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rk Model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8초

레이더 자료의 해상도를 고려한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의 GIS 자료 최적 격자의 결정 (Decision of GIS Optimum Grid on Applying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with Radar Resolution)

  • 김연수;장권희;김병식;김형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01-1205
    • /
    • 2010
  • 최근 몇 년간 기후변화에 의해 기상이변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피해가 심각한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수문기상학적 요소와 특성인자들의 정확한 상호 연관성의 규명과 공간적 변동성 해석은 강우-유출 모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 강우 격자 해상도와 지형인자 격자 해상도에 따라 강우-유출모형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분포 강우-유출 모형인 ModClark 모형을 이용하여 강원도 인제군의 내린천 유역을 대상으로 광덕산 레이더자료를 이용하였다. ModClak 모형 구성을 위한 GIS 지형공간 자료는 30m, 150m, 250m, 350m 격자크기의 DEM을 사용하였으며, 2006년 7월 14일부터 7월 17일까지의 관측레이더 강우자료를 500m, 1km, 2km, 5km, 10km 사용하여 유출모의를 실시하고, 각각의 격자해상도에 따른 모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유출수문곡선을 작성하고 유출량 변화를 모의하였다. 분석 결과 첨두유량 및 유출체적에 대해서는 DEM 30m~150m, Grid 500m~2,000m 크기의 격자일 때 가장 최적의 유출 모의를 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통계적 분석에 의한 분석결과에서는 모든 DEM 격자는 Grid 500m인 경우, 모든 Grid 격자는 DEM 30m인 경우에 모형의 적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민감도 산정 결과 지수 등급이 높은 DEM이 분포형 모형의 결과 값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작업간 비밀성을 보장하는 클래스 기반의 동적 의무분리 모델 (Class-based Dynamic Separtion of Duty Model for Ensuring Secrecy among Tasks)

  • 지희영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79-92
    • /
    • 2000
  • 기업환경에서 정보의 무결성은 중요한 보안 요구사항이다 의무분리 정책의 목적은 정보의 무결성을 필요로 하는 연산들을 여러 역할이나 사용자에게 분산시킴으로써 조직 내에서 관리하는 무결성 침해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이며 이것은 상업적 응용분야에서 중요하다. 전통적인 임의적 접근제어와 강제적 접근제어 정책의 대안인 역할 기반의 접근제어 기법은 응용에 따라 보호 객체들에 대한 접근을 역할들로 분류하여 단순한 권한 관리를 제공하며 의무분리 정책을 시행하기에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역할 기반의 접근제어에서 기존의 의무분리 안전성 조건의 취약성을 보완하여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단위인 클래스에 기반한 개선된 동적 의무분리 기법을 제안하고 상호 배타적인 부트랜잭션들을 포함하고 있는 중첩-트랜잭션을 대상으로 이를 적용한다. 또한 여러 작업들이 동시에 실행되는 환경에서 감염된 트로이언 목마에 의해 발생될수 있는 정보의 유출 문제를 해결하고자 작업간 정보의 비밀성을 보장하는 동적의무분리 모델을 제시한다. 제안한 모델은 기존의 무결성 보장을 위해 제시되었던 Clark-Wilson 모델과 다른 의무분리 모델에 비해 관리가 용이하며, 동적으로 유지 관리되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적고 객체 접근 확인 절차가 단순하여 구현방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의무분리 모델에서 고려되지 않은 병렬 수행 환경에서 작업 사이의 정보 유출 문제를 해결한다.

한국, 중국, 일본의 1차 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비교 연구 (A Competitive Study on the Linkage Effects of Primary Industry among Korea, China and Japan)

