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uster-Head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26초

국내 승용마의 체형상관에 따른 품종별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lated body compositions by riding-horse breed in Korea)

  • 오운용;도경탁;조병욱;박경도;김성훈;이학교;신영수;조영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2권3호
    • /
    • pp.515-521
    • /
    • 2011
  • '말산업육성법' 제정에 따라 국내 승마산업의 저변확대를 위해 자질이 우수한 국내산 승용마 생산 및 개량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승용마로 활용되고 있는 3품종 (웜블러드, 더러브렛, 제주산마) 32두에 대해 12항목의 체형을 측정하여, 측정자료를 바탕으로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81.3%가 정확하게 분류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체구성 분석을 통한 말의 유형 (경주마, 승용마, 재활치료마, 역용마, 비육마) 및 승용마 외모 심사를 판단하는 모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이는 향후 3D 영상촬영측정치를 활용한 한국형 승용마 생산 및 개량화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족삼리 애구가 고혈압 환자의 혈압 강하에 미치는 영향 ; 무작위배정 임상연구 (Effect of Choksamni(족삼리, $ST_{36}$) Moxibustion on Blood Pressure Elevation in Hypertensiv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김보성;장인수;여진주;이태호;손동혁;서의석;강신화;곽민정;임영진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66-73
    • /
    • 2005
  • Objectives : The purpose u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hoksmni$(ST_{36})$ moxibustion in hypertensive patients who showed sudden elevation of blood pressure. Methods : Among patients admitted to Woosuk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to September 2004, sixty-one patients who had shown sudden elevation in systolic blood pressure over 100mmHg were chosen by random sampling and divided into a treatment group (Choksamni moxibustion group) and a control group. In the Choksamni $(ST_{36})$ moxibustion group, moxibustion was done at the point between tibial tuberosity and head of fibula where the $ST_{36}$ is known to be located. Direct moxibustion was practiced on the patients 5 times with an increase of size from a grain of rice to a bigger cluster. Male patients were chosen to practice on the left meridian and female patients were chosen to practice on the right meridian point. Changes in blood pressure after He moxibustion were checked 4 times at tine intervals of 30 minutes. In the control group, the patients took bed rest without my medical treatment.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in order to demonstrate whether then were any remarkable changes in depression of blood pressure.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before and after moxibustion. We found significant decreases in systolic blood pressure at 60 minutes, 90 minutes, and 120 minutes ana diastolic blood pressure at 120 minutes in the patient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pressing effect on blood pressure elevation observed in the group with moxibustion at $ST_{36}$ versus the control group without any medical treatment.

  • PDF

반복적으로 머리를 때리는 전반성발달장애 환아 1례 (A CASE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NOS WITH REPETATIVE SELF-INJURIOUS BEHAVIOR)

  • 김정림;정보인;조수철;홍강의;임명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2호
    • /
    • pp.244-251
    • /
    • 1999
  • 자해행동은 정신지체에서 자주 나타나며, 특히 자폐증에서 더욱 많이 나타난다. 자해행동은 질환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증상군으로 다루어져왔지만, 사망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만큼 응급인 임상적 상황이다. 본 증례는 반복적으로 머리를 때리는 자해행위를 보이는 난치성 자폐증 장애 환아가 입원한 상태에서 약물요법과 행동치료를 병행하여 치료하였기에 임상경험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환아는 7세된 남아로 99년 4월 20일 자해행동을 주소로 OO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정신과에 내원하였으며 7월 10일까지 12주간 입원치료를 받았다. 약물치료로는 입원 4주경부터 haloperidol 0.5mg에서 1.0mg으로 증량하였고, naltrexone을 $25{\sim}50mg$을 입원기간중에 병합 투여하였다. 행동치료로는 차등강화(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Other behavior)를 이용하여 정규적인 놀이학습을 수행하였고, 초기에 사용했던 신체적 강박을 해제하기 위해서 머리 보호대와 팔거리를 이용하였다. 현재 외래 통원치료중이며 약물은 haloperidol 0.5mg 및 naltrexone 50mg을 유지하고 있고, 환아 모를 교육하여 집에서 놀이학습을 한시간씩 수행하고 있다. 퇴원당시 자해행동은 중등도 이상 감소되었으며 외래에서도 호전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 PDF

Modelling protection behaviour towards micronutrient deficiencies: Case of iodine biofortified vegetable legumes as health intervention for school-going children

  • Mogendi, Joseph Birundu;De Steur, Hans;Gellynck, Xavier;Makokha, Anselimo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1호
    • /
    • pp.56-66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Despite successes recorded in combating iodine deficiency, more than 2 billion people are still at risk of iodine deficiency disorders. Rural landlocked and mountainous areas of developing countries are the hardest hit, hence the need to explore and advance novel strategies such as biofortification. SUBJECTS/METHODS: We evaluated adoption, purchase, and consumption of iodine biofortified vegetable legumes (IBVL) using the theory of protection motivations (PMT) integrated with an economic valuation technique. A total of 1,200 participants from three land-locked locations in East Africa were recruited via multi-stage cluster sampling,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two, slightly distinct, questionnaires incorporating PMT constructs. The survey also elicited preferences for iodine biofortified foods when offered at a premium or discount. Determinants of protection motivations and preferences for iodine biofortified foods were assessed using path analysis modelling and two-limit Tobit regression, respectively. RESULTS: Knowledge of iodine, iodine-health link, salt iodization, and biofortification was very low, albeit lower at the household level. Iodine and biofortification were not recognized as nutrient and novel approache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severity, fear, occupation, knowledge, iodine status, household composition, and self-efficacy predicted the intention to consume biofortified foods at the household level; only vulnerability, self-efficacy, and location were the most crucial elements at the school level. In addition, results demonstrated a positive willingness-to-pay a premium or acceptance of a lesser discount for biofortification. Furthermore, preference towards iodine biofortified foods was a function of protection motivations, severity, vulnerability, fear, response efficacy, response cost, knowledge, iodine status, gender, age. and household head. CONCLUSIONS: Results lend support for prevention of iodine deficiency in unprotected populations through biofortification; however 'threat' appraisal and socio-economic predictors are decisive in designing nutrition interventions and stimulating uptake of biofortification. In principle, the contribution is threefold: 1) Successful application of the integrated model to guide policy formulation; 2) Offer guidance to stakeholders to identify and tap niche markets; 3) stimulation of rural economic growth around school feeding programmes.

