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 Engagement Behavior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시각적 스케줄 활용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Using Visual Schedule on Class Engagement Behaviors of an Elementary Student with ASD)

  • 박철현;최진혁
    • 특수아동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193-215
    • /
    • 2019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각적 스케줄을 활용하는 것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상황간 중다간헐기초선 연구설계 방법을 사용하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가운데 자폐성장애를 갖고, 저조한 수업참여행동을 보이는 학생 1명을 대상으로 수업참여의 세가지 활동 상황(태블릿 PC사용, 화분 심기, 신문 스크랩)에서 학생이 나타내는 4가지 유형의 수업참여행동(활동 준비 행동, 과제 수행 행동, 정리 행동, 활동 종료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 보았다. 연구결과 및 결론: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학생은 3가지의 상황에서 모두 수업참여행동의 정반응률이 증가하여 중재 장면에서 85%이상으로 수업참여행동이 증가함을 보였다. 둘째, 중재 전 기초선·유지 측정 결과 중재 전 평균 약 25.8%의 수업참여행동 정반응률에서 중재 후 약 91.1%로 향상되었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시각적 스케줄 구성 요소 및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행동적 참여 분석을 위한 영상 분석 도구의 개발 (Developing an Instrument for Analysing Students' Behavioral Engagement in School Science Classroom)

  • 최준영;나지연;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47-258
    • /
    • 2015
  • 학생은 대화뿐만 아니라 비언어적인 행동을 통해서도 수업에 참여한다. 특히 과학교실에서는 다른 교과수업과 다르게 과학기구의 사용, 관찰, 측정 등의 비언어적인 행동들이 나타난다. 그런데 학생의 행동적 참여를 분석하는 기존의 도구들은 과학교과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특징적인 활동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과학교과의 학습 활동을 고려한 행동적 참여 영상 분석 도구를 개발하였다. 분석 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첫째, 문헌연구와 초등학교 과학수업 관찰을 바탕으로 수업 중에 나타나는 학생의 행동을 14가지로 범주화하였다(자유발화, 음독, 경청하기, 묵독, 쓰기, 주의 집중하기, 손들기, 이동하기, 비참여적 움직임, 과제 움직임, 관찰하기, 측정하기, 분류하기, 실험도구 다루기). 둘째, 이를 바탕으로 '과학수업 중 행동적 참여 상태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셋째, Microsoft Excel Visual Basic을 이용하여 분석틀에 따라 학생들의 발화 여부, 시선, 몸의 움직임 등을 기록하고 분석할 수 있는 분석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도구를 이용하면 수업 중학생의 각 행동이 수행된 시간과 학생의 네 가지 수업참여 상태(즉, 참여적 발화, 참여적 침묵, 비참여적 발화, 비참여적 침묵)를 파악할 수 있다. 개발된 분석 도구를 실제 과학시간의 초등학생 두 명을 대상으로 예시적으로 적용해 본 결과, 교사는 수업활동(일반, 시범실험, 실험활동)에 따라 발화의 양을 달리하였으며, 분석대상인 두 학생은 전체 수업시간 동안 참여적 침묵 상태에 있는 시간이 가장 길었다(학생 A: 63%, 학생 B: 72%). 참여적 침묵 상태에 있는 두 학생은 '경청하기'를 하는 시간이 가장 길었는데(학생 A: 51%, 학생 B: 42%), 교사의 발화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실험활동 시간에는 오히려 '경청하기'를 거의 하지 않은 대신에 '관찰하기'를 가장 많이 하였다(학생 A: 47%, 학생 B: 53%). 개발된 분석 도구가 비언어적인 행동을 통하여 과학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