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osed-Structure

검색결과 978건 처리시간 0.03초

Galerkin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열전달해석 및 실험 (Heat Transfer Analysis and Experiments of Reinforced Concrete Slabs Using Galerkin Finite Element Method)

  • 한병찬;김윤용;권영진;조창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567-575
    • /
    • 2012
  • 이 연구는 실험과 병행 화재에 노출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갤러킨 유한요소해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비선형 비정상 온도분포해석에 관한 것으로 2차원 삼각형 요소에 대한 해석기법을 구축하였다. 해석기법의 검증을 위하여 실규모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 대한 내화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해석기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부재의 내화성능에 대한 실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변수분석에서는 화재규모, 콘크리트의 온도의존성 열적특성값, 콘크리트의 함수율이 콘크리트의 내화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에서 구축된 수치해석모델은 다양한 화재규모와 대류, 복사 경계조건, 재료의 온도의존성 열적특성값을 자유롭게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를 대상으로 표준화재곡선을 대상으로만 분석하였지만 관련된 철근콘크리트 기둥 골조 해석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우수한 고등학생이 선호하는 과학실험 유형과 학습양식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Learning Style and Preferred Type of Laboratory Instruction of Academically Talented High School Students')

  • 우주;이향연;최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06-31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습양식 및 유형별 실험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학습양식과 선호하는 실험수업 유형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소재 여자고등학교 1학년 학생 중 과학성적 우수학생 19명을 대상으로 학습양식을 검사한 후 확인실험, 발견실험, 탐색실험, 연구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수업이 끝난 후 각 실험수업 유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필요한 경우 개인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을 선호하는 실험수업 유형별로 그룹화 하였으며 그룹 별 학습양식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개인의 특성과는 무관하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학습양식이 있었다. 연구 참여 학생들은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높은 동기화(자기-동기화, 부모-동기화, 교사-동기화)와 구조화 선호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우수 학생은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비구조화 되고 개방적인 실험을 선호하였다. 또한 이런 실험수업 유형을 선호하는 학생은 학습양식 중 사회변인과 감정변인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셋째, 학생들의 학습양식과 선호하는 실험수업 유형은 서로 관계가 있었다. 비구조화 되고 개방적인 실험수업 유형을 선호하는 학생들은 사회변인과 감정변인에 영향을 많이 받는 반면, 구조화되고 폐쇄적인 실험수업 유형을 선호하는 학생들은 신체변인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Dunn과 Dunn(1993)의 학습양식 측정 결과가 일반 수업뿐 아니라 실험수업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했다.

LNG운반선의 화물 누출 시 함침된 고분자 폼의 기계적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performance of impregnated polymer foam in cargo leakage of LNG carrier)

  • 박기범;김태욱;김슬기;이제명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345-35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 운반선 화물창 손상으로 인한 극저온 LNG 누출 및 하중 작용 시 화물창의 초저온 보냉재를 구성하고 있는 고분자 폼(Polymer foam) 소재의 성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LNG와 맞닿아 있는 LNG 운반선 1차 방벽은 유체 충격하중이나 오랜 시간 동안의 LNG 적재/하역으로 인해 손상이 누적 되면 누출로 이어지게 된다. 극저온 유체의 누출은 다공성 밀폐 셀 구조인 고분자 폼 내부에 영향을 끼쳐 작용 하중에 대한 거동변화를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열재(Insulation)로 사용되는 고분자 소재인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폼(Polyisocyanurate foam, PIF) 시험편의 기계적 성능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험편에 극저온 액체를 함침시켜 압축실험을 진행함으로써 저온 취성(Cold brittleness)으로 인한 성능 변화와 함께 극저온 유체의 함침 영향에 대해 정량적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Stimulation of Blood Flow Needs a Parallel Magnetic Field and Psycho-physics acupuncture

