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m

검색결과 547건 처리시간 0.022초

광양만산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Bivalvia)의 개체군 생물학. I. 성장과 서식환경 (Population of Biology of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ivalvia) in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I. Growth and Benthic Environments)

  • 신현출;신상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1-30
    • /
    • 1999
  • 본 연구는 1994년 6월부터 1995년 7월까지 광양만의 조화조간대와 덕산조간대에 서식하는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Bivalvia)의 성장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화조간대의 평균입도, 표층퇴적물내 유기물 함량, 저서미세조류의 엽록소-a 량은 각각 2.50-4.46 , 4.99-5.11%, 14.53-19.90 $\mu\textrm{g}$ $cm^{-3}$이었으며, 덕산조간대는 각각 0.83-1.66 , 2.22-2.34%, 6.20-6.90 $\mu\textrm{g}$ $cm^{-3}$이었다. 바지락의 각장은 봄-여름에 급격히 증가하였고, 가을로 가면서 서서히 둔화되다가, 겨울에 멈추었다. 반면에 육질부 중량은 봄과 가을에 증가하고, 여름과 겨울에 감소하였다. 상태지수 역시 육질부 중량과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4개 연령군의 각장의 연성장은 von Bertalanffy 성장모델에 잘 적용되었고, 중량은 Gompertz 성장모델에 잘 적용되었다. 초기 각장 성장률 w, 최대 각장 성장률 AGR$_{max}$는 조화조간대가 덕산조간대보다 높았으며, 동일 조간대내에서는 하부조간대가 상부조간대보다 성장률이 높았다. 즉 개체군 서식밀도가 높은 조화조간대에서 이용가능한 잠재적 먹이량, 서식공간에 대한 경쟁이 심하여 개체 성장률이 낮았다.

  • PDF

천수만, 가로림만 갯벌에서 서식지 적합인자를 이용한 꼬막 적지선정 연구 (A Study on Suitable Site Selection of Blood Clams (Tegillarca granosa) using Habitat Suitability Factors in Tidal Flat, Cheonsu and Garolim Bays)

