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room Culture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초

국민임대아파트단지의 거주실태 및 커뮤니티의식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Residential Conditions and the Community Consciousness of the National Rental Housing)

  • 이원영;강순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9-30
    • /
    • 2008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be useful for living environment of National Rental Housing,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residential conditions, community consciousness of residents, characteristics of 3 complexes, whose residents have lived more than 3 years, different in area and size. Deungchon 11 Complex in Seoul, Eui-wang Naeson Complex, and Incheon Samsan 4 Complex are chosen for the investigation and the survey and 242 copies of the questionnaire are analyzed for the final result.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those deriving conclusions and suggestions. 1) Housing and construction standards are required to reconsider for enhancing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d housing satisfaction of residents of National Rental Housing. 2) Spending on residential move, and minimize the unnecessary expense of low-income housing need to do to promote stability. 3) Facilities and equipments for residents are needed considering barrier-free design which introduces universal design. 4) Welfare facilities such as culture space and after-school classroom for teenagers are needed. 5) By using the broadcast media actively pro-mote, various layers are encouraged moving into National Rental Housing, through the concept of housing opportunities for change. 6) In short-term, community space are need remodeling and various activity programs are developed to induce activation of community facilities. In long-term, users considering a community facility plan, actively promoting activities, methods and operating system support for the government in the continuing policy and management is needed, when the National Rental Housing are planned to build. Therefore, the organic aspects such as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community program as well as the physical aspects such as the community space and facilities for the active community of the National Rental Housing are constantly considered in the follow-up studies.

공간정보기술의 활용과 교실수업의 변화 -여섯 교사의 사례- (Teaching with Geospatial Technologies and Changes in the Classroom: A Case Study of Six Teachers)

  • 이종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955-974
    • /
    • 2012
  • 본 연구는 공간정보기술(예, GPS, 구글어스 등)을 활용한 수업자료를 자신들의 수업에 적용한 6명의 교사를 연구하였다. 활용된 수업자료는 공간정보기술에 대해 배우기보다는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해 과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으며,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촉진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을 강조한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중심의 교수 학습방법에 익숙한 교사일수록 수업자료를 채택하고 능숙하게 활용하였다. 반면, 교사 주도의 수업에 익숙한 교사들의 경우 종종 학생활동을 교사활동으로 변경하거나 학생들이 고민해야 할 부분들을 교사가 미리 알려주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둘째, 전반적으로 학생들은 수업자료에 흥미와 관심을 보였으며, 특히 학업성취 수준이 낮고 평소에 무기력한 모습을 보였던 학생들에게서 뚜렷한 행동 및 태도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셋째, 혁신에 대한 학교의 문화, 관리자의 특성, 교사들이 수업자료를 체험하는 방식, 수업지원 특성 등이 수업자료의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파악되었다.

  • PDF

초등 수학교과서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발문 (A Study on the Questioning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 박만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3권1호
    • /
    • pp.25-35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의 발문을 분석하고 초등 수학에서 창의성의 의미와 창의성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발문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창의성의 정의를 고찰하고 2007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한국의 3학년 1학기 수학교과서에서의 발문 분석을 통하여 창의성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발문의 성격을 고찰해 보았다. 초등학생들의 수학 수업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해서는 제시하는 과제의 성격뿐만 아니라 실제 수업에서 교사의 학생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발문이 필수적임을 제안하였다.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의 원리와 방법 탐색: 비판적 인종 이론을 중심으로 (Reconstructing Mathematics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from a Critical Race Perspective)

  • 김리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89-30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인종 이론의 관점에서 학교 수학 교육에서 인종 문제를 다룬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두 부분으로 구성 된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국내외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의 의미와 이를 주제로 한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의 의의와 방향을 도출한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비판적 인종 이론을 토대로 사회 정의를 위한 국내 수학 관련 연구를 검토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인종 이론의 기본 원리인 인종적 영속성 또는 인종 사실주의, 자유주의 비판, 교차성의 관점에서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인종 문제와 관련한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에서는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찾고 이를 수학 수업에서 논의하는 과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수학 교실 안에서 학생 스스로 차별의 요소를 자각하고 이를 해결하는 접근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그동안 수학 교육 연구에서 인종 문제가 다른 차별 요소와 필연적으로 연결되어있다는 관점은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은 부분으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시사점은 향후 인종 문제와 관련한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데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 of Mathematical Modeling in Elementary Class)

  • 최지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2호
    • /
    • pp.313-32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질적으로 분석하는 것으로, 40명의 현직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참여 교사들은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이론을 습득하고, 실제 교실수업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교수 학습 과정 안을 개발하고 적용하며 그 결과를 분석한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이 보고서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초등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수학적 모델링의 특징으로 '비구조화된 상황'과 '다양한 문제해결'을 도출할 수 있었으나 수학적 모델링 관점은 다소 차이가 있어 네 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었다.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 대한 어려움은 크게 과제, 학생의 인지적 활동, 교사의 중재, 모든 학생의 참여, 교실 문화 범주로 구체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기록보존소 발행 교육용 사료집에 관한 고찰 - 호주와 미국, 영국 국립기록보존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aching Kits Provided by the National Archives in the Australia, the USA, and the UK)

