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vulanic acid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4초

Distribution of Pathogenic Genes and Molecular Typing of Yersinia pseudotuberculosis isolated from Spring Water in Seoul

  • Kim, Mi-Sun;Shim, Mi-Ja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61.2-161.2
    • /
    • 2003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athogenic genes and genetic relationships of Y. pseudotuberculosis, we isolated 9 strains of Y. pseudotuberculosis from about 380 spring water sites in Seoul and carried out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biological test and molecular typing. All isolated strains we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northeast area in Seoul (Mt. Bookhan, Mt. Soorak, Mt. Boolam and etc...).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revealed that all the strains were susceptible to chloramphenicol, gentamicin, neomycin and amoxicillin/clavulanic acid, but were resistant to novobiocin and vancomycin. (omitted)

  • PDF

서울시내 유통식품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항생제 내성 및 내성유전자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Implicated Genes of E. coli Isolated from Commercial and Cooked Foods in Seoul)

  • 유영아;김무상;김경식;박선희;정성국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20-225
    • /
    • 2010
  • 서울시내에서 유통되는 식품과 식품접객업소(집단급식소 포함)의 조리식품을 대상으로 식중독 원인균 분석 및 위생미생물 검사를 실시한 결과, 분리된 대장균의 항생제 감수성 시험을 통하여 이들의 내성 정도를 파악하고, 내성유전자와 병원성유전자의 분포도 알아보았다. 모두 1313건의 샘플 중 50건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어 3.8%의 검출률을 보였다. 이중 육회 1건에서 장출혈성대장균 O26 1건, 김밥에서 장병원성대장균 1건이 각각 검출되었다. 50건의 대장균중 50%가 16종의 항생제에 모두 감수성을 보였으며 내성이 높게 나타난 항생제는 ampicillin(36%), amoxicillin/clavulanic acid(32%) 그리고 tetracycline(22%)의 순이었다. 이들의 내성유전자 분포는 TEM이 1건, tetB 4건이 각각 검출되었다.

Evaluation of Microbial Load in Oropharyngeal Mucosa from Tannery Workers

  • Castellanos-Arevalo, Diana C.;Castellanos-Arevalo, Andrea P.;Camarena-Pozos, David A.;Colli-Mull, Juan G.;Maldonado-Vega, Mari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6권1호
    • /
    • pp.62-70
    • /
    • 2015
  • Background: Animal skin provides an ideal medium for the propagation of microorganisms and it is used like raw material in the tannery and footware industr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identify the microbial load in oropharyngeal mucosa of tannery employees. Methods: The health risk was estimat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found in the oropharyngeal mucosa samples.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tanners group and a control group. Samples were taken from oropharyngeal mucosa and inoculated on plates with selective medium. In the samples, bacteria were identified by 16S ribosomal DNA analysis and the yeasts through a presumptive method. In addition, the sensitivity of these microorganisms to antibiotics/antifungals was evaluated. Results: The identified bacteria belonged to the families Enterobacteriaceae, Pseudomonadaceae, Neisseriaceae, Alcaligenaceae, Moraxellaceae, and Xanthomonadaceae, of which some species are considered as pathogenic or opportunistic microorganisms; these bacteria were not present in the control group. Forty-two percent of bacteria identified in the tanners group are correlated with respiratory diseases. Yeasts were also identified, including the following species: Candida glabrata, Candida tropicalis, Candida albicans, and Candida krusei. Regarding the sensitivity test of bacteria identified in the tanners group, 90% showed sensitivity to piperacillin/tazobactam, 87% showed sensitivity to ticarcillin/clavulanic acid, 74% showed sensitivity to ampicillin/sulbactam, and 58% showed sensitivity to amoxicillin/clavulanic acid. Conclusion: Several of the bacteria and yeast identified in the oropharyngeal mucosa of tanners have been correlated with infections in humans and have already been reported as airborne microorganisms in this working environment, representing a health risk for workers.

