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eaning

검색결과 3,845건 처리시간 0.027초

$UV/O_3$을 이용한 Si contact hole 건식세정에 관한 연구 (Dry Cleaning of Si Contact Hole using$UV/O_3$ Method)

  • 최진식;고용득;구경완;김성일;천희곤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10권1호
    • /
    • pp.8-14
    • /
    • 1997
  • The UV/O$_{3}$ dry cleaning has been well known in removing organic molecules. The UV/O$_{3}$ dry cleaning method was performed to clean the Si wafer surfaces and contact holes contaminated by organic molecules such as residual PR. During the cleaning process, the Si surfaces were analyzed with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atomic force microscope (AFM) and ellipsometer. When the UV/O$_{3}$ dry cleaning at 200'C was performed for 3 minutes, the residual photoresist was almost removed on Si wafer surfaces, but Si surfaces were oxidized. For UV/O$_{3}$ application of contact hole cleaning, the contact string were formed using the equipment of ISRC (Inter-university Semiconductor Research Center). Before Al deposition, UV/O$_{3}$ (at 200.deg. C) dry cleaning was performed for 3 minutes. After metal annealing, the specific contact resistivity was measured. Because UV/O$_{3}$ dry cleaning removed organic contaminants in contact holes, the specific contact resistivity decreased. Each contact hole size was different, but the specific contact resistivities were all much the same.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UV/O$_{3}$ dry cleaning method will be useful method of removal of the organic contaminants at smaller contact hole cleaning.

  • PDF

Exposure Assessment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in the Aircraft

  • Doo-Young Kim;Ki-Youn Kim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4호
    • /
    • pp.487-492
    • /
    • 2022
  • Objective: The exposure levels of disease-causing bacteria and germs were assessed on aircraft cleaning workers on multiple different aircrafts. Method: Five measuring points were selected depending on the aircraft types. Four aircraft cleaning agencies were selected for the test. Aircraft cleaning work was classified as intensive cleaning and general cleaning work. Ventilation in aircraft when sampling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was categorized into forced ventilation and natural ventilation. The collection of airborne microorganisms was made through inertial impactors which were installed 1.5 meters above the bottom of the aircraft. The airborne bacteria and fungus growth badges were selected by Trytpic Soy Agar and Sabouraud Dextrose Agar. Results: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bacteria in the air were higher in the order of small, medium, and large airplanes. Rainy days had higher concentrations inside and outside the aircraft as compared to those in sunny days. Regarding ventilation, concentrations in natural ventilation were higher than concentrations in forced ventil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the concentrations in the intensive cleaning groups (cleaning one plane a day)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ordinary cleaning groups (cleaning several planes per day). Conclusion: The concentration levels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in the aircraft surveyed were lower than the indoor environmental standards of Korea (800 cfu/m3 and 500 cfu/m3).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bacteria in the air and fungi in the air were highest in small aircraft owned by Company D.

역삼투막 공정에서 화학적 세정에 의한 $SiO_2$ scale 제거특성 (Characteristics of $SiO_2$ Scale Removal by Chemical Cleaning in Reverse Osmosis Membrane Process)

  • 독고석;이형집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3-101
    • /
    • 2010
  • Reverse osmosis (RO) membranes have been widely used for desalination as well as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Cleaning process is important to maintain stable operation as well as 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electrostatistic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fter cleaning of RO membrane against $SiO_2$ scale. Four RO membranes of polyamide are used and examined about effect of chemical cleaning. EDTA (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and SDS (sodium dodecil sulfate) and NaOH are applied for cleaning process after operation in synthetic water. Then, cleaning was performed with chemicals such concentration as 6hr, 12hr and 24hr, respectively. As a result, transmittances of FT-IR of four membranes are compared at each cleaning concentration. Ta/Tv shows difference of chemical composition between new membrane and cleaning membrane after cleaning. Type B of RO membrane is turned out to be most vulnerable to cleaning among four membranes. In terms of zeta potential, new membrane has -16 mV to +6 mV on pH while scaled membrane has -18 mV to 2 mV. However, it changed -23mV to 0.9 mV after cleaning. In comparison with existing salt rejection of RO membranes after cleaning, the rejection of the membranes goes down 0.7% maximum. Though cleaning changes the characteristics of membrane surface, it does not greatly affect salt rejection. pH is a critical factor to flux change in PA (polyamide) membrane.

