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 I malocclusion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31초

제 I 급 부정교합 환자의 발치와 비발치 교정치료 전.후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PRE- AND POST-TREATMENT CEPHALOMETRIC MEASUREMENTS: EXTRACTION VS. NON-EXTRACTION GROUPS OF CLASS I MALOCCLUSION)

  • 유형석;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61-770
    • /
    • 1997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교정과와 영동세브란스 병원 치과 교정과에 내원하여 최근에 교정치료가 끝난 제 I 급 부정교합 환자중 소구치를 발치하고 치료한 발치군과 비발치로 치료한 비발치 치료군 71명을 선정하고 다시 연령에 따라 청소년기와 성인으로 분류하여 교정치료 전후의 두부방사선 계측분석 사진을 통하여 치아와 연조직의 수평$\cdot$수직적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발치군과 비발치군간의 비교에서는 SN-MP angle, E-line에 대한 상순의 이동, 상악 제1대구치의 수직이동량, 하악 제1대구치의 수평이동량 등의 항목을 제외한 모든 치아계측항목과 연조직 계측항목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2. 청소년기의 발치군과 비발치군간의 비교에서는 상하악 전치의 경사도와 수직기준선으로부터의 전치부 수평 변화 항목, 상악 제1대구치의 근심이동, E-line에 대한 상,하순의 위치변화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3. 성인에서의 발치와 비발치군간의 비교에서는 상하악 전치의 경사도와 수직기준선으로부터의 수평적 위치 변화와, 상악 제1대구치의 수직 고경 및 하악 제1대구치의 근심이동, E-line과 수직기준선으로부터의 상,하순의 위치 변화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4. 청소년기와 성인 모두에서 SN-MP angle의 변화는 발치군과 비발치군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 PDF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사용후 측모 변화 및 안정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OFILE CHANGE AND STABILITY OF TREATMENT AFTER WEARING FACE MASK)

  • 박영철;신자영;유형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20
    • /
    • 1997
  •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은 성장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부정교합의 형태로서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그 심각성이 더해가는 데에 문제점이 있다.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의 원인은 크게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하악의 과성장으로 인한 경우, 상악의 열성장으로 인한 경우, 그리고 이 두가지가 복합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그것이다. 상악의 열성장을 동반한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성장의 조기에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장치의 효과 및 측모변화에 대한 연구는 많이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국내외 많은 선학들의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치료 후 측모 변화 및 치료 효과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 이다. 이에 본 저자는 상악골 열성장으로 인한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로 치료받은 환자 중 재진단(follow-up)이 가능한 50명(남:18명, 여:32명)의 환자를 선별하여 성별, 치료개시 나이별, 구강내 장치 종류별로 분류한 뒤, 치료후 나타나는 측모 변화 및 치료의 안정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한국인 정상교합아동 20명(남:10명, 여:10명)과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로 치료받은 환자사이에서 성장량에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사용전과 사용후를 비교한 결과 악안면 골조직과 연조직 및 치아의 계측항목에서 많은 변화량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와 상악골 급속 확장장치(R.P.E.)를 함께 사용한 군에서는 악안면 골조직의 변화량이 크게 나타났으며 순설측 유지장치 (La-Li)를 함께 사용한 군에서는 치아의 변화량이 크게 나타났다. 3.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착용기간동안 치료군에서 나타나는 변화량과 정상군의 성장량을 비교하여 보면 상악골 전방성장량이 치료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4.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제거후 치료군에서 나타나는 성장 변화량과 정상군의 성장량을 비교하여 보면 상악골 전방성장량에 있어서 치료군의 성장량이 정상군의 성장량보다 적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상악골 전방견인장치를 사용하는 중에는 상악골의 전방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전방견인이 끝난 후에는 상악골 성장의 자극효과가 소멸되어 상악골 열성장의 양상으로 되돌아가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 PDF

양산시 청소년의 부정교합 유병률 및 관련 자존감 조사 (The Prevalence of Malocclusion and Related Self-Esteem of Adolescents in Yangsan)