  • Oh, Hung-Kuk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5-112
    • /
    • 2000
  • The conventional model did not take momentum conservation into consideration when the electron absorbs and emits the photons. II-ray provides momentum conservations on any directions of the entering photons, and also the electrons have radial momentum conservations and fully elastic bouncing between two atoms, in the new atom model. Conventional atom model must be criticized on the following four points. (1) Natural motion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entities are not circular motions but linear going and returning ones, fur examples sexual motion, tidal motion, day and night etc. Because the radius of hydrogen atom's electron orbit is the order of 10$^{-11}$ m and the radia of the nucleons in the nucleus are the order of 10$^{-l4}$m and then the converging $\pi$-gamma rays to the nucleus have so great circular momentum, the electron can not have a circular motion. We can say without doubt that any elementary mass particle can have only linear motion, because of the $\pi$-rays' hindrances, near the nucleus. (2) Potential energy generation was neglected when electron changes its orbit from outer one to inner one. The h v is the kinetic energy of the photo-electron. The total energy difference between orbits comprises kinetic and potential energies. (3) The structure of the space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because the properties of the electron do not change during the transition from outer orbit to inner one even though it produces photon. (4) Total energy conservation law applies to the energy flow between mind and matter because we daily experiences a interconnection between mind and body. Any magnet absorbs n-rays to S pole and sends out the $\pi$-rays from N pole. Proton are constructed with the closed n-rays quantum-mechanically. The crystallizing n-bonding makes two $\pi$-far infrared rays of one wave length between two protons if two $\pi$-rays are supplied to each proton. It is easily done for a $\pi$-ray to be absorbed to a proton if there is a parallel magnetic flow to the blood flow because a $\pi$-ray advances axially under a magnetic field and a proton looks like a sphere. A axially advancing disk-like $\pi$-ray can meet more easily the coming spheres than from the other directions. The blood crystals stimulate the autonomous nerves on the blood vessels during the flow by their mechanical sliding collisions. SM n-ray meridian therapy and SMACN $\pi$-ray meridian therapy show the stimulation of blood flow and also combinational experiment between SM $\pi$-ray meridian therapy and n-ray psycho-physics acupuncture shows more clearly that magnet is forcing to make $\pi$-rays absorbed to the nucleons.s.ons.

  • PDF

언어습득기 이전 청각장애인의 후두소견 및 음성학적 특성 (Laryngeal Findings and Phonetic Characteristics in Prelingually Deaf Patients)

  • 김성태;윤태현;김상윤;최승호;남순열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7-62
    • /
    • 2009
  •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ere are few studies reported that specifically examine the laryngeal function in patients with profound hearing loss or deafnes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videostroboscopic findings and phonetic characteristics in adult patients with prelingually deaf. Materials and Method: Sixteen patients (seven males, nine females) diagnosed as prelingually deaf aged from 19 to 54 years, and were compared with a 20 normal control group with no laryngeal pathology and normal hearing group, Videostroboscopic evaluations were rated by experienced judges on various parameters describ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laryngeal mechanism during comfortable pitch and loudness phonations. Acoustic analysis test were done, and a nasalance test performed to measure rabbit, baby, and mother passage. CSL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first and two formant frequencies of vowels /a/, /i/, /u/,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Mann-Whitney U or Wilcoxon signed ranks test. Results: Videostroboscopic findings showed phase symmetry but significantly more occurrences decrement in the amplitude of vibration, mucosal wave, irregularity of the vibration and increased glottal gap size during the closed phase of phonation, In addition, group of prelingually deaf patients were observed to have significantly more occurrences of abnormal supraglottic activities during phonation. The percentage of shimmer in the group of prelingually deaf patients were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Characteristics of vowels were lower of the second formant of the vowel /i/. Nasalance in prelingually deaf patients showed normal nasality for all passages, Conclusion: Prelingually deaf patients show stroboscopic abnormal findings without any mucosal lesion, suggesting that they have considerable functional voice disorder. We suggest that prelingually deaf adults should perform vocal training for normalized laryngeal function after cochlear implantation.