Cleaning Fabricated Metal Thread: A Post-treatment Stability Assessment after Artificial Deterioration and the Application of Synthetic Soil

  • Park, Hae Jin;Hwang, Minsun;Chung, Yong Jae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9-31
    • /
    • 2019
  • To study the cleaning effects and post-treatment stability assessment of various methods of cleaning textiles with metal thread, six naturally-soiled historical textiles with metal thread were investigated a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Prior to the cleaning of fabricated gold, silver, and copper thread that had been glued onto a paper substrate, the artificial deterioration was carried out in a controlled environment with light(UV and daylight), and temperature and humidity factors which would weaken and damage the samples. A synthetic soil mixture was applied to the samples to imitate soil found on the historic and archaeological textiles with metal thread; the cleaning effect and post-treatment assessment were investigated by use of three textile cleaning methods: mechanical cleaning, wet cleaning, and solvent cleaning. While investigating the naturally-soiled textiles with metal thread, it was determined that the soil colors and sizes of contaminating particles of each textile were different due to the diversity of origi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conditions. After cleaning with kneaded rubber, Stoddard solvent, n-decane or n-hexane, a bright, clean effect was apparent. Kneaded rubber was successful in picking up both large and small particles, but its stickiness caused some of the metal leaf to peel off. Stoddard solvent produced a good cleaning effect, but after use of n-hexane and n-decane in the cleaning process, a white layer of residue remained on the textile's surface. Wet cleaning was not effective and the rapid humidity changes between wet and dry conditions caused the edges of the paper substrate to lose their original shape.

오존파괴물질 대체 불소계 세정제의 물성 및 세정성 평가연구 (Physical Properties and Cleaning Ability of Fluoride-Type Cleaning Agents Alternative to Ozone Destruction Substances)

  • 박지나;김은중;정용우;김홍곤;배재흠
    • 청정기술
    • /
    • 제11권3호
    • /
    • pp.129-139
    • /
    • 2005
  • 불소 화합물인 TFEA (2,2,2-trifluoroethanol)와 HFE (hydrofluoroether)는 분자 내에 염소를 함유하지 않으므로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으며, HFC, HCFC계 세정제에 비하여 지구온난화 영향력도 낮고, 탄화수소계 세정제보다 열적으로 안정하여 차세대 CFC 대체세정제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CFC-113, 1,1,1-TCE, HCFC-141b 등의 오존파괴물질인 염소계 세정제와 차세대 대체세정제인 TFEA, HFE-7100, HFE-7200의 물성과 세정력을 비교 평가하고, 현재 대체세정제로사용하고 있는 IPA, methanol과의 물성, 세정력을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TFEA를 기초로 하여 alcohols, HFEs와의 혼합 비수계세정제를 제조하고, 이들의 물리적 성질과 세정력을 측정하여 불소계 화합물의 대체세정제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TFEA와 HFEs는 현재 주요 기간산업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오염물지릉 세정에서 염소계 세정제에 비하여 낮은 세정능력을 보여주었지만, 불소를 함유한 화합물이므로 불소함유 오일의 제거에는 우수한 세정력을 보였다. 또한 TFEA와 alcohols 또는 HFEs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플럭스와 절삭유에 대한 세정력을 100%까지 향상시킬 수 있어 불소계 화합물을 적절한 용제 또는 첨가제와 혼합하여 혼합세정제로 사용하면, 세정능력이 우수하고 환경친화적인 비수계세정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 PDF

계면활성제 무첨가 세정제의 배합 및 물성/세정성 평가 연구 (A Study on Formulation of Surfactant-free Aqueous Cleaning agents and Evaluation of Their Physical Properties and Cleaning Ability)

  • 이재령;윤희근;이민재;배재흠;배수정;이호열;김종희
    • 청정기술
    • /
    • 제19권3호
    • /
    • pp.219-22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계면활성제에 의한 수계 세정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친환경적이고 계면활성제가 없는 수계세정제 개발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자 부품 세정대상의 주 오염물인 플럭스(flux)에 대해 용해력이 있고 수용성인 propylene glycol과 propylene glycol alkyl ether계 용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여러 첨가제를 가하여 수계 surfactant-free 세정제 S-1, S-2를 배합하였고, 이들 개발세정제와 비교대상의 수계 surfactant-free 수입 세정제의 물성을 측정하여 세정성능을 예측하고 오염물인 플럭스와 솔더(flux and solder) 대하여 중량법을 이용한 초음파 세정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물성 측정 결과 비교대상 세정제인 수입세정제 V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배합세정제 S-1과 S-2의 세정제와 전반적으로 비슷한 결과 값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대상 세정제 V와 배합세정제 모두 원액을 희석함에 따라 pH가 저하되다가 다시 상승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습윤지수값은 세정능력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양한 초음파 주파수(28, 45, 100 kHz)를 사용한 세정성 평가 실험 결과에서 솔더(solder)의 세정은 주파수 45 kHz에서 세정 성능이 가장 좋게 나타났고 플럭스(flux)의 세정 성능 결과는 실험 대상의 모든 세정제가 주파수 28 kHz에서 세정 성능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희석하지 않은 원액세정제의 플럭스 및 솔더(flux and solder) 세정의 경우 배합세정제 S-1, S-2 모두 수입세정제 V보다 빠른 세정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수입세정제 V의 권장 사용농도인 25%에서는 수입 세정제 V가 배합세정제 보다 초기 세정효율이 좋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결과를 가지고 판단할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배합세정제 S-1, S-2는 충분히 산업현장의 플럭스 및 솔더(flux and solder) 세정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탄화수소계 배합세정제에서의 세정성 영향인자 연구 (Influencing Factors on Cleaning Ability in the Formulated Hydrocarbon-based Cleaning Agents)