  • 류현정;김형준;정태성;김지연;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96-305
    • /
    • 2013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정교합 요소들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각 요소와 자존감의 연관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양산시 소재 3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1,380명을 대상으로 부정교합 요소별 유병률과 자존감 상태를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ngle 분류에 의한 제1대구치 관계는 I, II 및 III급 교합이 각각 69.0%, 19.4%, 10.6%로 나타났다. 수평피개는 정상 86.9%, 반대교합 5.6%, 큰 수평피개 6.6%, 극심히 큰 수평피개 0.8%로 나타났다. 수직피개는 정상 94.1%, 과개교합 4.7%, 개방교합 1.2%였다. 정중선 불일치는 0~1 mm는 98.2%, 2~4 mm는 1.4%, 5 mm 이상은 0.4%였다. 총생은 상, 하악에 총생이 있는 경우가 각각 9.6%, 14.1%, 양악 모두의 경우가 24.1%였으며, 치간공극은 상, 하악에만 있는 경우가 각각 3.0%, 2.4%, 양악 모두의 경우는 1.7%였다. 부정교합 요소별 자존감의 차이는 여자의 경우, 반대교합과 개방교합 그룹에서 자존감 지수가 낮은 값을 보였다(p < 0.05).

한국인 부정교합자의 측두하악장애(TMD) 유병율과 그 기여요인에 관한 연구 (The Prevalence Study of TMD and the Associated Factors in Korean Malocclusion Patients)

  • 김명희;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23-538
    • /
    • 1997
  • 서울대학교병원 치과 교정과에 내원한 6세 1개월에서 45세 8개월사이(평균 19세 6개월)의 부정교합자 205명(남 67명, 여 138명)을 대상으로 TMD 증상과 기여요인에 관한 설문조사와 Orthopantomogram, 경두개 방사선 사진(transcranial view)의 판독, 교정모형 검사 등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Helkimo Anamnestic index는 Ai 0 $46.8\%$, Ai I $22.0\%$, Ai II $31.2\%$로 TND의 주관적 증상이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p<0.001)를 보였으며 여성에서 높았다(p<0.05). 2. Orthopantomogram상 하악두의 이상소견은 flattening($4.4\%$)이 가장 많았으며 전체적으로 한가지 이상의 이상소견을 보인 경우는 $8.3\%$였다. 3. 목과 어깨의 동통(p<0.001) 이악물기, 입술을 깨무는 습관(이상 p<0.01). 두통(p<0.05)이 있는 경우 Ai가 높았다. 4. Angle II급에서 Orthopantomogram상 하악두 이상소견의 빈도가 높았고, 상악 대구치의 교모가 있을때 Ai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이상 p<0.05). 그외의 교합 요소는 TMD의 증상과 무관하였다. 5. 하악두 길이(Co'-Inc')와 하악지 길이(Co'-Go')가 짧고 하악두의 비율(Co'-Inc'/Co'-Go')이 낮을때, 그리고 좌우 하악지 길이 (Co'-Go'), 하악두 비율(Co'-Inc'/Co'-Go')이 다를때 Orthopantomogram상 하악두 이상소견이 많았다.

  • PDF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dental decompensation for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on the basis of vertical skeletal patterns obtained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 Kim, Yong-Il;Choi, Youn-Kyung;Park, Soo-Byung;Son, Woo-Sung;Kim, Seong-Si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227-234
    • /
    • 2012
  • Objective: To evaluate the presurgical orthodontic tooth movement of mandibular teeth after dental decompensation for skeletal Class III deformities on the basis of vertical skeletal patterns. Methods: This cohort was comprised of 62 patients who received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The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ir vertical skeletal patterns. Changes in the positions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canine, premolar, and 1st molar after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were measured using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superimposition method. Results: The incisors moved forward after dental decompensation in all 3 groups. The canines in group I and the 1st premolars in groups I and III also moved forward. The incisors and canines were extruded in groups I and II. The 1st and 2nd premolars were also extruded in all groups. Vertical changes in the 1st premolars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groups. We also observed lateral movement of the canines in group III and of the 1st premolar, 2nd premolar, and 1st molar in all 3 groups (p < 0.05). Conclusions: Movement of the mandibular incisors and premolars resolved the dental compensation. The skeletal facial pattern did not affect the dental decompensation, except in the case of vertical changes of the 1st premolars.

