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y minerals

검색결과 520건 처리시간 0.031초

다이야스포아-듀모오티어라이트 광물의 열수생성 과정 (Hydrothermal System of Diaspore-Dumortierite Minerals from Korea)

  • 상기남;정원우;이윤종
    • 자원환경지질
    • /
    • 제29권4호
    • /
    • pp.439-446
    • /
    • 1996
  • Clay minerals are locally abundant in two hydrothermal areas at Tongnae-Yangsan and Miryang, Gyong-sang-namdo, Korea. This study is done to access the clay forming processes, particularly hydrothermal alteration. Pyrophyllite-kaolin in the Zone is accompanied by sericite, diaspore mixed-layer mica/smectite, alunite, dumortierite and silica minerals. Small nodular diaspore and disseminated fine radiac dumortierite are present in the pyrophyllite-kaoline deposits, the northemly trending belt of rhyolite flows and pyroclastic rock near the intruded by granite rock of Bulkusa Series. Hydrothermal action has formed many clay deposits with a zone containing over 80~90% pyrophyllite, kaolinite, muscovite with a little amount of dumortierite, boehmite, andalusite. Most of the clay deposits occur as irregular, lenticular, massive and assosiated dumortierite was found to coexist with clay deposits. Dumortierite data are as follows: lattice constant a=11.783, b=20.209, c=4,7001, axial ratio a:b:c=0.5835 : 1 : 0.2327, XRD $d{\AA}$ 2.549, 5.89, 5.09.

  • PDF

천연산 점토광물을 이용한 폐-유기 염료 제거 (The Removal of Organic Dye Waste using Natural Clay Minerals)

  • 박중철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21-327
    • /
    • 2006
  • M78과 일본산 KJ, 2개의 점토를 사용하여 계면활성제 CTMA(M-1, KJ-1), DSDMA(M-2, KJ-2) 그리고 TMSA(M-3, KJ-3)를 이용하여 변성된 점토광물을 합성하였다. 이러한 변성된 점토광물을 사용하여 염색 폐수의 주원인인 염료 중의 하나이며 대구 염색 공단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염료인 acid blue 92와 acid red 1의 흡착 제거 실험을 통해 M-1, M-3, KJ-1 KJ-3의 경우 아주 좋은 흡착능력을 보인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점토 M과 KJ의 거의 0%에 가까운 흡착능력과 아주 좋은 비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M-1과 KJ-3의 경우에는 이러한 염료 제거율이 거의 100%에 근접해 이러한 변성 점토가 실제 염색공단에서 배출되는 유해성 잔류 유기 염료 성분의 제거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을 보였다고 할 수 있겠다.

ROLE OF SOILS IN THE DISPOSAL OF NUCLEAR WASTE

  • Lee, S.Y.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51-268
    • /
    • 1986
  • Selecting a site for the safe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 requires the evaluation of a wide range of geologic, mineralogic, hydrologic,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lthough highly diverse, these properties are in fact interrelated. Site requirements are also diverse because they are influenced by the nature of the radionuclides in the waste, for example, their half-lives, specific energy, and chemistry. A fundamental consideration in site selection is the mineralogy of the host rock, and one of the most ubiquitous mineral groups is clay minerals. Clays and clay minerals as in situ lithologic components and engineered barriers may playa significant role in retarding the migration of radionuclides. Their high sorptivity, longevity (stability), low permeability, and other physical factors should make them a very effective retainer of most radionuclides in nuclear wastes. There are, however, some unanswered questions. For example, how will their longev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be influenced by such factors as radionuclide concentration, radiation intensity, elevated temperatures, changes in redox condition, pH, and formation fluids for extended periods of time? Understanding of mechanisms affecting clay mineral-radionuclide interactions under prevailing geochemical conditions is important; however, the utilization of experimental geochemical information related to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lays and clay-bearing materials with geohydrologic models presents a uniquely challenging problem in that many assessments have to be based on model predictions rather than on experiments. These are high-priority research investigations that need to be addressed before complete reliance for disposal area performance is made on clays and clay minerals.

  • PDF

전남 나주시 장동리 지역에 노출된 적갈색 점토-실트 퇴적물의 광물 및 지화학적 특성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Properties of Clay-silt sediments Exposed in Jangdongri, Naju, Korea)