  • 김상호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7-100
    • /
    • 2004
  • 본 연구는 국립기록보존소가 발행하는 교육용 사료집의 규모와 형식, 주제를 중심으로 그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교육용 사료집은 학교 교육을 지원하는 수단이며, 기록보존소를 홍보하는 매체로 단행본이나 소책자와 같은 인쇄자료 및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자료의 형태로 염가 또는 무료로 제공된다. 학생들의 관심과 이해를 위해 교육용 사료집은 문서복제본을 중심으로 관련 지식과 정보를 효과적으로 편집해야 한다. 사료집의 주제는 국가별로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인 국가의 역사, 제도뿐만 아니라, 시민의 권리, 이민, 전쟁, 사건, 문화, 문서 자체에 관한 것들로 다양하다. 관련 교과과정에서 흥미로운 테마와 관련 사료를 발굴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기록원이 주체가 되어 전국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용 사료집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Morjorie M. Brown의 가정과 교과과정 모형에 근거한 ‘인간발달과 가족관계’ 영역의 학습지도안 개발 (Lesson Plan Development Based on Marjorie M. Brown’s Home Economics Curriculum Paradiam in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

  • 장혜경;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9-131
    • /
    • 1994
  • This study developed and proposed a lesson plan for the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in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current educational practice in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employed goal and the nature of home economics are neither stated specifically nor closely interrelated. This problem has led us not being able to achieve pursuing go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o employ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In view of this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lesson plan reflecting th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to overcome difficulties and inefficiency in the current practice of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lesson plan was based on the Marjorie M. Brown’s philosophy of home economics which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goal of home economics is to help individuals and families to become autonomous in their own family life and to be more capable of interacting with others in behalf of well-being of the family and of social evolution toward a free society. 2. The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is conceptualized as practical science and personal service profession. 3. the nature of problems which home economics should deal with is perennial and practial. 4. Practial reasoning composed of historical understanding, critical action, and reflective thinking is appropriate for the previously mentioned goal and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and for dealing with perennial practial problems. The lesson plan was proposed for one of perennial problem, “How should we understand, create, and maintain our family culture\ulcorner”by employing practial reasoning and teaching models such as “role play”and “classroom meeting.”

  • PDF

영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on the Burnout of Infant Care Teachers)

  • 김지민;정지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5호
    • /
    • pp.21-3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ve influ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on the burnout of infant care teachers. Participants were 194 infant care teachers from 52 infant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Psychological burnout was assessed by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Lee, 2011), psychological well-being was measured by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Cho & Cha, 2001) and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the social support questionnaire(Bak, 1985). Date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alysi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burnout in terms of marital status, work experiences, classroom operation type and income. Second, Infant care teachers' burnou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Thir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infant care teachers' burnout was purpose in life,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was self-acceptance, the third most influential factor was emotional support, and the least influential factor was environmental mastery.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 psychological well-being enhancement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emotional support from a social relationship network should be enhanced in order to prevent infant care teachers' burnout.

외국의 교육제도와 교육시설의 특징 - 독일, 싱가포르,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foreign education system and educational facilities - Cases of the Germany, Singapore and the United States -)

  • 김성룡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43-50
    • /
    • 2019
  • Nowadays, the knowledge of modern society through education has become more and more complicated. The education system and the educational philosophy have created various edu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ach country due to the difference of history and culture. In Korea, there are various teaching methods in recent years. However, if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in Korea is based on educating teachers with a good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taught, some foreign countries such as USA and Germany can express their thoughts of the total population.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researches cases of other countries that have different educational systems from ours. It compares the differences of social background, educational program, and educational space in Germany, Singapore and the United Stat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tents can be derived. The educational program is based on the social background of each country and plans an educational space suitable for the education program. In Germany, the emphasis is on the students' experience and community consciousness rather than on the amount of knowledge, so a home base space is planned between the classrooms to solve the problem of lack of solidarity and belonging among the students who are lacking in the curriculum. Some practical courses are run in the community. In Singapore, educational programs are elite-oriented compared to the other country, and because of the typical tropical climate, educational facilities are characterized by a lot of common space in semi-exterior space. Many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have IMC in the central part of their schools that adopt self-directed learning and discussion.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학교에서 맺는 인간관계에 대한 어려움과 그 해결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Human Relation Difficulties of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and the Resolution Strategy in the School)

  • 전선숙
    • 한국교육논총
    • /
    • 제41권1호
    • /
    • pp.25-57
    • /
    • 2020
  • 본 연구는 교사의 생애주기 속에서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특징을 탐구하고 그 특징에 따른 해결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로 인해 초임교사가 교직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교육의 질을 높이고 신규교사 스스로가 초임교사 기간 동안 좋은 교사로 성장할 수 있는 준비기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초임교사가 학교에서 맺는 인간관계에 대한 어려움은 크게 관리자와 동료교사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 학생과의 관계 3가지로 나뉠 수 있다. 학교의 통일문화와 그 문화를 강요하는 관리자와 동료교사는 초임교사를 힘들게 할 수 있으며 또, 초임교사가 첫 학교에서 어떤 동료교사를 만나느냐에 따라 초임교사의 성장에 큰 영향을 준다. 초임교사들은 학급경영경험이 적으며, 학생을 다루는 기술이 부족하여 교실에서 학생들을 통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초임교사 기간 동안 교실 안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속에서 숙련된 교사로서 성장해 나간다. 뿐만아니라 자신을 초보자로 대하는 학부모의 태도에서 초임교사는 어려움을 겪고 자신감을 잃기도 하며 학부모의 태도에 따라서 학생상담이나 지도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 이러한 교육주체들과의 문제 속에서 초임교사들이 주로 해결하는 전략은 모방하기, 경청과 수용, 합리화하기, 포기하기이다. 초임교사의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초임교사 연수 중에 초임교사의 어려움과 해결방안에 대하여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과 시간이 필요하며 학교 내에서 멘토링제도를 활성화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육지원청에서는 초임교사에 관한 질적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사례집을 발간하여 초임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