  • 전승렬;허승;조윤식;최용현;오그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64-772
    • /
    • 2018
  • 꼬막은 갯벌에서 자연 발생, 양성, 수확의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기초적인 서식지 특성 파악과 함께 단계적인 대체 서식 지역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현재 꼬막은 타 종에 비해 자연적으로 발생된 치패의 의존도가 높은 반면, 자연 서식지는 한정적이어서 생물자원이 감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꼬막 적지선정을 위해 천수만에 위치한 창기와 호포, 가로림만의 당산, 사창, 왕산 총 5개 정점을 선정하여 서식지 적합인자를 조사하였다. 환경(Environment)에 관련된 함수율과 유기물 함량, 생존(Survival)에 관련된 니질 함량과 퇴적물 평균입도, 성장(Growth)에 관련된 클로로필a, 총 5가지 서식지 적합인자들의 상관성을 고려하였다. 그 결과 가로림만에 위치한 왕산이 꼬막 주요 서식지의 환경 특성 적합도(왕산: 87점, 당산: 86점, 사창: 81점, 호포: 78점, 창기: 73점)가 가장 높았다. 퇴적환경은 천수만에 비해 가로림만이 더 세립 하였고, 계절적인 변동이 낮아 적합한 환경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로림만이 꼬막의 잠재적인 적지로 더 적합하며 공간활용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이러한 잠재적인 적지 탐색과 선정을 통해 꼬막의 생물자원과 생산량 감소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eeding of Juvenile Purple Washington Clam, Saxidomus purpuratus (Sowerby): Effects of Algal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 Lee, Chang-Hoon;Choi, Yong-Suk;Bang, Jong-Deuk;Jo, Soo-Gun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53-260
    • /
    • 2002
  • To find the optimal rearing conditions for Saxidomus purpuratus juvenile, filtering activity was estimated as functions of algal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by measuring the rates of clearance (CR) and ingestion (IR), when S. purpuratus was feeding. The clams were fed on unialgal diet of Isochrysis galbana at 6 algal concentrations (4.6$\times$$10^4$~2.6$\times$$10^6$ cells/ml) and at 6 temperatures (5, 10, 15, 20, 25, and 30^{\circ}C ). Algal concentration significantly affected the CR and the IR at all temperatures. At lower algal concentrations, CR increased, but decreased beyond a particular concentration. The maximum CR ($CR_{max}$) at 5, 10, 15, 20, 25, and 30^{\circ}C were 0.30, 1.73, 5.95, 15.17, 21.12, and 0.33 $l/g/h$, respectively. Below the level of 5.6$\times$10$^{5}$ cells/ml, IR increased as algal concentration increased, but was saturated at higher concentrations. To maintain high growth rate of S. purpuratus, I. galbana should be supplied with more than 5.6$\times$10$^{5}$ cells/ml. The maximum IR ($IR_{max}$) at 5, 10, 15, 20, 25 and30^{\circ}C were $2.2$\times$10^8, $1.5\times$10^9, 3.4$\times$10^9, 4.9$\times$10^9, 5.3$\times$10^9, and 1.0$\times$10^8$ cells/g/h, respectively. As for temperature, both $CR_max$ and $IR_max$ increased remarkably with raising temperature from 5 to 25^{\circ}C, but rapidly decreased at 30^{\circ}C. Between 15 and 25^{\circ}C $CR_{max} and IR_{max}$ were higher and most stable, At this temperature range, the $Q_{10}/s for CR_{max} and IR_{max}$ were 3.5 and 1.6, respectively. Therefore the optimal thermal range for the juvenile is 15~$25^{\circ}C$. The annual variation in IR$_{max}$ predicted by natural seawater temperature shows that inactive period (with lower $IR_max$) lasts for 5 months (from December to April). To ensure higher growth of juvenile during this inactive period at hatcheries, rearing temperature should be elevated to $15^{\circ}C$.>.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온도 및 염분 내성 (Temperature and Salinity Tolerance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 신윤경;김윤;정의영;허성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13-218
    • /
    • 2000
  • 전북 곰소만에 서식하는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을 대상으로 $18{\circ}C$$25{\circ}C$에 순응시킨 후 수온상승 ($1{\circ}C/day, 2{\circ}C/day$$3{\circ}C/day$) 및 염분 ($32.0, 25.6, 19.2, 12.8, 6.40$$3.20{\%_{\circ}}$) 변화에 따른 생존율, 여수율 및 산소소비율 둥을 조사하였다. $18{\circ}C$$25^{\circ}C$에 순응시킨 바지락의 반수치사온도 (LT-(50))는 두 순응온도구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최대 임계온도는 $18^{\circ}C$에 순응시킨 실험구는 $36^{\circ}C$, 그리고 $25^{\circ}C$에 순응시킨 실험구는 $37^{\circ}C$로 고수온에 순응시킨 실험구에서 높았다. 염분변화에 따른 바지락의 생존율은 $19.2{\%_{\circ}}$이하에서 감소하였다. 산소소비율은 $18^{\circ}C$에 순응시킨 바지락의 경우, 염분감소에 따라 감소한 반면 $25^{\circ}C$에 순응시킨 실험구에서는 산소소비율이 불규칙하였다. 한편, 수온증가에 따른 여수율은 $18{\circ}C$에 순응시킨 실험구의 경우 $24^{\circ}C{\~}28^{\circ}C에서$, $25{\circ}C$에 순응시킨 실험구의 경우는 $31{\~}33^{\circ}C$에서 최대를 보인 후 감소하였으며, 염분변화에 따른 여수율은 염분감소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함정어구와 미끼에 대한 태평줄 새우 (The Behaviour of Shrimp , Palaeman Pacificus , to the Model Trap and the Odour of Baits)

  • 고관서;김용해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9권2호
    • /
    • pp.85-91
    • /
    • 1983
  • 원통 및 직육면체 등의 단순한 모형함정과 모형통발, 재료의 종류와 입구의 형태, 입국의 경사각도에 따른 입롱과 도피행동 및 미끼의 냄새에 유집되는 행동 등에 대한 태평줄생우의 선택행동을 수조에서 관찰하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망지재료가 P. A, P. E 및 면인 경우 새우의 입롱수는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삼각형, 사각형의 입구단면보다는 원형에 더 많이 들어 갔고 입구의 경사가 클수록 들어가는 미수가 적었다. 2. 모형함정의 입구경사가 0$^{\circ}$, 90$^{\circ}$일 때부다 30$^{\circ}$, 60$^{\circ}$일 때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새우의 도피율이 낮았으며, 직육면체의 평면입구일 때보다는 원통의 원추형 입구일 때 도피율이 적었다. 3. 미끼의 축출용액에 모여드는 새우의 수는 전갱이와 바지락, 새우와 고등어, 고등어육과 내장 등 간에는 차이가 거의 없으나 고등어와 멸치젓, 족발과 새우간에는 각각 고등어와 새우 육에 더 많이 모여들었다. 4. 먹이가 들어 있는 모형통발에는 없을 때의 3배 정도 입롱수가 많았고, 미끼가 없을 경우 입구의 수가 1개와 2개일 때는 입롱수에 차이가 거의 없으나 도피수는 2개일때가 훨씬 많았다.