  • 곽태훈;정기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19
    • /
    • 2017
  • 전남 나주시 장동리 지역의 화강암 풍화대를 피복하는 적갈색 점토-실트 퇴적물 단면(~2 m)에 대하여 광물학적 및 지화학적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퇴적물은 주로 석영(50%)과 점토광물(45%)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량의 K-장석, 침철석, 적철석, 깁사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점토광물은 일라이트(일라이트, 일라이트-스멕타이트 혼합층), 질석(질석, 수산화-Al 질석), 고령석(캐올리나이트, 할로이사이트) 계열의 점토광물로 구성되어 있다. 광물 및 화학조성의 수직 함량변화는 미미하며, 사장석과 녹니석이 전반적으로 결핍되어 있으나 최상부에 소량 함유되어 있다. 점토광물의 주성분이 일라이트 계열이므로 퇴적물의 기원물질은 주변 고령토질 화강암 풍화물이 아니라, 먼 기원지에서 유래한 풍성퇴적물로 판단된다. 현생 황사의 광물조성과 비교하면, 퇴적 후의 심한 화학적 풍화작용으로 사장석과 K-장석이 거의 없어지고, 석영과 점토광물로 구성된 광물학적 특성을 갖게 되었다. 풍화과정에서 사장석과 녹니석은 각각 고령토 광물과 질석으로 변질되었으며, 함철 유색광물의 풍화과정에서 침철석과 적철석이 침전되어 퇴적물이 적갈색을 띠게 되었다. 이 지역의 적갈색 점토-실트는 한반도 타지역 풍성퇴적물과 광물학적 및 지화학적 특성을 공유하므로 풍성퇴적물로 추정되지만, 이에 대해서는 퇴적물 연대측정이나 동위원소 분석 등의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

열수변질 점토맥과 산사태

  • 조환주;정경문;조호영
    • 광물과산업
    • /
    • 제29권
    • /
    • pp.56-66
    • /
    • 2016
  • 열수변질대가 폭넓게 분포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자연사면이나 인공사면에서 열수변질대 내에 산출되는 점토맥이 산사태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점토맥이 존재하는 지반에 지표수가 침투되면 점토광물의 팽윤성 때문에 국지적으로 간극수압이 급격히 상승할 수 있다. 간극수압의 상승으로 세립의 점토광물이 침식될 수 있다. 침식된 점토광물은 수두가 큰 곳에서 작은 곳으로 유동하면서 동수경사가 작은 부분에서 유속이 느려져 퇴적된다. 점토광물이 퇴적된 곳에서 국지적인 간극수압의 증가로 인한 지하수의 유출이 사면파괴를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열수변질 점토맥과 산사태와 관련한 국내외 자료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회남지역(懷南地域) 옥천누층군(沃川累層群)의 변성이질암내(變成泥質岩內)에 분포(分布)하는 바나듐을 함유(含有)한 탄층(炭層)의 지구화학적(地球化學的) 특징(特徵) (Geochemistry of Vanadium-bearing Coal Formation in Metapelite of the Ogcheon Supergroup from the Hoenam Area, Korea)

  • 이찬희;이현구;신미애
    • 자원환경지질
    • /
    • 제29권4호
    • /
    • pp.471-481
    • /
    • 1996
  • Clay mineral geothermometry using sericites and chlorites in Bobae sericite mine reveals that these clay minerals formed at relatively high temperature. It appears that sericites formed at around $200{\sim}350^{\circ}C$ and chlorites formed at around $250^{\circ}C$. X-ray diffraction study of these minerals reveals that sericite $2M_1$ type and chlorite IIb type are dominant phases. Both polytypes indicate that the precipitation temperatures of these minerals shows fairly good agreement with the estimated temperature by clay mineral geothermometry. The Bobae sericite mine was formed at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 than several non-metal ore deposits occurre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 PDF

고양시 고봉산에 발달한 소규모 습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mall Gobong Wetlands in Goyang City)

  • 문현숙
    • 동굴
    • /
    • 제67호
    • /
    • pp.43-51
    • /
    • 2005
  • 본 연구는 수문지형학적 관점에서 고봉동습지를 연구하였다. 고봉산의 남서쪽에 위치한 습지는 산지의 개석과 심층풍화의 영향을 많이 받은 곳이다. 지질적으로는 호상편마암에 속하는 지역이다. 3개 사면으로 부터 지하수 및 지표수를 공급받으며, 습지수원의 대부분은 지하수이다. 습지 지역은 지하수면과 가까이 발달하고 있다. 토양적 조건은 습지 발달에 유리하다. 장석과 운모의 점토광물화로 인하여 습지수의 저류성을 높여주기 때문이다.

2:1 삼팔면체 점토광물의 기하학적 구조모델 (A Geometrical Structural Model of 2:1 Trioctahedral Clay Minerals)

  • 유재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90-98
    • /
    • 1991
  • This study introduces a new structural model of 1M 2:1 trioctahedral clay minerals or, more generally, 2:1 trioctahedral phyllosilicates. The structural model requires only the chemical formulae of the clay minerals as an input and uses the regression relation (Radoslovich, 1962) to calculate the a- and b-dimensions of the phyllosilicates with the given chemical formulae. The atomic coordinates of the constituent atoms are geometrically calculated for C2/m space group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interatomic distances are constant. To determine the c-dimension, this study calculates the binding energies of 1M 2:1 trioctahedral phyllosilicates as a function of d(001) and find the minimum energy producing d(001). The structural model generates the cell dimensions, interaxial angles, interatomic distances, octahedral, tetrahedral and interlayer thickness, polyhedron deformation angles and atomic coordinates in the unit cell. The simulated structural parameters of phlogopite and annite are very close to the reported data by Hazen and Burnham (1973), suggesting that the structure simulation using only the chemical formule is successful, and thus, that the structural model of this study overcomes the difficulties in the previous models by other investigators.

