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E 공진증폭기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주파수 적응형 고효율 Class-E 증폭기 (Frequency Adaptive High Efficiency Class-E Amplifier in RFID System)

  • 권상근;손강호;김영;윤영철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51-357
    • /
    • 2010
  • 이 논문은 RFID와 같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고 효율을 유지하는 적응형 E급 증폭기를 제안하였다. 스위치 모드의 이 증폭기는 출력의 공진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MCU를 사용하였고, 이에 따라서 입력 주파수 변화에 공진기 주파수를 적용하여 고 효율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적응형 E급 증폭기의 동작을 보이기 위해서 중심 주파수 450 MHz. 대역폭은 100 MHz인 증폭기를 제작하여 이 주파수 구간에서는 60% 이상의 효율을 유지하였고, 최대 효율은 74.8%를 얻었다.

고효율 주파수 가변 역 E-급 증폭기 (High Efficiency Frequency Tunable Inverse Class-E Amplifier)

  • 김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76-18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역 E-급 증폭기 출력 회로의 병렬 공진기를 주파수에 대해 가변되도록 회로를 구성하여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높은 전력부가효율과 출력전력을 유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병렬 공진기는 동작 주파수에 따라서 Q 값은 동일하고, 가변 특성을 얻기 위해서 바렉터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인덕터와 캐패시터를 만들었으며, 전류 영점 교차를 위한 인덕턴스 성분은 집중소자로 또, 위상 보상을 위한 캐패시턴스는 분포소자로 구현하였다. 역 E-급 증폭기의 주파수 가변 특성을 통해서 효율과 출력 전력을 확인한 실험 결과는 65-120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증폭기는 최대 75%의 전력부가효율과 25dBm의 출력전력을 얻었다.

생체 이식형 무선에너지 전송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ranscutaneous Energy Transmission System for Implantable Devices)

  • 유동수;이준하;서희돈;이상학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6권3호
    • /
    • pp.155-159
    • /
    • 2005
  • 생체에 이식되는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무선에너지 전송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것은 체내에 이식된 장치에 경피적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경피적으로 결합된 트랜스포머의 권선간의 거리는 인간의 피부 두께를 고려하여 약 10$\~$20 mm이다. 본 연구에서는 Class-E 공진증폭기를 사용하여 높은 효율을 얻고자 하였다. 최대 전류는 각 주파수에서 50 mA 이상의 전류를 얻을 수 있었다. 개발된 시스템은 500 kHz, 1 MHz 및 4 MHz의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정확하게 동작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PDF

400MHz 대역의 주파수 적응형 고효율 Class-E 증폭기 (Frequency Adaptive High Efficiency Class-E Amplifier in 400 MHz Range)

  • 류재현;손강호;김영;윤영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73-675
    • /
    • 2010
  • 본 논문은 400 MHz 대역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고 효율을 유지하는 적응형 E급 증폭기를 제안하였다. 이 증폭기는 입력 주파수 변화에 공진기 주파수가 적응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고 효율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적응형 E급 증폭기의 동작을 보이기 위해서 중심 주파수는 450 MHz 이고, 대역폭은 100 MHz인 증폭기를 제작하여 이 주파수 구간에서는 60% 이상의 효율을 유지하였고, 최대 효율은 74.8%를 얻었다.

  • PDF

E급고효율동조전력증폭기의 동작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Class E High-Efficiency Tuned Power Amplifier)

  • 김정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32-139
    • /
    • 1984
  • 병렬 인덕터와 직렬공진회로를 부하로 갖는 E급 동조전력 증폭기의 duty cycle변화에 따른 콜렉터 전압과 전류, 기본 주파수 성분, 부하회로소자 및 출력전력능력에 관한 방정식을 유도하여 최적동작상태의 특성을 해석하며 실제 콜렉터 포화전압을 고려하여 duty cycle이 50%일 때 증폭효율이 90%이상된다는 것을 이론과 실험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 PDF

고효율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고효율 E급 전력 증폭기 및 공진 코일 설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sign of High Efficient Class-E Power Amplifier and Resonant Coils for High Efficient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 윤충모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935-940
    • /
    • 2016
  • 최근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조명 분야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 스마트폰 무선 충전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이 점차 확대 적용되고 있다.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전송 효율을 판가름 하는 가장 큰 두가지 요소로는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매개체인 송, 수신 코일부와 전력을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부가 해당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효율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6.78MHz에서 동작하는 고효율 전력 증폭기 설계 방안과 공진 코일 제작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의료용 무선 에너지 전달 장치의 개발 (Development of Transcutaneous Energy Transmission System for Medical Instrument)

  • 안재목;이동준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47-456
    • /
    • 1995
  • 완전 이식형 인공심장 개발의 일환으로 무선에너지 전송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피하에 이식된 2차 코일과 피부표면에 놓인 1차 코일 간의 자기 유도의 원리에 의한 전기에너지 전송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식될 소자의 소형화 및 전송효율의 향상을 목표로 하였다. 클래스 E 공진 증폭기를 이용하여 인공심자의 구동에 요구되는 40 Watt 전송시 75% 이상의 전송 효율을 얻었다. 또한 동물 실험을 실시하여, 체내 성능을 검증하였고 체내 이식부의 생체 적합성도 확인하였다.

  • PDF

유도결합방식에 의한 무선 에너지 및 데이터 전송 (Wireless Energy and Data Transmission Using Inductive Coupling)

  • 이준하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9권1호
    • /
    • pp.42-48
    • /
    • 2008
  • 최근 첨단 과학의 발달과 함께 인체조직에 대한 적용도가 뛰어난 소재가 개발되어 초소형의 이식형 장치가 개선되어감에 따라 전력공급방법의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유도코일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장치가 연구되어오고 있다. 이에 저자는 이론적으로 효율이 100%인 E급 전력증폭기를 사용하여 $2{\sim}30mm$의 공극거리에서 가장 이상적인 주파수를 1MHz로 설정하여 제작하였고, 직경 46mm의 송수신 코일을 이용하여 코일의 비정렬에 대한 전송율이 이격거리가 10mm일 때, 20% 감소되었다. PLL을 사용하여 주파수추적동조법으로 공극거리 15 mm 이내에서는 완만하게 20% 정도의 에너지 전송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최적의 공진거리에서 50 mA 정도의 출력전류가 얻을 수 있다는 것은 초소형 전기 자극기와 같은 이식형 장치를 동작시키는데 구동 전력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