부정교합자의 수완부 골성숙도에 관한 누년적 연구(I) (A Longitudinal Study on the Skeletal Maturity of the Hand and Wrist among Various Malocclusion Groups(I))

  • 김경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3-195
    • /
    • 1999
  • 성장기 환자의 교정치료에서 신체의 성장 발육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부정교합에 따라 성장 발육시기가 차이를 보인다면 교정치료 시기의 선택에 있어서 이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하므로 부정교합의 양상에 따른 성장 발육상태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정교합 분류에 따라 골성숙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8-10세의 여자 I급 부정교합자 38명, II급 부정교합자 36명, III급 부정교합자 33명을 대상으로 약 6개월 간격으로 12-13세까지 누년적으로 촬영한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골성숙도를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부정교합에 따른 골성숙도의 차이는 없었다. 2. 유구골의 구상돌기 (hamular process)는 $9.16{\pm}0.72$세, 두상골(pisiform bone)은 $9.13{\pm}0.71$세, 모지척측 종자골(ulnar sesamoid)은 $10.34{\pm}0.84$세에 관찰되었다. 3. 골단이 골간을 둘러싸는 시기는 셋째 수지의 원심부 지절과 중간 지절에서 각각 $10.96{\pm}0.80$세, $11.27{\pm}0.87$세였으며, 첫째 수지의 근심부 지절에서는 $11.12{\pm}0.86$세, 요골에서는 $11.21{\pm}0.82$세, 다섯째 수지의 중간 지절에서는 $11.62{\pm}0.85$세였다. 4. 두상골의 출현은 유구골 구상돌기의 출현과(r=0.91), 모지척측 종자골의 출현은 구상돌기의 진행성 화골시기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86), 골단이 골간을 둘러싸는 시기는 여러 부위가 상호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80-0.90). 5. 다섯째 수지의 중간 지절의 형태가 가장 변이가 심하였다($20.6\%$).

  • PDF

Lefort I 술식 후 후기 합병증으로 발생한 상악동 점액낭종 1례 (Maxillary Sinus Mucocele as a Late Complication in a Patient Underwent Lefort I Procedure)

  • 조상현;박병윤;이정권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4호
    • /
    • pp.501-503
    • /
    • 2007
  • Purpose: The authors report unusual one case of a patient presenting with maxillary sinus mucocele who had underwent Lefort I procedure 7 years ago. Methods: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Results: A 25 year old man came to us with fullness, pain and nasal obstruction on his left cheek area. He had a history of multiple operations due to cleft lip and palate since birth. Two jaw surgery was performed for correcting class III malocclusion 7 years ago. Computed tomography showed haziness, and fluid filled cystic mass on left maxillary sinus. Nasoendoscopy revealed the bulging of inferior turbinate and mucosa coincided in medial wall of maxillary sinus. Antrostomy with Caldwell-Luc approach was performed. Mucin contaning brownish exudate was leaked out. Severe inflammation of maxillary inner wall and exposure of 2 screws fixed previously were noticed. The curettage and marsupialization were accomplished. The symptoms of patient were improved after that procedure. Conclusion: Maxillary sinus mucocele is related with Lefort I procedure and it may occur even long after that procedure.

Positional changes of the mandibular condyle in un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combined with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for asymmetric class III malocclusion