  • PDF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세슘 흡착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Cesium Adsorption onto Soil)

  • 박상민;이제신;김영훈;이정선;백기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2권1호
    • /
    • pp.27-32
    • /
    • 2017
  • Cesium (Cs) generated by nuclear accidents is one of the most hazardous radionuclides because of its gamma radiation and long half-life. Especially, when Cs is exposed on the soil environments, Cs is mainly adsorbed on the topsoil and is strongly combined with tiny soil particle including clay minerals. The adsorption of Cs onto soil can vary depending on variou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this study,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between soil and C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variou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cluding organic matter contents,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soil particle size, and the types of clay minerals. Soil organic matter inhibited the adsorption of Cs onto the soil because organic matter was blocking the soil surface. In addition, it was estimated that the CEC of the soil influenced the adsorption of Cs onto the soil. Moreover, more Cs was adsorbed as the soil particles size decreased. It was estimated that Cs was mostly adsorbed onto the topsoil, this is related to the clay mineral. Therefore, soil organic matter, CEC, soil particle size, and clay minerals are considered the key factors that can influence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between soil and Cs.

회색혈암(灰色頁岩)에서 유래(由來)된 토양점토(土壤粘土) 광물(鑛物)의 특성(特性) (Clay Mineralogy of the Soils Derived from Gray Shale)

  • 엄명호;정필균;엄기태;임형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
    • /
    • 1993
  • 경북(慶北) 일부(一部) 지역(地域)에 분포(分布)되어 있는 회색혈암(灰色頁岩)의 잔적층모재(殘積層母材), 붕적층모재(崩積層母材) 및 충적층모재에서 유래(由來)되고 지형적(地形的)으로 연쇄성(連鎖性)이 있는 토양(土壤)(대구통(大邱統), 시예통(詩禮統), 반호통(盤湖統), 비곡통(秘谷統))을 대상(對象)으로 토양점토광물(土壤粘土鑛物)에 대한 광물학적(鑛物學的) 특성(特性)과 생성과정(生成過程)을 구명(究明)하기 위해 모래, 미사(微砂), 점토(粘土)의 화학조성(化學組成), 광물(鑛物)의 분리동정(分離同定) 및 특성변화(特性變化)를 조사(調査)함과 아울러 수산화간층광물(水酸化間層鑛物)(Hydroxy-interlayered Mineral)의 해명(解明)과 특(特)히 점토광물(粘土鑛物)의 정량(定量)을 시도(試圖)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점토광물(粘土鑛物)의 분포(分布)는 표고별(標高別) 모재(母材)의 형태(形態)에 따라 상이(相異)하였으며 주요(主要) 광물(鑛物)은 illite, Vermiculite, Kaolin 광물(鑛物), 그리고 수산화간층광물(水酸化間層鑛物)이며, 부광물(副鑛物)로 혼재(混在)하는 광물(鑛物)은 illite와 Chlorite 또는 Vermiculite의 혼층광물(混層鑛物)과 chlorite였음. 2. 잔적층모재토양(殘積層母材土壤)의 점토광물(粘土鑛物) 분포(分布)에서 시예통(詩禮統)은 Kaolin광물(鑛物) 조성(組成)이 높은 반면 상부(上部)에 위치(位置)하고 토양발달(土壤發達)이 상대적(相對的)으로 낮은 대구통(大邱統)에서는 illite, Vermiculite 및 수산화간층광물(水酸化間層鑛物)의 2:1형(型) 점토광물(粘土鑛物) 분포(分布)가 높았음. 3. 붕적층(崩積層)과 충적층모재 토양(土壤)에서는 illite와 혼층광물(混層鑛物)의 조성(組成)이 높았으며 수산화간층광물(水酸化間層鑛物)의 조성(組成)은 잔적층모재(殘積層母材) 토양(土壤)에 비해 낮았다. 4. 토양점토광물(土壤粘土鑛物)의 생성과정(生成課程)은 대구통(大邱統) ; illite ${\rightarrow}$ vermlculite ${\rightarrow}$ 수산화간층광물(水酸化間層鑛物), 시예통(詩禮統); Vermiculite ${\rightarrow}$ Kaolin 광물(鑛物), 반호통(盤湖統)과 비곡통(秘谷統) ; illite ${\rightarrow}$ illite/Vermiculite 또는 chlorite 혼층광물(混層鑛物) ${\rightarrow}$ Vermiculite의 풍화단계(風化段階)가 우세(優勢)하게 진행(進行)되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5. 점토광물(粘土鑛物)의 정량분석(定量分析) 결과(結果), vermiculite함량(含量)은 반호통(盤湖統)과 비곡통(秘谷統)(12%), Kaolin광물(鑛物)은 시예통(詩禮統)(18%), 그리고 수산화간층광물(水酸化間層鑛物)은 대구통(大邱統)(22%)에서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