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othing curriculum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8초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의 활동과제에 관한 연구[제1보] (Research on the Student Activities in the Clothing & Textiles Section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Textbooks[I])

  • 어지현;오경화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30
    • /
    • 2008
  • 본 연구는 가정교과가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에 부합하여 실생활에 활용 가능한 학습자 중심의 실천교과가 되도록 옷차림 영역을 중심으로 활동과제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2학년 기술 가정 10종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의생활 단원의 활동과제를 분석하였다. 활동과제는 활동과제 수행 시 '집단의 규모', '문제의 유형', '과제 수행 방법'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하여 활동과제의 내용 구성, 수행방법, 제시방법 등 활동과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았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2학년 기술 가정 교과 의생활 영역의 옷차림 단원의 비율을 살펴본 결과 의생활 단원의 5개 단원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옷차림 단원의 6가지 세부 내용 중 '한복의 종류와 바르게 입는 방법'과 '의복의 기능의 복의 종류와 특징'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활동과제의 문제의 유형과 과제 수행 방법은 출판사와 옷차림 영역 세부내용 간에 차이를 보였으나 집단의 규모는 '개별활동', 문제의 유형은 '구조화된 문제', 과제 수행방법은 '가정에서 이전 경험으로부터 해결할 수 있는 과제'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가정교과가 학습자 중심의 실천교과가 되기 위해 활동과제의 내용은 학생의 요구, 교육현장의 여건 등을 고려하며 학생들의 일상생활에 중심을 두고, 소집단 활동의 비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동과제는 구조화되지 않은 문제와 같이 다양하고 포괄적인 문제 상황을 제시하는 것이 학생의 창의력, 사고력을 신장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수행 방법을 다양하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 PDF

18세기 여성 의복에 나타난 트리밍을 응용한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 - 브레이드, 레이스, 리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nail art design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rimmings in the 18th century women's clothes - Focus on braids, laces, and ribbons -)

  • 조한솔;이영주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27-137
    • /
    • 2019
  • Nail art, which has been popularized recently, has increased convenience in the direction of nail art design harmonized with clothing and the increased interest and usage of nail art decoration. This study set out to propose practical planar and three-dimensional nail art designs in harmony with modern clothes by applying trimmings common in 18th century women's clothing, which used a variety of attachable decorations. As for the methodology,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ories in previous studies, literature, and analyzed the types of trimming in female portraits from the 18th century at the museum at the Palace of Versailles in France. Planar and three-dimensional nail art designs were created for each of the top three trimming types- braids, laces, and ribbons, which were identified through analysis. The study applied the trimmings of the 18th century women's clothes to nail art design and ha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top three trimming typ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18th century portraits. They were then used as motifs in the production of planar and three-dimensional nail art designs. The results show that the motifs of the clothes trimmings were fit for and had practical possibilities for expression in nail art designs. Secondly, diversity and the expansion of ideas in the study of nail art design were promoted. In addition, elements were increased to have mutually complementary effects with clothes. Finally, the study made various attempts at nail design methods by adopting a range of nail art expression techniques including hand painting, 2D & 3D art techniques, and using planar and three-dimensional nail decorations, thus proposing a positive direction for the organization of a curriculum to make use of 18th century women's clothing motifs in nail art education.

해외 패션교육기관에서의 창의성 개발 교육사례 분석 (Creativity Enhancement Programs in World Fashion Schools)

  • 이민선;이윤정;이예영;문희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748-760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curricula of well-known fashion schools and educational programs through personal interviews with industry profession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programs that are designed to improve the creativity of students. Six fashion schools in Wester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number of graduates included in the Designer Handbook published by Fairchild Books. Two Korean professionals from each school were interviewed either by email or in person, resulting in a total of 12 interviews. The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nagement styles as well as the curricula of these schools include features that enhanced student creativity. The schools are located in major fashion cities and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industry that is maintained to provide hands-on opportunities to students. The schools have clear and solid educational goals with instructional styles that provide students significant autonomy and responsibility. The instructors work closely with individual students to guide them through their projects and help develop students' unique styles. The schools utilized the instructions and studios as well as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to help students acquire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behavioral patter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educators who wish to develop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that enhance student creativity.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중학교 가정교과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Clothing Life Teaching-Learning Plan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for the Response to Climate Change)