  • Park, Jun;Hong, Ki-Eun;Yun, Ji-Eon;Shin, Eun-Sup;Kim, Chul-Hoon;Kim, Bok-Joo;Kim, Jung-H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7권5호
    • /
    • pp.373-381
    • /
    • 2021
  • Objectives: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SSRO) combined with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IVRO) for the treatment of asymmetric mandible in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were assessed and the postoperative stability of the mandibular condyle and the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TMD) evaluated.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82 patients who underwent orthognathic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facial asymmetry or mandibular asymmetry at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Dong-A University Hospital, from 2016 to 2021 were selected. The patients that underwent SSRO with IVRO were assigned to Group I (n=8) and patients that received bilateral SSRO (BSSRO) to Group II (n=10, simple random sampling).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CT) axial images obtained for each group were superimposed. The condylar position changes and degree of rotation on the superimposed images were measured, and the changes in condyle based on the amount of chin movement for each surgical method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Group I showed a greater amount of postoperative chin movement. For the amount of mediolateral condylar displacement on the deviated side, Groups I and II showed an average lateral displacement of 0.07 mm and 1.62 mm, respec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chin movement (P=0.004). Most of the TMD symptoms in Group I patients who underwent SSRO with IVRO showed improvement. Conclusion: When a large amount of mandibular rotation is required to match the menton to the midline of the face, IVRO on the deviated side is considered a technique to prevent condylar torque. In the present study, worsening of TMD symptoms did not occur after orthognathic surgery in any of the 18 patients.

Zygomatic miniplates for skeletal anchorage in orthopedic correction of Class III malocclusion: A controlled clinical trial

  • Bozkaya, Erdal;Yuksel, Alime Sema;Bozkaya, Suleyma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18-129
    • /
    • 2017
  •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ects of facemask therapy, which was anchored from the zygomatic buttresses of the maxilla by using two miniplates,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with maxillary deficiency. Methods: Eightee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10 girls and 8 boys; mean age, $11.4{\pm}1.28$ years) with maxillary deficiency were treated using miniplate-anchored facemasks, and their outcom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 Class III control group (9 girls and 9 boys; mean age, $10.6{\pm}1.12$ years). Two I-shaped miniplates were placed on the right and left zygomatic buttresses of the maxilla, and a facemask was applied with a 400 g force per side. Intragroup comparisons were made using the Wilcoxon test, and intergroup comparisons were made using the Mann-Whitney U-test (p < 0.05). Results: In the treatment group, the maxilla moved 3.3 mm forward, the mandible showed posterior rotation by $1.5^{\circ}$, and the lower incisors were retroclined after treatment. These resul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control group (p < 0.05). No significant anterior rotation of the palatal plane was observed after treatment. Moreover, changes in the sagittal positions of the maxillary incisors and molars were similar between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s: Skeletally anchored facemask therapy is an effective method for correcting Class III malocclusions, which also minimizes the undesired dental side effects of conventional methods in the maxilla.

한국 치위생과 학생의 치열궁 크기 및 형태와 교합 (The Size, Form of Dental Arch and Occlus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in Korea)

  • 황지민;이춘선;한지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90-396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대생의 치열궁의 크기 및 형태와 교합유형을 조사하고 이들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치위생과 여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열궁의 크기 및 형태와 교합을 산술평균 및 빈도를 분석한 결과 상악의 견치 간 폭경은 34.38 mm, 제1대구치 폭경은 52.05 mm였으며, 견치 장경은 8.60 mm, 제1대구치장경은 28.69 mm였다. 하악은 견치 간 폭경이 26.42 mm, 제1대구치 폭경이 44.83 mm였으며, 장경은 견치가 5.54 mm, 제1대구치가 24.38 mm였다. 치열궁의 형태는 상악에서 정상이 29.0%, 협착이 60.5%, 공극이 10.5%였으며, 하악은 정상이 29.0%, 협착이 55.7%, 공극이 15.2%였다. 교합은 정상이 16.7%였으며, I급 부정교합이 55.7%로 가장 많았고, II급은 20.5%, III급은 7.1%였다. 치열궁의 형태와 교합에 따른 치열궁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 하악의 제1대구치 폭경이 치열궁의 형태가 공극인 경우에 45.95로 가장 컸으며, 정상이 44.73, 협착이 44.58을 기록하였다(p=0.032). 치열궁 형태와 교합관계는 상 하악 모두 I, II, III급 부정교합에서 협착이 71.8%, 76.7%, 60.0%와 69.2%, 60.5%, 60.0%로 가장 높았다(p<0.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과거에 비해 여러 원인으로 치열궁의 장 폭경이 줄어들고 있으며, 협착으로 인한 부정교합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정기적인 치과검진과 구강악습관의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