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mate Variability Index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7초

다양한 기저유출 분리 방법을 이용한 4대강 수계의 시간대별 (연·계절·월) 기저유출 기여도 분석 (Analysis of Baseflow Contribution based on Time-scales Using Various Baseflow Separation Methods)

  • 이승찬;김희연;김효정;한정호;김성준;김종건;임경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9권2호
    • /
    • pp.1-11
    • /
    • 2017
  • The analysis of baseflow contribution is very significant in Korea because most rivers have high variability of streamflow due to the monsoon climate. Recently, the importance of such analysis is being more evident especially in terms of river management because of the changing pattern of rainfall and runoff resulted from climate change. Various baseflow separatio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separate baseflow from streamflow.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identify which method is the most accurate way due to the lack of measured baseflow data. Moreover, it is inappropriate to analyze the annual baseflow contribution for Korean rivers because rainfall patterns varies significantly with the seasons. Thus, this study compared the baseflow contributions at various time-scales (annual, seasonal and monthly) for the 4 major river basins through BFI (baseflow index) and suggested baseflow contribution of each basin by the BFI ranges searched from different baseflow separation methods (e.g., BFLOW, HYSEP, PART, WHAT). Based on the comparison of baseflow contributions at the three time scales, this study showed that the baseflow contributions from the monthly and seasonal analysis are more reasonable than that from the annual analysis.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s that defining BFI with its range is more proper than a specific value for a watershed, considering the difference of BFIs between various baseflow separation methods.

기후변화가 중서부태평양 가다랑어(Katsuwonus pelamis)의 어획분포와 생물학적 특성에 미친 영향 (Effects of Climate-induced Variation in the Catch Distribution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in the Western and Central Pacific Ocean)

  • 김은정;문대연;김수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89-497
    • /
    • 2015
  • To reveal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n the distribution, growth, and maturation of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in the western tropical Pacific, we compared two El $Ni{\tilde{n}}o$-Southern Oscillation (ENSO) signals and the sea surface temperature (SST) in the main fishing area with fishery and biological data. An index of skipjack tuna distribution was calculated using Korean purse seine fishery data from 1985 to 2003. Biological data for skipjack tuna were collected monthly from Korean catches during the 1994-2003 period. The catch wa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SST in the main fishing area than to the ENSO signals. However, cross-correlated function analysis showed delayed interactions between abiotic and biotic factors. The El $Ni{\tilde{n}}o$ events preceded the eastward movement of the fishing center by 2-3 months. El $Ni{\tilde{n}}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kipjack tuna catch, and the change in the Southern Oscillation Index (SOI) preceded the catch fluctuation by ca. 5-7 months. In addition, negative El $Ni{\tilde{n}}o$ effects on gonad maturation and the mean length of skipjack tuna were detected with time lags of 12 and 7 months, respectively. The length frequency indicated that the regime-specific growth pattern at each discrete period seemed to be related to the ENSO.

한국의 극한 기온 및 강수 사상의 변화 경향에 관한 연구 (Trends o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Extreme Events in Korea)

  • 최영은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11-721
    • /
    • 2004
  • 기상과 관련된 재해의 직접 원인이 되는 극한 기후 사상의 발생 빈도 및 강도의 변화 경향을 파악하는 것이 된 연구의 목적이다. 일최저기온, 일최고기온, 일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10개 기후 변화 지시자를 산출하였다. 그 변화 경향의 공간 분포를 파악하였다. 일최저기온을 이용하여 산출된 온난야의 발생 빈도는 한반도에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고. 최저기온의 증가로 인하여 서리일수는 감소하고 생장기간은 증가하였다. 매해의 일최저기온과 일최고기온의 차로 산출되는 연극한기온교차는 최고기온은 변화하지 않았지만. 최저기온의 증가로 인하여 감소하고 있다. 강수와 관련된 지시자들은 기온 관련 지시자에 비하여 변화 경향이 뚜렷하지 않지만, 무강수일수의 한반도 시계열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호우지수로 분류될 수 있는 강수강도는 증가하고 있다.

지구관측 위성자료를 이용한 주요 대기 에어러솔 성분의 공간분포 분석 (Spatial Analysis of Major Atmospheric Aerosol Species Using Earth Observing Satellite Data)