  • 문인숙;심현섭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5-133
    • /
    • 2021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의생활 실천을 위한 중학교 가정과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단계로 진행하였다. 기후변화 관련 문헌 고찰을 통해 '현상과 원인, 영향(환경적·경제적·사회적), 대응(완화·적응)'를 기후변화의 교육 내용 체계로 선정하고, 이를 가정 교과 의생활 단원의 분석 준거로 활용해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① 교과서 6종을 자료유형(읽기 자료, 그림 자료, 활동 자료) 및 의복사용주기(생산, 구매, 사용, 폐기)에 따라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을 통해 추출한 의생활 영역에서의 기후변화 내용 요소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과 수업 자료 및 매체를 활용하여 총 12차시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가정 교과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안은 기후변화의 현상과 원인, 영향, 대응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학생 스스로 깨닫고, 이를 의생활 행동 실천으로 이어 가정과 사회에 긍정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교육적인 측면에서의 패션과 지속가능발전 (Fash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Educational Aspects)

  • 도월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81-690
    • /
    • 2015
  • Sustainability has been a important issue in fashion industry that reflects the modern phase of the time. More education institutions than ever before are beginning to offer specialized courses, certificates and degrees related to sustainability in fashion, and many fashion institutions are working to embed sustainability issues into the educational contents. In this study, I investigate how sustainability is being integrated into the curriculum of leading fashion institutions, corporate management activity across the world and overview the world leading educational programmes related to sustainable fashion, pulling out the unique expertise and areas of specialization for each institution. In conclusion, the sustainable fashion were still not widely promoted domestical fashion institutions compare with other foreign leading fashion institutions. This happens in fashion business as well. Korean fashion institutions have to make educational program and certificates and degrees related to sustainability because the educational program can transform domestic fashion industry to sustainable fashion leading country level.

사고력 신장을 위한 가정교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s for Improving Thinking Ability in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 윤인경;정미경;이미자;장명희;박선영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85-102
    • /
    • 2001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instructional materials for improving thinking ability in home economics at middle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teaching elements were analyzed through the content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eight textbooks. In addition, the specific learning objectives were identified accordingly and the focus of thinking were drawn in each teaching element. Also, instructional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thinking ability were proposed by each teaching element and focus of thinking. Finally. Instructional Materials were developed forty three topics for the content areas of food, clothing, housing, resource management and consumerism.

  • PDF

영국(英國) 패션의 원동력(原動力)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 후세인 샬라얀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f the Contributors to the British Fashion II - Focusing on Hussein Chalayan -)

  • 배수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4권4호
    • /
    • pp.71-8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how to find the way of activating Korean fashion industry, by reviewing the accomplishments of British young designers, Hussein Chalayan, who are contributors to the present peak activities of British fashion. Some results come over this depressive state of Korean fashion might be proposed. Firstly, Korean government should try to direct the Korean fashion associated group to make the unified and effective results in an organized way. Secondly, Korean fashion industries and university-level fashion school should have more intimate relationship and be closely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lso the fashion school should watch their curriculum. and change it gradually to the up-todate one. Thirdly, the Korean new generation designers should do effort to have the highest tailoring technique and artistic good sense. Finally, the designer should have broad range of knowledge for their design. In conclusion, the government, university-level fashion schools, fashion industries and fashion designers should be positively changed and cooperated to do the best and activate Korean fashion.

  • PDF

패션 인턴십 프로그램 모델 연구(I) - 학계용 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shion Internship Program Model (I) - Focused on the System Development for the College Departments -)

  • 유지헌
    • 복식문화연구
    • /
    • 제14권3호
    • /
    • pp.483-49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agmatic fashion internship program as a following study of 'An analysis of the consciousness of the professors and college students for the fashion industry internship'. The method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and some case studie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Internship program has 6 steps ; ready, introduction, selection, operation, reputation, management. It will help professors and college students to execute the program systematically. The contents of the fashion internship program model for professors were as follows: 8 recruiting methods to find internship companies, the contents of the internship agreement, 6 types of internship, the contents of the recommendation letter, advanced education contents for a fashion internship, e-mentoring program model, a curriculum of the cultural study and the major course, evaluation standard elements of the intern students, the methods of evaluation etc.

