10권4호
    • /
    • pp.349-356
    • /
    • 1995
  • 하수처리장의 활생오니를 분리원으로 하여 수십종의 PHA 생산균을 분리하였다. 일반적으로 hy­d droxyvalerate monomer unit의 전구물질로 알려져 있지않은 glucose로부터 비교적 많은 PHA를 생산 하는 균주를 공시균으로 선정하여 형태학척, 배양적, 생리학적 제 특성을 검토한 결과 Pseudomonas 속으 로 통정되었다. 균체 생육을 위한 최적 배양온도 벚 배양 pH는 각각 $37^{\circ}C$와 7.0이었으며, 최적 탄소원 으로셔 glucose 1 %, 최적 질소원으로서 $(NH_4)_2SO_4$ 0.2%, K1HPO. 0.3%, $KH_2PO_4$ 0.45% 였다. 최적 P PHA 생산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2단계 배양법을 이용하였다 PHA 생산은 배지성분중 $NH_4, O_4$, Mg가 결핍되 였을 때 향상되었고, 그중 $NH_4$, 의 결핍시 PHA 축적률과 HV monomer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C/N molar ratio 95.2에서 PHA 축적률이 가장 높았다. 공시균주 Pseudomonas sp. HJ는 alkane, alkanoic acid, alcohol을 탄소원으로 하여 P PHB/HV를 생산하였다. PHA의 생산량과 HV monomer의 함량은 이용된 기질에 따라 다양하였으며, 특히 hexadecane와 propiOnate를 탄소원으로 하였을 때 PHA중의 HV monomer의 함량이 49~74mol %로 매우 높았다. IH-NMR로셔 공시균으로 부터 분리정제된 PHA의 조성을 분석한 결과 PHB/ H HV copolymer임을 알 수 였였다

  • PDF

Effects of enzymolysis and fermentation of Chinese herbal medicines on serum component, egg production, and hormone receptor expression in laying hens

  • Mei Hong Jiang;Tao Zhang;Qing Ming Wang;Jin Shan Ge;Lu Lu Sun;Meng Qi Li;Qi Yuan Miao;Yuan Zhao Zhu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1호
    • /
    • pp.95-104
    • /
    • 2024
  • Objective: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zymolysis fermentation of Chinese herbal medicines (CHMs) on egg production performance, egg quality, lipid metabolism, serum reproductive hormone levels, and the mRNA expression of the ovarian hormone receptor of laying hens in the late-laying stage. Methods: A total of 360 Hy-Line Brown laying hens (age, 390 days) were randomly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Hens in the control (C) group were fed a basic diet devoid of CHMs, the crushed CHM (CT), fermented CHM (FC), and enzymatically fermented CHM (EFT) groups received diets containing 2% crushed CHM, 2% fermented CHM, and 2% enzymatically fermented CHM, respectively. Results: Compared with crushed CHM, the acid detergent fiber, total flavonoids, and total saponins contents of fermented CHM showed improvement (p<0.05); furthermore, the neutral and acid detergent fiber, total flavonoids, and total saponins contents of enzymatically fermented CHM improved (p<0.05). At 5 to 8 weeks, hens in the FC and EFT groups showed increased laying rates, haugh unit, albumin height, yolk color, shell thickness, and shell strength compared with those in the C group (p<0.05). Compared with the FC group, the laying rate, albumin height, and Shell thickness in the EFT group was increased (p<0.05). Compared with the C, CT, and FC groups, the EFT group showed reduced serum total cholesterol and increased serum luteinizing hormone levels and mRNA expressions o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receptor and luteinizing hormone receptor (p<0.05).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TF group improved the laying rate and egg quality and regulated the lipid metabolism in aged hens. The mechanism underlying this effect was likely related to cell wall degradation of CHM and increased serum levels of luteinizing hormone and mRNA expression of the ovarian hormone receptor.

배연가스 분석에 의한 가연성과 유기성폐기물을 혼합한 고형화연료 연소 특성평가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Combustion by Analysis of Fuel Gas Using Refuse-derived Fuel by Mixing Different Ratios with Organic and Combustible Wastes)

