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osed mine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38초

습식사이클론을 이용한 광물찌꺼기의 정밀분급과 탈수 (Fine Particle Classification and Dewatering of Tailing Using Hydrocyclone)

  • 김종걸;유경근;최홍일;최의규;박제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4권4호
    • /
    • pp.56-60
    • /
    • 2015
  • 광물찌꺼기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부유선별공정에서 배출되어 1차 분급된 시료를 대상으로 정밀분급을 실시하였다. 0.1 MPa - 0.3 MPa의 주입압력(공급유량)과 5% - 15%의 광액농도 조건에서 2인치 습식사이클론을 이용하여 분급시험을 진행한 결과, 주입압력 (공급유량)이 감소할수록 광액농도가 증가할수록 분리입도는 증가하였다. 광액농도 5%와 주입압력 0.3 MPa의 조건에서 overflow와 underflow의 평균입도는 각각 $6.56{\mu}m$$55.45{\mu}m$를 나타내었다. 분급효율은 광액농도를 증가시키거나 주입압력을 감소시킬수록 이상적인 분급효과에 근접하였다. 광액농도가 증가할수록 탈수효과는 증가하며, 주입압력에 따른 변화는 크지 않았다. 광액농도 15 %와 주입압력 0.3 MPa의 조건에서 underflow의 함수율은 27.9%로 나타났다.

폐광산지역 경작지 토양의 중금속 존재형태와 토양오염평가

  • 김휘중;양재의;전상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49-155
    • /
    • 2003
  •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fractionate heavy metals in soil samples in the upper Okdong River basin and to assess the potential pollution index of each metal fraction.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cultivated land soils and analyzed for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pH of cultivated soils ranged from 5.2 to 7.6. Contents of total kelhaldal nitrogen and loss on ignition were in the ranges of 0.6∼2.5%, and 1.9∼12.9%, respectively. Heavy metals in the cultivated land soils were higher in the abandoned closed coal mine near field soils than those in the paddy soils. Total concentrations of metals in the cultivated land soils were in the orders of Zn > Pb > Ni > Cu > Cd, exceed the corrective action level of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Law and higher than the naturals were abundance levels reported from uncontaminated cultivated land soils. Mobile fractions of metals were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total concentrations. Soil Pollution Assesment Index(SPAI) values of each fraction of metals were leveled from Non polluted to Moderately polluted based on total concentrations. SPAI values of mobil fractions were lower than those of immobile fractions. Results on metal fractions and SPAI values of the cultivated land soils indicate that field soils samples were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and had potential to cause a detrimental effects on plants. A prompt countermeasure to prevent field soils in the abandoned closed coal mine near fields are urgently needed.

  • PDF

정선 폐광지역 주요 관광자원 중요도 평가 연구 - 전문가와 지역주민 평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Important Perception on the Main Tourist Resource of closed Mine Area in Jeong-Seon - The Case of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s and Local Residents -)

  • 문정홍;이주형;홍장표
    • KIEAE Journal
    • /
    • 제9권5호
    • /
    • pp.77-84
    • /
    • 2009
  • This study was initiated by the fact that Kangwon Land and large sized resorts was failed the financial benefit to the local residents. This research analyzed the best important tourist resource among the main tourist resource by perception interviewing local residents and related professionals. This study shows that the leisure resource was most important resource field in Jeong-Seon. So more attention to the leisure resources and investment them. Among natural attraction resources 'Hwa-Ahm cave and Hwa-Ahm mineral water' is estimated to have most potential for the strategic financial support. In leisure sector 'High One resort' is judged to be more important attraction resource by professionals but a case of local residents 'Dong-gang Rafting' and 'Rail Bike' were estimated more important resources rather than 'High One resort;. Lastly, in cultural resources, although the importance is a bit behind natural attraction and leisure resources, 'Jeong-Seon 5th day market' and 'Araree village' should be the core linking other related cultural resources. In order to activate tour industry and development of Jeong-Seon area, it is necessary to find identify of regional owned attraction resources and to build tourist attraction infra structure by selecting core bases of existing major attraction points and linking other various resources to those core bases.

