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osed-cup tester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1초

에틸벤젠의 연소특성치 측정 및 예측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Combustible Properties for Ethylbenzene)

  • 하동명
    • 에너지공학
    • /
    • 제23권4호
    • /
    • pp.169-175
    • /
    • 2014
  • 에틸벤젠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 폭발한계는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으며, 인화점과 발화지연시간에 의한 자연발화온도는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인화점의 경우 밀폐식 장치인 Setaflash와 Penski-Martens에 의한 하부인화점은 각 각 $20^{\circ}C$$22^{\circ}C$로 측정되었으며, 개방식인 Tag와 Cleveland에서는 각 각 $25^{\circ}C$$28^{\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 장치를 사용하여 자연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을 측정하였고, 최소자연발화온도는 $430^{\circ}C$로 측정되었다. 에틸벤젠의 측정된 인화점을 이용하여 폭발하한계와 상한계는 0.93 Vol.%와 7.96 Vol.%로 계산되었다.

아크릴릭산의 연소특성치의 신뢰성 연구 (A Study on the Reliability of the Combustible Properties for Acrylic Acid)

  • 하동명
    • 에너지공학
    • /
    • 제24권3호
    • /
    • pp.20-26
    • /
    • 2015
  • 아크릴릭산 연소특성치의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해, 폭발한계에 대해서는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고, 인화점과 발화지연시간에 의한 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Setaflash와 Pensky-Martens 밀폐식 장치에 의한 아크릴릭산의 하부인화점은 $48^{\circ}C$$51^{\circ}C$로 측정되었으며, Tag와 Cleveland 개방식에서는 $56^{\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 장치를 사용하여 자연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을 측정하였고, 아크릴릭산의 최소자연발화온도는 $417^{\circ}C$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하부인화점과 상부인화점에 의한 폭발하한계는 2.2 Vol%, 상한계는 7.9 Vol%로 계산되었다.

큐멘(Cumene)의 연소특성치의 측정 및 예측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the Combustible Properties of Cumene)

  • 하동명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4호
    • /
    • pp.465-469
    • /
    • 2016
  • 공정의 안전을 위해서 취급물질의 정확한 연소특성치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화학산업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큐멘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인화점과 최소자연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폭발하한계는 실험에서 얻어진 하부인화점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큐멘의 Setaflash 밀폐식은 $31^{\circ}C$, Pensky-Martens 밀폐식에서는 $33^{\circ}C$ 그리고 Tag 개방식에서는 $43^{\circ}C$, Cleveland 개방식에서는 $45^{\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 장치에 의한 큐멘의 최소자연발화온도는 $419^{\circ}C$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하부인화점 $31^{\circ}C$에 의한 폭발하한계는 0.87 vol%로 계산되었다. 폭발한계는 측정된 인화점이나 문헌에 제시된 인화점을 이용하여 예측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디노말부틸아민의 연소특성치 측정 및 예측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Combustuion Properties of di-n-Buthylamine)

  • 하동명
    • 에너지공학
    • /
    • 제28권4호
    • /
    • pp.42-47
    • /
    • 2019
  • 본 연구에는 유화제, 살충제, 첨가제, 고무 가황 촉진제, 부식 억제제제 및 염료 생산의 원재료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디노말부틸아민(di-n-buthylamine)을 선정하여 연소특성치를 측정하였다. 디노말부틸아민의 인화점은 밀폐식 Setaflash와 Pensky-Martens 그리고 개방식 Tag, Cleveland 장치로 측정하였고, 연소점은 개방식 장치를 이용하였다. 최소자연발화온도(AIT)는 ASTM 659E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디노말부틸아민의 폭발한계는 측정된 인화점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Setaflash와 Pensky-Martens에 의한 인화점은 38 ℃와 43 ℃로 측정되었고, Tag와 Cleveland는 각각 48로 동일하게 측정되었다. 디노말부틸아민의 AIT는 247 ℃로 측정되었다. Setaflash에서 측정된 인화점에 의한 폭발하한계는 0.69 vol%, 상한계는 7.7 vol%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인화점 측정과 폭발한계의 예측 방법은 다른 가연성액체의 화재 및 폭발특성 연구에 활용이 가능하다.

노말노난의 화재 및 폭발 특성치의 측정 및 예측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Fire and Explosion Properties of n-Nonane)

  • 하동명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2-48
    • /
    • 2016
  • The usage of the correct combustion properties of the treated substance for the safety of the process is critical. For the safe handling of n-nonane being used in various ways in the chemical industry, the flash point and the autoignition temperature(AIT) of n-nonane was experimented. And, the explosion limit of n-nonane was calculated by using the flash point obtained in the experiment. The flash points of n-nonane by using the Setaflash and Pensky-Martens closed-cup testers measured $31^{\circ}C$ and $34^{\circ}C$, respectively. The flash points of n-nonane by using the Tag and Cleveland open cup testers are measured $37^{\circ}C$ and $42^{\circ}C$. The AIT of n-nonane by ASTM 659E tester was measured as $210^{\circ}C$. The lower explosion limit by the measured flash point $31^{\circ}C$ was calculated as 0.87 vol%. And the upper explosion limit by the measured upper flash point $53^{\circ}C$ was calculated as 2.78 vol%. It was possible to predict lower explosion limit by using the experimental flash point or flash point in the literature.

n-Butyl methacrylate(n-BMA)의 연소특성치의 측정 및 예측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the Combustible Properties of n-Butyl methacrylate(n-BMA))