Antibiotic Resistance Profiles of 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 Isolates from Canine Patients in Korea

  • Yoon, Jang-Won;Lee, Ki-Jong;Lee, So-Young;Chae, Min-Joo;Park, Jae-Keun;Yoo, Jong-Hyun;Park, Hee-M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12호
    • /
    • pp.1764-1768
    • /
    • 2010
  • In this study, the prevalence of antibiotic resistance was examined among 74 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 strains recently isolated from clinical cases of canine pyoderma and otitis externa at the veterinary teaching hospital at Konkuk University, Korea. Bacterial resistance to the nine commonly used antibiotics was evaluated by a standard disk diffusion technique based on the guidelines of the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most S. pseudintermedius isolates were resistant to penicillin (95.9%) or tetracycline (91.9%), but highly susceptible to amoxicillin/clavulanic acid (90.5%). Among the 74 isolates, 13 mecA-positive and methicillin-resistant S. pseudintermedius (MRSP) strains were identified, displaying a high level of resistance (84.6-100%) to each of the individual antibiotics evaluated, with the exception of amoxicillin/clavulanic acid (46.2% resistance). Notably, all of the MRSP isolates exhibited simultaneous resistance to four or more different antibiotics, indicating that they are multiple drug resistant (MDR) strain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mply that more careful selection or prescription of antibiotics for canine pyoderma and otitis externa should be required for reducing the emergence and/or spread of MDR strains, especially MDR-MRSP isolates, in veterinary pet clinics in Korea.

요크셔테리어종 개에 발생한 Proteus mirabilis와 Staphylococcus pseudointermedius혼합 감염에 의한 재발성표재성농피증 증례 (Recurrent Superficial Pyoderma Caused by Mixed Infection of Proteus mirabilis and Staphylococcus pseudointermedius in a Yorkshire Terrier Dog)

  • 정효훈;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38-541
    • /
    • 2011
  • 8세의 중성화 수술을 한 요크셔테리어종견이 재발성표재성농피증을 호소하여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동물병원에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전신에 다수의 농포와 구진이 관찰되었다. 농포의 압착도말염색 표본에서 다수의 간 균과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구균이 함께 관찰되어, 각각 세균을 분리 동정한 결과 Proteus mirabilis와 Staphylococcus pseudointermedius으로 확인되었다. 4%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샴푸 약욕과 항생제감수성시험 결과에 의한 전신 enrofloxacin과 amoxicillin-clavulanic acid 치료를 병행한 결과 2주 후에는 임상증상이 현저히 개선되었고, 6주 후에는 임상증상이 완전히 사라졌다. 본 증례는 개에서 일반적인 항생제 치료에 응답하지 않는 재발성농피증의 경우 그람음성 간균의 혼합감염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최근 5년간 서울시내 식중독 환자에서 분리한 Salmonella enterica serovar Enteritidis의 항생제 감수성 및 다제 내성 특성 (Trend of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and Multiple drug Resistance Patterns of Salmonella entericia Serovar Enteritidis Isolated from Foodborne Patients in Seoul between 2001 and 2005)

  • 박석기;김무상;이영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3-30
    • /
    • 2006
  •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서울 시내 식중독 환자에서 분리한 150주의 Sal. Enteritidis의 항생제 감수성 및 다재내성 양상을 조사한 결과 총 364주의 살모넬라속균 중 41.2%를 차지하였다. 가장 내성율이 높은 항생제는 streptomycin(46.7%), ampicillin(37.3%), ticarcillin(36.7%), tetracycline(36.0%), nalidixic acid(20.7%), chloramphenicol (13.3%), amoxicillin/clavulanic acid(6.7%) 및 ampicillin/sulbactam(4.0%). 분리균의 74.7%는 1제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이 있다. 실험한 S. Enteritidis에 대한 nalidixic acid와 chloramphenicol에 대한 내성은 증가하였으나 tetracycline에 대한 내성율은 감소되었다. 가장 많이 검출된 내성 양상은 NA 단일 내성과 Streptomycin-tetrcyline 내성이 18.0%로 가장 높았으며, streptomycin-ampicillin-ticarcillin(10.0%) 및 ampicillin-ticarcillin(5.5%)순이었다. 전체적으로 1제 내성이 19.3%, 2제 내성 24.7%, 3제 내성 6.7%, 4제 내성 15.0% 그리고 5제 이상 내성은 6.0%이었다. 특히 2005년에는 1제 내성과 2제 내성이 증가하였다.