  • PDF

선형탄성해석과 mα-tangent방법을 이용한 배관 한계하중 평가 적용성 (Applicability of the mα-tangent Method to Estimate Plastic Limit Loads of Elbows and Branch Junctions)

  • 김재민;김상현;배경동;김윤재;김종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1권6호
    • /
    • pp.499-50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선형탄성 유한요소해석 방법과 $m_{\alpha}-tangent$ 방법으로 한계하중을 계산하고 이를 기존의 연구들에 의해 제시된 한계하중 식들과 비교하였다. 해석의 대상은 배관계의 대표 형상인 곡관과분기관을 선정하였다. 곡관과 분기관의 형상 변수를 다양하게 바꿔가면서 $m_{\alpha}-tangent$ 방법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하중은 내압하중과 면내굽힘하중을 각각 고려하였으며 곡관의 경우에는 기존의 한계하중식과 $m_{\alpha}-tangent$방법이 비교적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분기관의 경우 형상의 특수성으로 인해 뚜렷한 경향 없이 기존의 한계하중 식과 $m_{\alpha}-tangent$ 방법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m_{\alpha}-tangent$ 방법이 불연속부의 응력집중현상에 의해 왜곡된 결과를 갖기 때문으로 보인다.

파형강판 볼트 이음부의 피로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olted Connection Fatigue Capacity of Corrugated Steel Plates)

  • 오홍섭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54-63
    • /
    • 2014
  • 파형강판 구조물은 강판 세그먼트를 현장에서 볼트연결하고, 양질의 뒷채움 시공을 통해 시공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생태통로, 소규모 교량 및 관로 등에 폭넓게 시공되고 있다. 본 연구는 휨하중을 받는 볼트연결된 파형강판 세스먼트의 정적 및 피로거동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피로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볼트 직경, 와셔와 같은 연결부 상세를 실험변수로 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실험체의 파형의 제원은 $400{\times}150$ mm이다. 정적실험 결과 모든 실험체의 실험 극한강도가 이론강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강판의 지압 및 상부강판 볼트구멍의 찢김에 의해 파괴되었다. 6mm와 7mm 강판에 대하여 하중범위 209kN에서 517kN사이로 피로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 정적 파괴시의 강판지압과 찢김파괴에서 피로실험시에는 강판지압과 볼트 전단의 형태로 변화하였으며, 2백만회 피로한계는 대략 85MPa로 분석되었다.

코히어런트 다중 표적 방위 추적 알고리즘 (Coherent Multiple Target Angle-Tracking Algorithm)

  • 김진석;김현식;박명호;남기곤;황수복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30-237
    • /
    • 2005
  • 수중음향 시스템에서는 이동 표적에 대한 상태 추정 및 표적 식별 등의 목적을 위해서 표적 방위 추적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감시영역에 근접 또는 교차 표적 등이 존재하는 다수 표적 상황에서의 방위 추적은 매우 어려운 문제로 다양한 접근방법으로 연구되어 왔다. SWORD는 배열 센서 신호의 출력 공분산 행렬로부터 방위 변위를 추정하여 표적을 추적함으로써 별도의 정보 연관 과정이 필요 없는 단순한 구조의 다중 표적 방위 추적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RYU 등은 표적 조향 벡터 (target steering vector)와 배열 센서 공분산 행렬의 신호 고유 벡터 (signal eigenvector)가 선형결합 관계임을 이용하여 교차 표적 (cross target)에 대해서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HWANG 등은 잡음 고유 벡터 (noise eigenvector)와 표적 조향 벡터가 직교 관계임을 이용하여 RYU의 알고리즘과 동일한 성능을 유지하면서 연산량을 개선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은 코히어런트 (coherent) 다중 표적인 경우에는 추적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배열 센서의 공분산 행렬로부터 추정할 수 있는 신호 고유 벡터와 잡음 공분산 행렬 (noise covariance matrix)의 특성을 이용하여 코히어런트 다중 표적에 대해 추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다중 표적 방위 추적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근접 및 교차 기동하는 표적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비코히어런트 (incoherent)와 코히어런트 다중 표적에 대해 추적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폐폴리에틸린/폐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체 블렌드 발포체의 난연 및 발포 특성에 관한 연구 (Flame Retardancy and Foaming Properties of the Waste-Polyethylene(W-PE)/Waste-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W-EVA) Blend Foams)