광산폐석의 효과적 처리를 위한 지화학적 연구 (Geochemical Experiment for Effective Treatment of Abandoned Mine Wastes)

  • 이진국;이재영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1-44
    • /
    • 1998
  • 본 연구는 중금속원소의 주오염원 중의 하나인 금속폐광산에 다량 잔존하는 폐석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실내모형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광산폐석처리의 기술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실험의 도구는 실험결과에 거의 영향이 없는 내산성 내알카리성의 아크릴산수지와 폴리에틸렌 관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 운용된 8개의 모형을 계내의 환경, 충진물의 배열방식 및 종류 등으로 분류한다면 4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그룹 1은 계내에 폐석으로만 충진하여 개방계에서 실험한 배경모델이고, 그룹 2는 각각 두 개의 폐석층과 석회암편층을 층상으로 배열한 뒤 개방계와 폐쇄계로 구분하여 실험하였다. 그룹 3은 폐석과 석회암편을 골고루 잘 섞어 계내에 충진하고(혼합모델)이를 개방계와 폐쇄계로 구분하여 실험하였으며, 마지막 그룹 4는 폐석층의 표층부에 석회암편층을 가하여 실험하였다. 배경모델인 모델 Ⅰ로부터 배수된 시수는 실험초기부터 말기까지 중금속원소의 용존량이 매우 높다. 그런, 다른 모델에 비해 그룹 3에 해당되는 모델 Ⅴ와 Ⅶ은 중금속원소의 함량이 매우 낮아 제거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폐쇄된 혼합모델에서 폐석과 석회암편의 혼합비를 1:1, 2:1로 달리하더라도 중금속원소의 제거효과 는 대동소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계내를 같은량의 충진물로 충진하더라도 혼합모델은 층상모델에 비해 중금속원소의 제거효과가 현저히 높다. 그리고, 다른 실험조건이 같은 폐쇄계와 개방계를 비교하면 전자의 중금속원소의 제거효과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광산인근 논토양의 카드뮴 존재형태와 쌀의 카드뮴의 함량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Fraction of Cd in Paddy Soils near Closed Mine and Cd in Polished Rice Cultivated on the same Fields)

  • 김원일;박병준;박상원;김진경;권오경;정구복;이종근;김정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84-189
    • /
    • 2008
  •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Cd fraction in paddy soils and Cd in polished rice, soils and rice were analyzed at the 3 Cd contaminated paddy fields near closed mines. Major Cd fractions of A field were organically bound (62.6%) and Fe-Mn oxide bound (25.3%) forms. In case of B field, major Cd fractions of B1 field were carbonate bound (46.3%) and Fe-Mn oxide bound (31.6%) form whereas B2 field were residual (54.3%) and carbonate bound (21.8%) form, respectively. It showed a huge difference of Cd fraction each other. 0.1M HCl extractable Cd in soi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d in rice. Specially, the ratios of 0.1M HCl extractable Cd against total Cd content in soils were 13.7%, 2.6%, and 0.45% in A, B1, and B2 fields, respectively. These ratio were largely affected with Cd uptake to rice grain. Also, exchangable, Fe-Mn oxide bound, and carbonate bound form, which are partially bioavailable Cd fraction to the pla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d in rice while organically bound and residual form was not correlated.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was developed with Rice Cd = -0.02861 + 0.07456 FR 1(exchangeable) + 0.00252 FR 2(carbonate bound) + 0.001075 FR 3(Fe Mn oxide bound) - 0.00095 FR 4(organically bound) - 0.00348 FR 5(residual) ($R^2=0.7893^{***}$) considering Cd fraction in soils.

Health Risk Assessment through Residents Exposure to Toxic Metals in Soil and Groundwater in the Vicinity of Sanyang Metal Mine

  • Park, Jeong-Hun;Choi, Kyoung-Kyoo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7-103
    • /
    • 2012
  • BACKGROUND: Metal mines were actively developed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n Korea; however, most of these mines were closed and abandoned without proper management. Therefore, toxic metal contamination in the vicinity of Korean abandoned metal mines has been reported. A risk assessment for these metals was performed for residents near by abandoned Sanyang metal mine. METHODS AND RESULTS: Soil and ground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y to October 2007 around the mine. After pretreatment of these samples, metal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and then a risk assessment was performed using the Korean soil-contamination risk assessment guidelines. Cancer risk was the highest from inhalation of Pb-contaminated soil, followed in descending order by As-contaminated soil inhalation and water ingestion. The sum of carcinogenic risks was $3.35{\times}10^{-3}$. The noncarcinogenic risk was observed for inhalation of Hg-contaminated soil (5.71). CONCLUSION: Inhalation of soil in dust was the principal pathway to cause the health risk and most of the risk was attributed to As, Pb,Cd, and Hg contamination.