  • 하상안
    • 유기물자원화
    • /
    • 제17권3호
    • /
    • pp.27-39
    • /
    • 2009
  • 본 연구는 가연성폐기물, 음식물폐기물 및 하수슬러지를 혼합하여 연료로 제조하여, 연소장치에서 다양한 연소조건에 따라 배출되는 배연가스를 분석하여 연소특성을 조사하였다. CO가스성분은 연소과정에서 불완전연소 부분을 평가하는 가스성분으로서, 연소장치의 실험조건이 온도 $800^{\circ}C$와 공기비 2일 때 가장 낮게 발생하였다. $CO_2$는 시료가 완전 연소되어 최종적으로 발생되는 부산물로서 연소조건이 가장 최적상태인 온도 $800^{\circ}C$와 공기비 2일 때 가장 높은 농도가 발생하였다. $SO_2$ 발생은 시료 중에 황 함유량이 높은 S.1에서 높게 나타났다. NOx는 질소성분이 높은 S.1시료와 온도 $800^{\circ}C$의 조건에서 공기비 m=2의 조건에서 NOx의 발생이 높게 나타났다. HCl가스는 연소과정에서 산소의 촉매 반응을 통해서 분진이나 금속촉매물질과 반응하여 다이옥신류를 발생시키는 전구물질로서 분석결과에서 보면 시료의 Cl함유량이 많은 시료와 동일한 시료에서 온도 $800^{\circ}C$와 공기비 2일 때가 가장 낮은 HCl의 농도가 발생되었다. $NH_3$는 시료의 혼합비율과 온도조건보다는 공기비 2일 때 연소시작 3분 후에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연소온도 보다는 공기비가 $NH_3$의 생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H_2S$ 발생은 시료의 황 함유량이 높은 S.1시료와 하수슬러지나 음식물쓰레기 혼합 비율이 높은 경우 높게 나타났다. 연소실험에서 혼합비율에 따라서 제조된 S.1과 S.2의 시료를 연소한 결과 CxHy농도 무연탄 연소시 발생농도와 비슷하게 나타남으로서, 성형하여 제조된 연료는 보조연료 및 주연료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느티만가닥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 급여가 산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ermented spent mushroom (Hypsizygus marmoreus) substrates on laying hens)

  • 김수철;문여황;김혜수;김홍출;김종옥;정종천;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50-356
    • /
    • 2014
  • 느티만가닥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 급여가 산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도준농산에서 수거한 느티만가닥버섯 수확후배지를 Bacillus subtilis EJ3 배양액과 혼합하여 2주 동안 발효시킨 것을 공시사료로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인 12주령된 Hy-line brown 갈색계 24수는 시판사료 급여구인 대조구(T0)와 5(T1), 10(T2), 15%(T3)의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이 첨가된 시판사료 급여구인 시험구로 나누어 12주 동안 공시사료를 급여하였다. 12주동안 평균 산란율은 대조구에 비해 5%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구에서 증가하였다가 버섯수확후배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와 5%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구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약간 증가하였다.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와 5% 버섯수확후 배지 첨가구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10% 버섯수확후배지 첨가구부터는 버섯수확후배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산란량과 산란율은 대조구보다는 5% 버섯수확후배지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12주의 사양시험기간 동안 난중, 난각강도, 난각두께, 난황색 모두 5%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을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계란의 내부 품질을 평가하는 기준인 난황색은 5%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구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10% 이상의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을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난황색이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계란의 내부 오염 지표인 육반과 혈반에서는 처리구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외부 품질 기준인 난각색도 처리구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계란의 포장과 수송과정에서 계란의 상품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난각중과 난각 두께는 5%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구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의 급여구에서 산란계의 가스발생량은 버섯수확후배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사료 내 천연 미네랄과 키토산의 수준별 첨가가 산란계의 산란율 및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atural Mineral Complex and Chitosan Supplementation on Egg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in Laying Hens)

  • 유종상;김진동;조진호;진영걸;김해진;민병준;강대경;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09-316
    • /
    • 2006
  • 본 시험은 천연 미네랄 제제의 첨가가 산란계에 있어 생산성, 계란 품질과 혈액과 난황내 미네랄 조성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실시하였다. 사양 시험은 63주령 Hy-line Brown 252수를 공시하였으며 처리구는 1) Control (CON), 2) Contro1+1% 키토산+0.25% 천연 미네랄제제(C1-M0.25), 3) Contro1+1% 키토산+0.50% 천연미네랄 제제(C1-M0.5), 4) Contro1+2% 키토산+0.25% 천연 미네랄제제(C2-M0.25), 5) Contro1+2% 키토산+0.50% 천연 미네랄제제(C2-M0.5), 6) Control+3% 키토산+0.25% 천연미네랄 제제(C3-M0.25) 및 7) Contro1+3% 키토산+0.50% 천연미네랄 제제(C3-M0.5)으로 총 7처리구 3반복, 반복당 12수씩임의 배치하였다. 전체 시험기간 동안 키토산과 천연 미네랄 제제의 첨가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산란율, 난각 강도, haugh uint 및 혈액과 난황내 미네랄 조성 등을 개선시켰으며, 미네랄 0.5% 첨가한 처리구는 0.25% 첨가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혈액 내 K, Fe와 난황내 Fe함량을 개선시켰다. 키토산 3%에 천연 미넬랄 제제 0.5% 첨가한 처리구는 산란율과 난각 강도, 난황색 등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결론적으로 산란계 사료내 키토산과 천연 미네랄 제제의 첨가는 산란계의 생산성, 난각 특성, haugh unit 과 혈액 및 난황 내 미네랄 조성을 개선시켰다.