  • 하동명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2-47
    • /
    • 2016
  • The combustible properties(flash point, explosion limit and autoignition temperature) are the important safety items which are considered in the typical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 In this study, for the safe handling of n-butyl methacrylate(n-BMA) being used in various ways in the chemical industry, the flash point and the autoignition temperature(AIT) of n-butyl methacrylate was experimented. And, the lower explosion limit of n-butyl methacrylate was calculated by using the lower flash point obtained in the experiment. The flash points of n-butyl methacrylate by using the Setaflash and Pensky-Martens closed-cup testers measured $44^{\circ}C$ and $51^{\circ}C$, respectively. The flash points of n-butyl methacrylate by using the Tag and Cleveland open cup testers are measured $53^{\circ}C$. The AIT of n-butyl methacrylate by ASTM 659E tester was measured as $295^{\circ}C$. The lower explosion limit by the measured flash point $44^{\circ}C$ was calculated as 0.85 vol.%. It was possible to predict lower explosion limit by using the experimental flash point or flash point in the literature.

바이오디젤 연료의 연소 특성 (Combustion Property of Biodiesel Fuel)

  • 송영호;신백우;하동명;정국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9-24
    • /
    • 2009
  • 자동차의 비약적인 증가로 인해 비롯된 환경오염이 사회적 주된 문제가 되기 때문에 유해한 배기가스의 방출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해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바이오디젤을 생산 원료로서의 폐식용유의 활용은 원료의 안정적인 공급뿐만 아니라 바이오디젤의 가격을 낮추는데 유용하다. 본 연구는 바이오디젤 연료의 혼합 비율에 따른 연소성 및 열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하여 Tag 밀폐식, Cleveland 개방식 인화점 시험기와 자연발화점 시험기를 이용하여 인화점 및 연소점, 자연발화점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바이오디젤의 혼합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인화점 및 연소점, 자연발화점이 증가하였다.

Seta Flash 밀폐식 장치를 이용한 n-Propanol+n-Hexanol계와 n-Butanol+n-Hexanol계의 인화점 측정 (Flash Point Measurement of n-Propanol+n-Hexanol and n-Butanol+n-Hexanol Systems Using Seta Flash Closed Cup Tester)

  • 하동명;이성진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4-39
    • /
    • 2019
  • Flash point is the important indicator to determine fire and explosion hazards of liquid solutions. In this study, flash points of n-propanol+n-hexanol and n-butanol+n-hexanol systems were obtained by Seta flash tester. The methods based on UNIFAC equ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calculate flash point. The calculated flash point was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flash point. Absolute average errors of flash points calculated by UNIFAC equation are $2.9^{\circ}C$ and $0.6^{\circ}C$ for n-propanol+n-hexanol and n-butanol+n-hexanol, respectively. Absolute average errors of flash points calcula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0.5^{\circ}C$ and $0.2^{\circ}C$ for n-propanol+ n-hexanol and n-butanol+n-hexanol, respectively. As can be seen from AAE, the values calcula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noticed to be better than the values by the method based on UNIFAC eauation.

라울의 법칙과 다중회귀분석법에 의한 n-Nonane+n-Decane+n-Tridecane 계의 인화점 계산 (The Calculation of Flash Point for n-Nonane+n-Decane+n-Tridecane System by Raoult's Law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하동명;이성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2-58
    • /
    • 2018
  • 가연성 액체 혼합물의 화재와 폭발의 위험성을 규정하는 가장 중요한 성질 중 하나는 인화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삼성분계 액체 혼합물인, n-nonane+n-decane+n-tridecane 계의 인화점을 Seta flash 밀폐식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값은 라울의 법칙을 이용한 방법과 다중회귀분석법에 의해 계산된 값들과 비교되었다. 라울의 법칙에 의한 계산된 결과의 절대평균오차는 $0.6^{\circ}C$이었다. 다중회귀분석법에 의해 계산된 결과의 절대평균 오차는 $0.4^{\circ}C$이었다. 절대평균오차에서 알 수 있듯이 다중회귀분석법에 의한 계산값이 라울의 법칙에 의한 계산값에 비해 측정값을 잘 모사하였다.

다중회귀분석법을 이용한 n-Pentanol + n-Propanol계 및 n-Pentanol + n-Heptanol계의 인화점 예측 (Estimation of the Flash Point for n-Pentanol + n-Propanol and n-Pentanol + n-Heptanol Systems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하동명;이성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6호
    • /
    • pp.31-36
    • /
    • 2016
  • 인화점은 가연성 액체 용액의 폭발과 화재의 위험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성질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2개의 가연성 이성분계 혼합물인 n-pentanol + n-propanol계 및 n-pentanol + n-heptanol계의 인화점을 Seta flash 밀폐식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인화점은 라울의 법칙을 이용한 방법과 다중회귀분석법에 의해 계산되었다. 그리고 그 결과를 측정값과 비교하였다. 라울의 법칙에 의해 계산된 결과의 절대평균오차는 n-pentanol + n-propanol계인 경우 $1.3^{\circ}C$이며 npentanol + n-heptanol계인 경우 $1.3^{\circ}C$이었다. 다중회귀분석법에 의해 계산된 결과의 절대평균오차는 n-pentanol + npropanol계인 경우 $0.4^{\circ}C$이며 n-pentanol + n-heptanol계인 경우 $0.3^{\circ}C$이었다. 절대평균오차에서 알 수 있듯이 다중회귀 분석법에 의한 계산값이 라울의 법칙에 의한 계산값에 비해 측정값을 잘 모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