  • 임지원;이상근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03-118
    • /
    • 2018
  • 본 논문은 세계산업연관표의 전후방연쇄효과를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14년까지의 한국, 중국, 일본의 1차 산업의 생산유발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1차 산업의 산업영향력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본 논문은 1차 산업 분야에 대한 한국, 중국, 일본의 산업연쇄효과의 차이에 대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Fisher(1939)와 Clark(1957)의 1차 산업 분류에 따라 1차 산업을 농림축산업, 임업, 수산업, 광업으로 분류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세계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한국, 중국, 일본 3국간 산업연관모형을 만든 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농림축산업, 광업은 한국, 중국, 일본 각 국가별로 전 후방 연쇄효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임업과 수산업의 경우 한국, 중국, 일본의 전 후방 연쇄효과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1차 산업의 산업의존도 변화를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산업의 전방연쇄효과와 후방연쇄효과를 IO 분석을 통해 각 국가별로 비교함으로서 향후 1차 산업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인문계 고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과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초점적 주의와 자기비난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on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in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Mediation Effects of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Criticism)

  • 김슬기;이동귀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5권2호
    • /
    • pp.243-264
    • /
    • 2018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 및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기초점적 주의와 자기비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고등학생 273명(남학생 83명, 여학생 190명)을 대상으로 약 3주간의 간격을 두고 총 2회에 걸쳐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불안, 우울, 자기초점적 주의, 자기비난의 척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 우울, 사회불안, 자기초점적 주의, 자기비난 사이에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초점적 주의를 거쳐 우울로 이행되는 매개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비난을 거쳐 우울로 이행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우울 대신 사회불안을 기준변인으로 했을 때도 동일한 매개효과 패턴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초점적 주의를 매개로 하여 각각 우울 및 사회불안으로 이행되는 과정을 경험적으로 밝혔고, 특히 사회불안의 경우에는 한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Clark와 Wells의 사회불안장애 인지모델을 적용하는 것의 타당성에 대한 간접적인 증거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신경망에 의한 레이더강우 보정 및 유출해석 (Radar Rainfall Adjustment by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Runoff Analysis)

  • 김수전;권영수;이건행;김형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2B호
    • /
    • pp.159-167
    • /
    • 2010
  • 본 논문의 목적은 지상 우량계의 강우자료와 레이더 강우자료를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의 학습을 통하여 지상 우량계가 가지는 지점 강우의 정확성과 강우레이더가 가지는 강우의 공간정보의 장점을 최대화하여 강우자료를 보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가지 신경망 모형(Model I, Model II)을 사용하였다. Model II의 입력층은 지체시간을 고려한 4개의 레이더 강우로 구성하였고 Model I의 입력층은 4개의 레이더 강우와 지상우량계 강우로 구성하여 안성천 유역의 레이더 강우를 보정하였다. 3가지 강우사상 중에서 총 2개의 사상을 신경망 모형 I, II에 입력하여 최적 매개변수인 연결강도를 추정한 후에 나머지 사상을 사용하여 검증을 실행하였다. 신경망에 의해 보정된 레이더 강우 자료(ANN 강우)와 보정을 하지 않은 레이더 강우를 준분포형 모형인 Modclark 모형에 입력하여 유출을 모의하고, 실제 유출 수문곡선과 비교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보정을 하지 않은 레이더 강우에 의한 유출량은 전체적으로 실제 수문곡선보다 과소 추정되었다. 반면에 ANN 강우의 유출량은 관측유출량과 비교하였을 때 첨두시간과 첨두유량을 가장 근접하게 모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논문 - GIS기반의 미계측 유역 설계홍수량 산정 (GIS-Based Design Flood Estimation of Ungauged Watershed)

  • 홍성민;정인균;박종윤;이미선;김성준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87-100
    • /
    • 2011
  • This study is to delineate the watershed hydrological parameters such as area, slope, rain gauge weight, NRCS-CN and time of concentration (Tc) by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tem (GIS) technique, and estimation of design flood for an ungauged watershed. Especially, we attempted to determine the Tc of ungauged watershed and develop simple program using the cell-based algorithm to calculates upstream or downstream flow time along a flow path for each cell. For a $19km^2$ watershed of tributary of Nakdong river (Seupmoon), the parameters including flow direction, flow accumulation, watershed boundary, stream network and Tc map were extracted from 30m Agreeburn DEM (Digital Elevation Model) and landcover map. And NRCS-CN was extracted from 30m landcover map and soil map. Design rainfall estimation for two rainfall gauge which are Sunsan and Jangcheon using FARD2006 that developed by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NIDP). Using the parameters as input data of HEC-l model, the design flood was estimated by applying Clark unit hydrograph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sign flood of 50 year frequency of this study was $8m^3/sec$ less than that of the previous fundamental plan in 1994. The value difference came from the different application of watershed parameter, different rainfall distribution (Huff quartile vs. Mononobe) and critical durations. We could infer that the GIS-based parameter preparation is more reasonable than the previous hand-made extraction of watershed parameters.