  • 문성철;조병욱;최재곤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8권4호
    • /
    • pp.316-32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폐폴리에틸렌 (W-PE)/폐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체 (W-EVA) 블렌드계에 무기계 및 인계 난연제 등을 첨가하여 난연폴리올레핀 발포체를 제조하고, 수지대비 난연제, 특히 무기계 난연제의 종류 및 함량 변화에 따른 발포 및 난연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W-PE/W-EVA 블렌드계의 조성비가 50/50 (w/w)이고, 수지 대비 난연제의 함량이 220phr의 범위 내에서 가교반응을 쉽게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폐고분자재료를 사용함으로써 가교 및 발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V-PE 난연 발포체와 비교해 비교적 균일한 독립기포를 갖고, 발포율이 오히려 증가 (100 % 이상)함을 알 수 있었으며, 난연특성 (limiting oxygen index; LOI, heat release rate; HRR, total heat release; THR, effective heat of combustion; EHC등) 또한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난연제의 종류 및 함량이 발포 및 난연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큼을, 그리고 무기계 난연제의 난연 및 연기발생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무기계 난연제 중 수산화알루미늄은 LOI 상승에, 수산화마그네슘은 발포율 상승 및 HRR, COY를 낮추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수산화알루미늄과 수산화마그네슘을 동시에 사용했을 때 상호작용에 따른 시너지 효과로 난연성을 보다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농촌주택의 주거 공간구조 개선방안 (An Alternative Improved-Layout of Rural House Plot)

  • 박장혁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54-63
    • /
    • 1999
  • Considering that rural village had evolved through a long-sustained effort of harmnization with nature, there should be the wisdom not only to reflect the level of rural resident's housing demand, but also to conserve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high-valuation in the modern rural housing. In Korea , standard design proposals of rural houses had been made public three times ; in 1972 , 1984 and 1995. so , firstly, this study analysed the inner-space layouts of design proposals mentioned above, from which changes and problems in the past housing design were derived. And also, through, the positive acceptance of residents' opinion living inthe houses built by standard design proposals in 1970 ~1980's, improved design principles and an alternative model were proposed , finally. The inner-space structed of standard design proposals in 1970s was originated from small-scaled and low-priced one, basically under the " open system". In 1980s, the basic design principle changed to the 'closed system' in which the living room being the focus of indoor family life, and , in 1990s, progressively, therural housing developed to the high qualified type by the spatial enlargement and with increased equipements. However, this structural change of rural house brought about the problem of functional separatioon between farming and daily living activities. In details, limited spaces of multipurpose spaces and sanitary facility would be mentioned as problems for improvement. conclusively in this study, newoly arranged "open system" was recommended , as a basic design principle for theinner space structure formation of rural house, which easily links the constituent inner-house spaces to outer one. Based on this principle, the detailed design criterial was proposed as follows ; 1. The living room be directly linked to the front-yard and centrally placed, the addtional space of which could be secured for the special family events by the flexibleuse of its adjacent room or by the housing of male quarters(separated from main building quarter). 2. The kitchen also be directly linked to side-yard and to livng room , for the convenience of farming activities and the shortening of path flow housewife. 3. The expanded toilet-and-bathroom be placed in the directly connected left-hand side to the living room and also be allowed access through multipurpose spaces to out door. 4. The multipurpose spaces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kitchen and the toilet and-bathroom , of which function would be for undressing of working clothes, quickwashing and ordinary working.nd ordinary work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