  • 정용우;이호열;배재흠
    • 청정기술
    • /
    • 제13권2호
    • /
    • pp.143-15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플러스, 솔더, 그리스와 같은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세정하기 위하여 글리콜 에테르계, 파라핀계 및 실록산계 물질을 배합한 탄화수소계 세정제를 제조하고 습윤지수, 아닐린점 그리고 용해도 매개변수 등의 세정성능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탄화수소계 세정제의 배합은 단일물질의 물성에 기초하여 제조되었다. 제조된 세정제의 습윤지수와 아닐린 점은 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용해도 매개변수는 Hansen의 추정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플럭스, 솔더, 그리스의 오염물을 사용하여 세정제의 세정성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배합 세정제의 세정성능이 플럭스, 솔더, 그리스의 오염물 세정에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오염물에 따라 세정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다르게 나타났다. 플럭스 세정에서는 플럭스($21.3MPa^{1/2}$)와 유사한 용해도 매개변수의 MC($20.3MPa^{1/2}$), DF-1($24.2MPa^{1/2}$), DF-2($21.5MPa^{1/2}$)세정제가 3분 이내에 100%의 세정효율을 보였다. 그리고 솔더 세정에서는 -$20^{\circ}C$ 이하의 아닐린점인 CFC-113, MC, 1,1,1-TCE가 높은 세정효율을 보였다. 그리스 세정에서는 그리스의 용해도 매개변수($15.0{\sim}17.0\;MPa^{1/2}$)와 가장 유사한 DG-1 세정제($16.2\;MPa^{1/2}$)와 DG-2 세정제($15.5\;MPa^{1/2}$)의 세정효율이 비교적 저조하였고 습윤지수가 크고 아닐린 점이 낮은 CFC-113과 MC가 세정효율이 우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플럭스, 솔더, 그리스의 오염물을 세정하기 위해 글리콜 에테르계, 파라핀계 및 실록산계 물질을 알맞게 배합하여 CFC-113, MC, 1,1,1-TCE와 같은 규제물질을 대체할 수 있는 탄화수소계 세정제를 개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습유지수, 아닐린점, 용해도 매개변수 등과 같은 세정성 영향을 검토하여 비수계 세정제의 세정성능을 예측하고 세정제의 배합에 적용할 수 있었다.

  • PDF

Flux, Solder 및 Grease 세정용 CFC 대체 비수계 세정제 배합 연구 (Formulation of Alternative Non-Aqueous Cleaning Agents to Chlorofluorocarbon Compounds for Cleaning Flux, Solder and Grease)

  • 정용우;이호열;이명진;송아람;배재흠
    • 청정기술
    • /
    • 제12권4호
    • /
    • pp.250-258
    • /
    • 2006
  • CFC-113과 1,1,1-trichloroethane 등과 같은 CFC 화합물은 화학적 안정성 및 열역학적 특성 등이 우수하고, 불연성이며, 부식성이 없는 화합물로 오랜 시간 동안 전 산업에 걸쳐 널리 사용 되어 왔다. 하지만, 1989년 지구 환경의 보호를 위해 이들의 생산과 사용을 규제하는 국제협약인 '오존층 파괴물질에 관한 몬트리올 의정서'가 체결되어 대체 세정제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정 시스템을 변화시키지 않고 세정력이 우수하면서 환경 친화적이며 인체 유해도가 낮으며 부식성 물질을 발생 시키지 않는 비수계 세정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글리콜 에테르계의 용매와 파라핀계 탄화수소 물질을 일정 비율로 혼합, 배합하면서 실록산을 첨가하여 비수계 세정제를 배합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들 세정제의 물성과 세정성을 평가하여 대체 세정제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배합세정제의 물성측정 결과 밀도와 표면장력이 낮아 오염물에 대한 침투력이 우수할 것으로 예상되었고 인화점과 증기압 측정값으로 세정제의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플럭스, 솔더 및 그리스에 대한 세정성능 측정결과 높은 세정성능을 보여주었고 피세정물의 표면에 잔류물이 생성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규제물질과 동등한 세정능력을 지니며 침투력이 우수하고 인체 유해도가 낮은 세정제를 개발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