  • PDF

Survival Association and Cell Cycle Effects of B7H3 in Neuroblastoma

  • Zhang, Haibo;Zhang, Jinsen;Li, Chunjie;Xu, Hao;Dong, Rui;Chen, Clark C.;Hua, Wei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3권6호
    • /
    • pp.707-716
    • /
    • 2020
  • Objective : The function of B7H3, a member of the B7 family of proteins, in neuroblastoma (NB) remains poorly characterized. Here we examine the expression pattern of B7H3 in clinical NB specimens and characterize the phenotype of B7H3 knock-down in NB cell line. Methods : Immunohistochemical (IHC) staining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expression of B7H3 in clinical NB specimens. Survival association was analyzed using five Gene Expression Omnibus (GEO) datasets (GSE85047, GSE45480, GSE62564, GSE16476, GSE49710). Clonogenic survival and flow cytometry were performed after B7H3 knockdown to assess the cellular proliferation and cell survival in vitro. Impact of B7H3 silencing on NB growth was examined in vivo using the SH-SY5Y xenograft model. Results : On IHC staining, B7H3 was widely expressed in clinical NB specimens. Analysis of the transcriptional profiles of five GEO datasets clinically annotated NB specimens revealed that decreased B7H3 expression was associated with improved overall survival. B7H3 knockdown suppressed the proliferation of the SH-SY5Y NB model in vitro and in vivo. Cell cycle analysis revealed that B7H3 silencing induced G1/S arrest. This arrest was associated with the suppression of E2F1 expression and induction of Rb expression. Conclusion :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B7H3 expression correlate with clinical survival in NB patients. Preliminary studies suggest that B7H3 may mediate the G1/S transition.

GIS 기반의 HEC-HMS를 이용한 정자천 유역의 연속 강우.유출 분석 (Continuous Rainfall-Runpff Simulation Analysis of Jeongjacheon watershed using GIS-based HEC-HMS Model)

  • 김용국;노재경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997-1001
    • /
    • 2009
  • GIS 기반의 HEC-HMS를 이용하여 유량자료가 있는 소하천인 정자천 유역을 대상으로 장기 강우 유출 분석을 하였다. 일반적으로 홍수량 산정은 단기해석으로 분석하나 평 갈수기와 홍수기 때의 하천 유황이 다르기 때문에 매개변수가 불일치할 것이라 생각되고, 이에 대한 보정이 필요한지 판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장기 연속모의를 통하여 매개변수의 보정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는 수치지도를 조합하여 ARC-VIEW로부터 Map파일 및 Basin파일을 생성하였고, 토지이용도와 토양도를 ARC-VIEW를 이용하여 CN value를 추출하였다. 계산조건중 손실량 산정방법은 SCS Curve Number법으로 하였고, 단위도 방법은 Clark UH법, 하도추적방법은 Muskingum방법, 기저유량산정방법은 Constant monthly로 설정하였다. 유역면적, 도달시간자료, 저류상수 값 등의 추출은 GIS기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HEC-HMS의 장기 연속모의(Continuous Simulation)로 얻어진 Element Graph를 보면 대략적인 형태가 일치하나 2006년도에 대한 모의에서는 홍수기의 결과만 일치하는 것으로 보이고, 2007년도에 대한 모의에서는 평 갈수기와 홍수기의 그래프 형태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실측 유량보다 유량 값이 약간 크게 산출되어 홍수량 산정에서 볼 때 안정성에 무리가 없다고 판단되지만, 평 갈수기 기간에서 볼 때 연마다 하천의 매개변수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생각되며, 홍수 후 유역의 변화로 매개변수가 변화한 것이라 생각된다. 향후 정자천유역의 보다 많은 강우사상과 실측유량을 통해 HEC-HMS의 유출량을 비교 분석하면 보다 더 정확한 해석이 가능할 것이며, 홍수가 빈번한 지역의 경우 유수지의 검토와 저수지의 시간당 방류량을 알 수 있다면 오차의 범위를 줄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더 나아가 우리나라에 적합한 매개변수와 GIS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보다 쉽고 정확한 해석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 PDF