  • 이권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9-127
    • /
    • 2011
  • 대기 에어러솔은 대기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로 인체 유해성을 지니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수로 알려져 있다. 게다가 대기 에어러솔의 주요 성분에 대한 정확한 평가는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 때문에 지구관측 위성자료는 대기질 감시측면에서도 효과적인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전구적인 규모의 대기 에어러솔의 주요 성분별 분포변화를 알아보고자 MODIS 에어러솔 광학두께(AOT; Aerosol Optical Thickness)와 미세입자분율(FMF; Fine Mode Fraction), 그리고 TOMS 자외선 흡수성 에어러솔 지수(AAI; UV Absorbing Aerosol Index)를 이용하여 네 가지의 주요 에어러솔의 성분(먼지, 탄소성, 황산화물, 해염)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결과물을 검증하기 위하여 에어러솔 예측 모델자료와 각 격자별 자료로 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본 연구에서 산출된 결과물이 에어러솔의 성분별 전반적인 패턴을 잘 표현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렇게 주요 에어러솔 타입으로 구분된 위성자료의 사용은 대기질 감시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연구에 있어서도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Estimation of Highland Kimchi Cabbage Growth using UAV NDVI and Agro-meteorological Factors

  • Na, Sang-Il;Hong, Suk-Young;Park, Chan-Won;Kim, Ki-Deog;Lee, Kyung-D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420-428
    • /
    • 2016
  • For more than 50 years, satellite images have been used to monitor crop growth. Currently, unmanned aerial vehicle (UAV) imagery is being assessed for analyzing within field spatial variability for agricultural precision management, because UAV imagery may be acquired quickly during critical periods of rapid crop growth. This study refers to the derivation of growth estimating equation for highland Kimchi cabbage using UAV derived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nd agro-meteorological factors. Anbandeok area in Gangneung, Gangwon-do, Korea is one of main districts producing highland Kimchi cabbage. UAV imagery was taken in the Anbandeok ten times from early June to early September. Meanwhile, three plant growth parameters, plant height (P.H.), leaf length (L.L.) and outer leaf number (L.N.), were measured for about 40 plants (ten plants per plot) for each ground survey. Six agro-meteorological factors include average temperature; maximum temperature; minimum temperature; accumulated temperature; rainfall and irradiation during growth period.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were suggested by using stepwise regression in the extraction of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NDVI_{UAV}$ and rainfall in the model explain 93% of the P.H. and L.L. with a root mean square error (RMSE) of 2.22, 1.90 cm. And $NDVI_{UAV}$ and accumulated temperature in the model explain 86% of the L.N. with a RMSE of 4.29. These lead to the resul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variations in highland Kimchi cabbage growth according to $NDVI_{UAV}$ and other agro-meteorological factors were well reflected in the model.

전지구 온도지표를 이용한 한강유역의 여름철 강우특성 변화 분석 (Summer Precipitation Variability in the Han River Basin within the Context of Global Temperature Gradients)

  • 정민수;김종석;문영일;황성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1151-115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전지구 온도지표인 LOC/MTG 온도인자를 이용하여 기후변동성(Climate Variability)을 파악하고 관측수문량의 상대적 변화분석을 위한 특성자료로 활용하였다. 여기서, LOC (Land-Ocean Contrast)는 중위도 지역에서 대륙과 해양의 온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수이며, 고위도 및 아열대 지역의 남북간 기온의 차이는 MTG (Meridional Temperature Gradient)로 정의된다. LOC/MTG 두 패턴의 남북 또는 동서 지점의 변화는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대기순환패턴의 변화와 그와 관련된 대기수분이송에 직간접적인 영향인자로서 작용될 수 있다. 또한, 여름철 동아시아의 수문기상의 변화는 식수, 관개용수, 수력발전 및 수산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크며, 인간과 자연의 상호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수자원의 공급에 중요한 결정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6월에서 9월 사이에 발생한 여름철 강우 중에서 태풍에 의해 유발된 강우를 제외하고 몬순기후에 의한 한반도 유역의 지역적 강우 특성을 분석하였다. 한강 몬순강우와의 통계적 상관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름철 몬순강우의 변화에 민감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남해안 한려해상국립공원의 계절별 해조상 및 군집구조 변화 (Seasonal Variations in the Macro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on the South Coast of Korea)

  • 오지철;안중관;김철도;정장방;최한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768-775
    • /
    • 2015
  • Seasonal variability in the marine seaweed community structure was examined in the intertidal zones at nine study sites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from March to October 2014. A total of 145 seaweeds were indentified, comprising 15 green, 41 brown and 89 red algae. Coarsely branched seaweeds were the dominant functional group, comprising 58.95% in species number, whereas filamentous, sheet, thick leathery, crustose and jointed calcareous forms comprised 2.63-17.72% each. The seaweed biomass averaged 358.00 g dry wt/m2 and it was maximal at Somaemuldo (847.64 g dry wt/m2) and minimal at Gamam (56.51 g dry wt/m2). Based on biomass, the dominant and subdominant seaweeds were Ulva australis at Gamam, Sargassum thunbergii at Sangju, Ulva australis and S.fulvellum at Neukdo, S.horneri at Dala-Bijindo-Somaemuldo, S. thunbergii at Dapo, and Corallina pilulifera at Songdo. Community indices were as follows: dominance index (DI), 0.43-0.71; richness index (R), 8.26-16.50; evenness index (J'), 0.36-0.54; and diversity index (H'), 1.57-2.19. In conclusion, we found that both biomass and the community structure of seaweeds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were similar to those in other studies of the Southern Sea along the Korean peninsula, and that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is a relatively favorable habitat for seaweeds. Future studies should examine the changes in seaweed composition and biomass as they relate to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습윤 지역의 기후-토양-식생-지하수위 상호작용을 반영한 개념적인 생태 수문 모형 (Conceptual eco-hydrological model reflecting the interaction of climate-soil-vegetation-groundwater table in humid regions)

