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nical Interviewing Skills Training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동기강화상담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가정방문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직무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otivational Interviewing Training Program o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Efficacy of Home Visiting Nurses)

  • 김성재;양정운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74-287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ivational Interviewing(MI) training program on communication skill and self-efficacy of home visiting nurses(HVNs). Methods: This study has a mixed-methods design that includes a one-group pre-post test study and focus group interviews(N=23). From April 16th to June 11th in 2014, total six two-hour sessions of MI training program were provided to the participants. The quantitative outcomes were collected using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GICC-15) and Self-efficacy Scale, and the qualitative data were obtained by 5 focus group interviews. Group pre-post changes were evaluated by paired t-tests and th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method. Results: MI training program led to significant enhancement in communication skills(Z=-3.62, p<.001) and self-efficacy(Z=-3.67, p<.001). The qualitative study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had positive experiences to express empathy, support self-efficacy, and respect autonomy for their clients applying reflective-listening and affirmation skill. Conclusion: The HVNs who participated in the MI training program showed improved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efficacy i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is needed to confirm the value of MI training program for HVNs.

코로나19로 인한 일개 의과 대학의 비대면 의료 면담 실습수업 사례 분석 (Assessment of Emergency Remote Teaching for Clinical Interview Skills due to COVID-19: Its Implication for Future Online Medical Education)

  • 이상옥;김유리;김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431-443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 범유행 동안의 의료 면담 교육 지속을 위하여 화상 회의 방식의 긴급 비대면 수업(Emergency Remote Teaching:이하 ERT)을 도입한 일개 의과 대학의 사례를 보고하는 것이다. ERT 실습과 기존 면대면 실습과의 차이에 초점을 두고 표준화 환자 인터뷰를 통하여 수업 운영 경험을 기술하고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교육 효과를 살펴보았다. 표준화 환자들은 면담 과정에서 원격 상대와 눈 맞춤을 하기 어려우며, 대화 시의 생동감과 재미가 다소 떨어지나, 대면 실습보다 대화 내용에 대한 집중도는 높은 느낌을 받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비대면 수업의 수강생들은 온라인으로 실시한 단원별 테스트에서 기존 면대면 수업 수강생과 비슷한 성적을 받았으나, 대면으로 치러진 기말고사에서는 유의하게 낮은 성적을 받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면대면 접촉과 비디오 매개 커뮤니케이션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사례가 비대면 의사-환자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한 원격 의료 면담 훈련법 개발로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