발현ㆍ분비 벡터 및 임상 균주가 생성하는 신규 AmpC-type $\beta$-lactam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Noble AmpC-Type $\beta$-Lactamases Among Clinical Isolates Using New Expression/Secretion Vector)

  • 정하일;성광훈;이정훈;장선주;이상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04-110
    • /
    • 2004
  • 임상균주인 Enterobacter spp.가 생성하는 신규 chromosomal AmpC $\beta$-lactamases의 유전자형 및 진화적 측면을 고찰하기 위해서 항생제 감수성 시험, pI값 측정, DNA 염기서열 분석, 진화적 유연관계를 새로운 발현$.$분비 벡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6개 임상균주에서 cephamycins (cefoxitin and cefotetan), amoxicillin, cephalothin 및 amoxicillin-clavulanic acid에 내성 요인인 AmpC $\beta$-lactamase 유전자를 pMSG1219에 cloning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381-amino-acid $\beta$-lactamase를 암호화 하는 4개의 ampC 유전자($bla_EcloK992004.1$, $bla_EcloK995120.1$, $bla_EcloK99230$$bla_EareK9911729$)는 E. cloacae MHN1의 chromosomal ampC 유전자($bla_EcloMHN1$)와 99.6% 이상의 상동성을 나타냈으며 두 ampC 유전자($bla_Eclok9973$ and $bla_EcloK9914325$)는 E. cloacae 908R의 chromosomal ampC 유전자($bla_EcloQ9908R$)와 99.7% 상동성을 나타냈다. 이런 결과는 6개 ampC 유전자가 $bla_EcloMHN1$ or $bla_EcloQ9908R$로부터 유래되었음을 시산한다. 발현ㆍ분비 벡터를 이용하여 제조한 6개 transformant의 MIC값 양상 및 정확한 pI값은 E. coli 균주에 외부 유전자의 특성을 고찰하는 목적에 개발된 발현$.$분비 백터(pMSG1219)가 유용함을 의미한다.

가축 소화기 병원성 세균을 저해하는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hibiting Gastro-intestinal Pathogenic Bacteria of Domestic Animal.)

  • 이재연;황교열;김현수;김근;성수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9-134
    • /
    • 2002
  • 토종닭 소장으로부터 가축 소화기 병원성 유해세균의 분리를 위하여 무작위 선별법과 중층-도말법을 사용하여 총130주의 유산균을 1차 분리하였다. 1차 분리한 130주를 paper disc법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살모넬라 균, 포도상구균, 대장균에 대하여 저해능이 우수한 7주를 분리하였다. 분리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1차로 API CHL kit를 사용하였고, 동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2차로 16S rRNA sequenc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BD14 균주는 Pediococcus pentosaceus로 동정되었으며 나머지 6주는 Lactobacillus sp.로 동정되어 모두 안전성 있는 유산균임을 확인하였다. 여러 병원균에 가장 항균력이 큰 유산균은 L. pentosus K34이었으며, 이 유산균은 염산과 담즙산에 대한 내성에서도 가장 우수한 균주로 나타났다. 10종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ciprofloxacin에 대하여 모든 균주가 내성을 보였고, BL 균주를 제외하고 모든 균주가 colistin, streptomycin에 대하여 내성을 보였다. 또한 BD14, BD16, K34 균주가 gentamicin에 대한 내성을 보였다.

Hafnia alvei에 의한 균혈증 1예 (A Case of Bacteremia by Hafnia alvei)

  • 홍승복;신경섭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84-87
    • /
    • 2005
  • Hafnia alvei is a gram-negative facultatively anaerobic bacillus that is rarely isolated from human specimens and is rarely considered to be pathogenic. It has been associated with gastroenteritis, pneumonia, meningitis, bacteremia, and nosocomial wound infections. But, only one case of extraintestinal H. alvei infection was documented in Korea to our knowledge. A 74-years old women with bronchial tuberculosis and cerebral infarct was admitted to out hospital via the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due to the use of anti-tuberculotic agents. The two consecutive blood cultures yielded H. alvei. The organism was susceptible to all antimicrobial agents tested, except ampicillin and amoxacillin-clavulanic acid. The patients was treated with ceftriaxone and recovered eff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