  • 최정현;김상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9호
    • /
    • pp.681-692
    • /
    • 2021
  • 식생 프로세스는 증발산 제어를 통해 강우 유출 프로세스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지만, 개념적인 집중형 수문 모형에서는 거의 고려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인공위성에서 원격으로 감지된 엽면적지수 자료를 표현하는 생태 모듈을 수문 분할 모듈에 통합하여 합천댐 유역에 대한 모형 성능을 평가하였다. 제안된 생태 수문 모형은 습윤 지역의 생태수문 프로세스를 더 잘 표현하기 위하여 크게 세 가지 주요한 특징을 가진다. 1) 식생의 성장률은 유역의 물 부족 스트레스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2) 식생의 최대 성장은 유역 기후에 의한 에너지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3) 식생과 대수층의 상호작용이 반영된다. 제안된 모형은 유역 단위의 수문 성분과 식생 동역학을 동시에 모의한다. SCEM 알고리즘에 의해 추정된 모형 매개변수를 이용한 검증 결과로부터 아래와 같은 발견할 수 있었다. 1) 엽면적지수와 하천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생태수문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는 것이 생태 모듈이 없는 수문 모형과 비슷한 정확도 및 견고함으로 하천유량을 예측할 수 있다. 2) 필터링이 안된 원격으로 감지된 엽면적지수를 그대로 입력자료로 이용하는 것은 하천유량 예측에 도움이 안된다. 3) 통합된 생태수문모형은 엽면적지수의 계절적인 변동성에 대한 우수한 추정치를 제공할 수 있다.

Variability of Stem-Base Infestation and Coexistence of Fusarium spp. Causing Crown Rot of Winter Wheat in Serbia

  • Jevtic, Radivoje;Stosic, Nemanja;Zupunski, Vesna;Lalosevic, Mirjana;Orbovic, Brank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6호
    • /
    • pp.553-563
    • /
    • 2019
  • Investigations related with factors influencing root and crown rot are rare and mainly related to farming practice and soil management.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broader range of factors influencing stem-base infestation of winter wheat in the field conditions. The effect of spatial distribution of infected plants on disease index (DIs) assessments was also investigated.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DIs of crown rot of wheat demonstrated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growing seasons (P < 0.001) and extreme fluctuations in winter temperatures (P < 0.001). In addition to that, localities together with their interaction with the growing season also significantly influenced DIs (P < 0.001). Aggregation of infected plants influenced variability of DI estimations, and it was pointed out that more extensive investigation should be conducted on broad range of DI in order to establish sampling method giving uniform sampling precision. Fusarium graminearum was shown to be predominant Fusarium species in Serbia (72.6%) using sequence-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analysis. Interestingly F. oxysporum was isolated in higher frequencies (27.4%) than it was reported in the literature. Given that there were no reports on the diversity of Fusarium species causing crown rot of wheat in Serbia, this study presents first report on this important subject. It also indicated that more attention should be focused on combined effects of abiotic and biotic factors influencing stem-base infestation of winter wheat. This knowledge will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ing of factors influencing root and crown rot of wheat which would ensure sustainable disease management in the future.

정량적 수해위험도 평가를 위한 세계 주요도시 강우특성의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Rainfall Characteristic at World Cities for Evaluation of Flood Risk)

  • 박민규;박무종;신상영;유철상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75-182
    • /
    • 2011
  • 재해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을 추구하는 시민들의 욕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최근 안전도시 만들기 등이 이슈가 되고 있다. 기후 및 기상특성이 상이한 세계 도시들을 대상으로 안전도시로서 평가를 받으려면 각 도시가 처한 재해위험성을 평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세계 주요도시의 실제 관측 강우량을 수집하였다.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강우를 비교하기 위해 특정 지역에서 최대로 발생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능최대강수량을 이용하여 빈도계수 등 여러 가지 지표를 계산해보았다. 이러한 지표를 이용한 결과 우리나라 주요 도시가 보여주는 강우특성을 고찰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호우의 강수량은 변동성이 다른 세계 주요 도시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큰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비교 결과들은 세계도시를 대상으로 하는 수해위험도 평가방법의 개발뿐만 아니라 향후 수해방지대책의 방향설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