공작나비(Peacock butterfly), Inachis io (Linnaeus)의 서식지 조사 및 실내사육 조건 구명 (Investigation of Habitat and Development of Indoor-rearing Condition of Peacock Butterfly, Inachis io(Linnaeus))

  • 이상현;김세권;남경필;손재덕;김남이;박영규;강필돈;최영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8
    • /
    • 2013
  • 본 연구는 공작나비의 생태를 확인하고, 실내 대량사육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공작나비의 국내분포및 생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강원도 광덕산, 태백산, 해산 등 세 곳을 선정하여 조사하였으며, 결과 해산과 광덕산에서만 서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산에서는 월동개체의 활동시기인 4월 중순경에 4마리의 월동개체를 확인하였으며, 발생시기인 6월말과 7월초에 47개체를 확인하였다. 광덕산에서는 6월말에 4개체만 확인되었다. 공작나비의 실내인공사육조건을 구명하기 위해서 채집한 공작나비 암수 각각 15마리를 산란실에 넣고 산란을 유도하였다. 실험결과 11개의 난괴를 얻을 수 있었으며, 난괴당 알의 수는 평균 $404.6{\pm}23.6$개로 확인되었다. 이중 1개의 난괴를 공시하여 고온 장일($25^{\circ}C$, 14L:10D)의 조건에서 인공사육을 실시하였다. 공시한 난괴의 알은 413개였으며, 6 ~ 8 일 사이에 모두 부화하여 부화하는데 평균 $6.99{\pm}0.57$일이 소요되었으며, 부화율은 92.3%였다. 고온장일조건 ($25^{\circ}C$, 14L:10D)에서의 애벌레의 발육기간은 $18.3{\pm}1.0$일이 소요되었다. 애벌레의 두폭을 측정한 결과 1령 $0.37{\pm}0.01mm$, 2령 $0.66{\pm}0.02mm$, 3령 $1.07{\pm}0.05$, 4령 $1.81{\pm}0.07$, 5령 $2.76{\pm}0.08$로 각각 나타났다. 사육한 애벌레중 64%가 정상적인 번데기가 되었고, 번데기 기간은 $8.4{\pm}0.6$일이었으며, 우화율은 87.5%로 나타났다.

오리엔탈과실파리 유전변이 - 대만 지역 집단변이 (Geographical Variation of the Oriental Fruit Fly, Bactrocera dorsalis, Occurring in Taiwan)

  • 김용균;김효일;마히이맘몰라;압둘라알바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33-142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 금지급 과실파리인 오리엔탈과실파리(Bactrocera dorsalis)에 대한 유전적 변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오리엔탈과실파리가 자생하는 대만 지역을 대상으로 2019년 동일한 시기(3일간: 7월 30일~8월 1일)에 서로 다른 세 지역(타이페이, 타이중, 카오슝)에서 과실파리류를 채집하여 나이 변이 및 미토콘드리아 서열 변이를 각각 비교하였다. 세 지역에서 채집된 오리엔탈과실파리는 1,085마리로서 메틸유제놀 유인제에 모두 유인되었으며, 큐루어 유인제에는 30마리의 오이과실파리(Zeugodacus cucurbitae) 및 1마리의 타우과실파리(Bactrocera tau)만 채집되었다. 단백질먹이 유인제에는 총 6마리가 포획되었으며 이 가운데 오리엔탈과실파리는 1마리가 포함되었으며 나머지는 오이과실파리였다. 오리엔탈과실파리 수컷의 머리에는 테린이 포함되었으며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각 머리에는 $32{\mu}g$에서 $59{\mu}g$까지 테린 함량이 증가하였다. 대만 세 지역의 수컷 집단들은 테린 양에 차이를 나타냈으며, 카오슝 집단이 타이페이와 타이중 집단에 비해 적은 테린 양을 보유하였다. 이들 세 지역 사이에 유전적 거리가 RAP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를 이용하여 분석되었으며 타이페이 집단이 타이중 및 카오슝 집단들과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적 변이는 미토콘드리아의 cytochrome oxidase I (CO-I)과 NADH dehydrogenase I (ND-I)을 각각 비교하였다. CO-I 영역 가운데 360개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7.8%의 염기서열 변이를 나타냈다. ND-I 영역을 비교한 결과 213개 염기서열 가운데 6.6%의 염기서열 변이를 보였다. 이들 변이 서열을 대만 지역에 발생하는 오리엔탈과실파리의 특이적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마커로 개발하는 데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