고지방 사료에 타우린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 품질, 혈액 성상, 간 조직의 지질 및 지질과산화물 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aurine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Egg Quality, Blood Parameter and Liver Lipid and Lipid Peroxidation Levels of Laying Hens Fed High Fat Diet)

  • 심관섭;박강희;나종삼;지중룡;최호성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37-345
    • /
    • 2010
  • 본 실험은 타우린이 고지방 사료를 급여한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 품질, 혈액 성상, 간 조직의 지질 및 지질과산화물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45주령 Hy-Line 갈색계 280수를 4개의 처리구로 구분하여 처리구당 7반복, 반복당 10수씩 배치하여 4주간 실시하였다. 실험 처리구는 기초 사료를 대조구로 하고, 기초 사료+0.5% 타우린(CT), 기초 사료+5% 대두유(HF) 그리고 기초 사료+5% 대두유+0.5% 타우린(HFT)로 구분하였다. 난중은 CT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나(P<0.05), HFT는 대조구 그리고 HF와 비교하여 비슷한 수준이었다.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그리고 GOT 농도에서 HFT는 HF보다 유의적으로 각각 약 30%, 36% 그리고 20% 감소하였다(P<0.05). 간 조직에서 중성지방 농도는 HFT보다 HF보다 약 28% 낮은 경향이었으며, 지질과 산화물 농도는 HFT가 HF보다 유의적으로 약 25%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본 연구 결과, 고지방 사료에 타우린의 급여는 산란계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농도를 개선하였으며, 간 조직의 지질과산화물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제초제의 활성 성분에 대한 물리-화학 파라미터의 범위 (Range of physicochemical parameters for active ingredients of herbicides)

  • 성낙도;송선섭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8-65
    • /
    • 2003
  • 농업용 약물로서의 활용성 진단과 예측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상용화 된 제초제와 같은 분자량을 가지는 의약 각 245 종에 대한 10 가지의 물리 -화학 파라미터들을 계산하고 제초제와 광합성 (PS-II) 저해제 및 acetolactase synthase (ALS) 저해제들의 특정한 물리-화학 파라미터들에 대한 수치 범위를 비교 검토하였다. 제초제들의 특정 물리-화학 파라미터에 대한 85% 의존적 수치 범위는 소수성 상수 (Obs. logP): $-0.90\sim4.50$, 쌍극자 능율 (DM): $1.80\sim12.22$ Debye, van der Waals 분자부피 (Vol.); $558\sim995Cm^3$ 및 표면적 (S.Area): $194\sim356\;{\AA}^2$, molar refractivity (MR): $53\sim104Cm^3/mol$., 분극율 (Pol): $19\sim37\;{\AA}^3$, 분자량 : $202\sim430(amu)$, 및 수화 에너지 (Hy.E): $-10.16\sim114.7$ Kcal/mol 등 이었다. 그리고 작용 기작에 따라 물리-화학파라미터의 범위값을 특징적으로 나타내고 있음을 알았으며 MR 상수와 분극율은 의약과 제초제 (ALS 저해제)를 구분하는 판별 가능한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Expanding 사료 가공 기술이 산란계의 계란 품질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xpanding Feed Processing Technologies on Egg Characteristic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Laying Hens)

  • 유종상;채수진;박송이;장해동;석호봉;김인호;김용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7-131
    • /
    • 2006
  • 본 시험은 expanding 가공 기술이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 품질과 영양소 소화율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49주령 Hy-line Brown 270수를 공시하였고, 6주간 시험을 실시하였다. 1) MS(mash), 2) EC(expanded crumble) 및 3) EP( expanded pellet) 으로 3처리구로 구성하였으며, 처리 당 15반복, 반복당 6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산란율은 EC와 EP 처리구가 MS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난중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난각 강도는 EC와 EP 처리구가 MS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내었지만(p<0.05), 난각 두께는 처리 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난황색은 EC 처리구가 MS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난황 계수는 EC와 EP 처리구가 MS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Haugh uint에 있어서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p>0.05), 변화량에 있어서 EP 처리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영양소 소화율에 있어서 건물, 칼슘, 인 소화율에 있어서 EP 처리구가 소화율을 개선시켰다(p<0.05). 본 연구 결과는 2차적인 사료 가공 기술이 산란계에 서 계란 품질과 영양소 소화율을 개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