  • PDF

실과 및 기술.가정 교과 의생활 교육내용의 적정성에 대한 학생의 인식 (The Recognition of Students on Appropriateness of Clothing & Textiles as Educational Contents in Practical Arts or Technical Education.Home Economics in the 7th Curriculum of Korea)

  • 주인숙;한영숙;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81-95
    • /
    • 2006
  •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의 초 중등 실과 및 기술가정 교과에 포함된 의생활 교육내용에 대하여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습량, 이해도 흥미도 그리고 요구도를 교육 내용 요소별로 분석하여 그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경기도 초중고 남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질문지를 통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중고 남녀학생들의 50%이상이 초 중등 실과 및 기술가정 교과에 포함된 의생활 교육내용의 학습량은 적당하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중학교 남학생들은 반바지 만들기 등의 실습과정에 대해 학습량이 많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의생활 교육 내용에 대한 초중고 남녀학생들은 모두 뜨개질, 재봉틀, 옷만들 및 생활용품 만들기 등 실제로 작품을 제작해야하는 실습영역에 대해 이해도가 낮았다. 셋째, 초등학교 학생들은 재봉틀을 이용한 실습영역에 대한 흥미도가 낮았으며 이는 학습량이 많다고 하고. 이해도가 낮은 것과 관련이 있다. 중학생들은 학습량이 많고, 이해도가 낮은 반면 흥미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학습내용의 난이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었으며 고둥학교 학생들의 흥미도가 보통이었다. 넷째, 학생들의 요구도는 '필요하다'와 '보통'이었으며 교육내용 중 실습관련 내용에의 요구도가 매우 낮았다. 초 중등 실과 및 기술가정 교과에 포함된 의생활 교육내용에 대하여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습량, 이해도, 흥미도 요구도 간에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학습량과 이해도, 흥미도, 요구도간에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해도. 흥미도. 요구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중학교 가정과 소비생활 영역의 핵심 교육내용 분석 - 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Core Contents in Comsumer Area from 1st to 2009 Revised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 주수언;박명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7-50
    • /
    • 2015
  • 본 연구는 중학교 가정과 교과서 중 소비생활 영역의 교육내용 변천 및 내용특성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소비생활 영역의 교육과정 편성 및 교육내용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가정과 교과서 중 소비생활 영역이며, 분석 방법은 내용분석법과 워드 클라우드 기법을 사용하여 각 시기별 소비생활 영역의 교육내용 변천 및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교육과정 시기에 따른 가정과 교과서 소비생활 영역의 핵심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교육과정 시기에 따른 가정과 교과서 소비생활 영역의 내용특성은 어떻게 변천하였는가? 분석결과 시기별 소비생활 영역의 교육내용 변천과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차시기는 경제생활 중심의 절약과, 2-4차시기는 가사노동 및 자원관리를 교육내용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는 시기적으로 볼 때 우리나라가 1962년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시작으로 자원관리를 통한 근검절약을 강조하는 시기와 교육내용을 함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4차시기 교과서에 소비생활 단원이 중단원으로 도입되고 5차시기에 소비생활 영역이 독립단원으로 분리되어 강조되었다. 이는 1987년 소비자보호법이 개정되고, 한국소비자보원이 설립되는 등 정부차원에서 소비자보호에 대한 관심이 성숙단계에 이른 시기이다. 이를 바탕으로 6-7차 시기에는 청소년의 소비생활이 강조되었다. 셋째, 2007개정 교육과정 시기는 2007년 소비자보호법이 소비자기본법으로 전환되고, 소비자 주권을 강조하는 등 소비자교육 패러다임이 전환된 시기로 소비자권리와 함께 책무가 강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