Modelling Pasture-based Automatic Milking System Herds: Grazeable Forage Options

  • Islam, M.R.;Garcia, S.C.;Clark, C.E.F.;Kerrisk, K.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5호
    • /
    • pp.703-715
    • /
    • 2015
  • One of the challenges to increase milk production in a large pasture-based herd with an automatic milking system (AMS) is to grow forages within a 1- km radius, as increases in walking distance increases milking interval and reduces yield.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ustainable forage option technologies that can supply high amount of grazeable forages for AMS herds using the Agricultural Production Systems Simulator (APSIM) model. Three different basic simulation scenarios (with irrigation) were carried out using forage crops (namely maize, soybean and sorghum) for the spring-summer period. Subsequent crops in the three scenarios were forage rape over-sown with ryegrass. Each individual simulation was run using actual climatic records for the period from 1900 to 2010. Simulated highest forage yields in maize, soybean and sorghum- (each followed by forage rape-ryegrass) based rotations were 28.2, 22.9, and 19.3 t dry matter/ha, respectively. The simulations suggested that the irrigation requirement could increase by up to 18%, 16%, and 17% respectively in those rotations in El-Nino years compared to neutral years. On the other hand, irrigation requirement could increase by up to 25%, 23%, and 32% in maize, soybean and sorghum based rotations in El-Nino years compared to La-Nina years. However, irrigation requirement could decrease by up to 8%, 7%, and 13% in maize, soybean and sorghum based rotations in La-Nina years compared to neutral years. The major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APSIM models have potentials in devising preferred forage options to maximise grazeable forage yield which may create the opportunity to grow more forage in small areas around the AMS which in turn will minimise walking distance and milking interval and thus increase milk production. Our analyses also suggest that simulation analysis may provide decision support during climatic uncertainty.

강우-유출모형을 이용한 도남천 지역 하천범람 모델링 (Flood Modeling in the Donam Stream Using Rainfall-Runoff Model)

  • 이동혁;전계원;김일동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67-167
    • /
    • 2021
  • 2018년 재해연보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자연재해는 태풍과 호우에 의한 평균피해액이(301,680백만원) 전체 재해평균피해액(344,124백만원)의 87.6%로 나타났다. 이처럼 물 관련 재해가 다른 재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대표적 원인은 국지성 집중호우의 발달과 개발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 및 지표면 유출량의 증가등이 있다. 이러한 요인들로 하천범람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할 치수계획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세종특별자치시의 하천기본계획(2020.01)에 따르면 세종특별자치시의 금남면 도남리의 도남천지구는 제방고 및 여유고 부족과 인명 및 재산피해 우려 지역으로 하천재해 위험지구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도남천지구에 강우-유출모형을 적용하여 빈도별 월류위치 파악과 하천범람지도를 작성하여 대피범위등 유역치수계획수립시 기초자료에 활용 되고자 한다. 강우분석을 위한 강우관측소 선정은 티센망 확인을 통하여 공주시(반포중) 강우관측소를 선정하였다. 강우분석은 자료기간이 짧은 강우관측소에서도 확률강우량을 산정할 수 있는 지역빈도해석을 하였으며 분석결과 적합한 확률분포형은 GEV인 것으로 나타났다. 빈도별 홍수량 산정을 위해 HEC-HMS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산정방법은 깅우-유출 관계 분석 방법에 의한 다양한 합성단위도 방법중 일관성과 객관성이 입증되어 온 Clark단위도 법을 사용하였다. 산정한 홍수량을 HEC-RAS모형에 적용하여 월류구간을 파악하였으며 월류위치 및 대피범위를 가시화 하기 위해 HEC-GeoRAS모형을 사용하여 빈도별 하천범람지도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도남천지구에 빈도별 하천범람지도를 작성 하였다. 이를 통하여 하천범람시 대피범위등 유역치수계획 수립 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