폭발압접에 대한 갱도의 안정성 분석 (Stability Analysis of Mine Drift for Explosive Welding)

  • 양형식;장명환;장형두
    • 화약ㆍ발파
    • /
    • 제28권1호
    • /
    • pp.55-62
    • /
    • 2010
  • 광산의 채광장 활용을 위해 갱도 내에서 폭발압접이 계획되었다. 폭발압접의 입사압력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갱도의 천단부와 주변 광주의 안정성 분석 실시하였다. 폭풍압의 예측은 일반식, CONWEP 및 DDESB의 식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폭발압접이 지속적으로 이뤄진다면 광산 채굴적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폐탄광지역 퇴적물의 중금속 존재형태 및 안정화에 관한 연구

  • 이정란;이재영;김휘중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5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253-259
    • /
    • 2005
  • Mine is quickly decline, Nowadays, many of abandoned and closed mines. AMD is abandoned surface water by accumulated yellowboy and caused environmental pollution by amount of heavy metals. The aim of this study waste lime was mixed with the sediment to produce an aggregate far the purpose of neutralizing the acidity and stabilization the heavy metal in the aggregate structure .to pozzolan effect. The result of Waste lime and sediment mixed(5%, 10%, 20%)ration by curing days(3, 7, 38days), After 28 curing days as 5% mixed waste lime leaching solution concentration of all heavy metals is satisfied with regulation limit. Also, the result of fractionate heavy metals to stabilization as 28 curing days very decrease exchangeable and reducible type, and then increase carbonate type. With the above results, waste lime the most effective for the sediment treatment and useful for the recycling waste resource.

  • PDF

휴폐광산 지역에서 폐석의 중금속 존재 형태와 지화학적농축계수 평가 (Fraction and Geoaccumulation Assessment Index of Heavy Metals in Abandoned Mines wastes)

  • 김휘중;박병길;공성호;이재영;옥용식;전상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0권6호
    • /
    • pp.75-80
    • /
    • 2005
  • 남한강 상류지역의 금속광산인 거도, 만정, 조일광산은 1988년 석탄광산합리화 사업과 더불어 폐광되었으며, 휴$\cdot$폐광된 이후 다량의 광산 폐기물을 방치하여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광미, 폐석 등의 이동에 의한 주변의 토양오염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없기 때문에 이들 광산폐기물에 의한 오염정도를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폐광된 거도, 만정, 조일 광산의 광산 폐석에 의한 수질 오염 가능성 평가를 위해 각 광산에서 폐석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HCl 처리 농도에 따라 지화학적 농축 계수(Index of geoaccumulation), 중금속 존재 형태와 이동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카드뮴, 납, 아연, 구리, 니켈 그리고 크롬의 지화학적 농축 계수는 각각 6, $4\~6,\;0\~6,\;4\~5$, 2, 0을 나타냈다. 광산 폐석에서 카드미뮴, 납, 아연, 구리의 지화학적 농축계수 분석을 통하여 이러한 지역이 상당한 오염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광산 폐석에서 중금속의 존재 형태는 구리의 경우 유기물 형태, 납은 탄산염 형태, 니켈과 아연은 잔류상 형태로 나타났다.

충청북도 제천시 폐석면광산 주변 토양에서 검출되는 각섬석의 크기 분포 (Size Distributions of Amphiboles in Soils from a Closed Asbestos Mine, Jecheon, Chungcheongbuk-do, Korea)

  • 권지운;최성원;김현욱
    • 자원환경지질
    • /
    • 제47권5호
    • /
    • pp.497-505
    • /
    • 2014
  • 본 연구는 석면형태와 비석면형태의 구분을 위하여 충청북도 제천시에 소재한 한 폐석면광산 지역의 토양 중 트레모라이트와 악티노라이트 섬유의 크기 특성을 파악하였다. 폐석면광산 주변지역의 토양과 트레모라이트 석면 암석을 채취하고,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길이 $5{\mu}m$ 이상이며 길이대너비 비율이 3:1 이상인 섬유의 크기를 측정하여 알려진 석면형태와 비석면형태를 보이는 트레모라이트의 크기 분포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섬유의 너비는 기하평균으로 토양시료 $1.2{\mu}m$, 석면 암석 $0.3-0.6{\mu}m$, NIST 트레모라이트 $1.3{\mu}m$, HSL 트레모라이트 $0.2{\mu}m$ 이었다. 길이대너비 비율은 기하평균으로 토양시료 7.3, 석면 암석 13.7-30.1, NIST 트레모라이트 7.2, HSL 트레모라이트 37.8 이었다. 토양시료는 알려진 석면형태의 트레모라이트 뿐만 아니라 비석면형태의 트레모라이트에 비해서도 가늘고 길이대너비 비율이 큰 섬유를 적게 함유하였다. 따라서 연구 대상 토양시료 중의 트레모라이트-악티노라이트는 전형적 석면형태로 분류할 수 없으며, 대부분은 광산 및 채석장으로부터 바람에 의해 비산된 석면으로 인한 오염의 결과가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토양 중 석면의 관리를 위해서 석면 오염 여부를 조사 시에는 감섬석의 크기 분포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