  • PDF

모로코인(人)의 장신구(裝身具)와 화장(化粧)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f the Personal Ornaments and Make-up of Maroccan)

  • 이순홍
    • 패션비즈니스
    • /
    • 제5권2호
    • /
    • pp.15-34
    • /
    • 2001
  • Ornaments are accessories for the decoration of the body or dress. They aren't unavoidably required one, but serve to make one's dress perfect as decorative industrial art objects. In Morocco, ornaments were initially used as a sign of social position or the class or an incantatory symbol. In effect, they were originally employed to adjust one's dress, not just for decoration, and they were of use for household economy. Gold, silver and handcraft available for exchange were a means of increasing one's property and an indication of social standing and wealth. In particular, the dress and jewelry of a bride was a measure of her family's wealth, regarded as a symbol of her chastity and value. The ornaments symbolically back up people's faith in supernatural power, and their real value is based on implicit form or way of decoration, not the external shape. Specifically, there is a tendency to use the form of animal as a protector, not one to frighten people. In the artistic tradition of Morocco, fish pattern stands for water and rain, and eagle and bird a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fate. Scorpion and lizard are depicted as an inquirer of sun, and snake is a symbol of abundance and sexual instinct, being viewed to have an ability to cure disease. Turtle pattern is a symbol of saint because it protects one from the evil. The ornaments are made of gold, silver, amber, clam, garnet, glass, nielle, enamel, glaze, coral or tree, and symbolic patterns are used, including hand(a symbol of five numerals), turtle, lizard, scorpion, eye, triangle, bird and eggs. They are very big and diverse, being categorized into ornaments for the head or the chest, neckless, fibula, earring, bracelet and ring. For Moroccans, make-up is a sort of instinctive behavior to meet aesthetic and sexual desire. They also wear make-up for practical purpose of protection, intentionally inflict a wound on the skin for ceremonial or religious purpose, paint the skin with pigment, or have the part of the body tattooed for incantatory purpose. All this actions are regarded as make-up. The raw material of cosmetics is aker, a vegetable dye. They get the lips or cheeks turn red and paint eyebrows with yellow saffran powder to have a bad devil lose its strength. Tattooing is mainly done by women and viewed as a sign of their value or social organization they belong to. Sometimes that is used to represent a woman's being old enough to marry or getting married already or the frequency of marriage. Besides, tattoo is believed to prevent or remedy loose bowels or cough, depending on its location or pattern, and they often change tattoo according to the change of beauty art.

  • PDF

꼬막, Tegillarca granosa (Linnaeus)의 용존산소 변화에 따른 생리적 반응 (Effects of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on the Physiology of the Manila clam, Teillarca granosa (Linnaeus))

  • 신윤경;문태석;위종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85-489
    • /
    • 2002
  • 전남 보성군 장도해역의 펄질에 서식하는 꼬막의 환경내성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중내 용존산소의 감소에 따라 생존율, 호흡률, 여수율 둥의 생리적 반웅 및 혈액성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꼬막의 용존산소농도의 감소에 따른 $LC_{50}$은 수온 $10^{\circ}$에서 16일동안 큰개체 1.31 mg DO/L, 작은 개체는 0.95mg DO/L이었으며, 수온 $25^{\circ}C$의 경우에는 각각 1.13와 1.24mg DO/L이었다. 호흡률과 여수율은 용존산소의 감소에 따라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 액 성분은 Hemoglobin, glucose, total protein, total cholesterol, GOT 및 GPT 등을 분석하였다. 혜모글로빈은 모든 개체에서 수중내 용존산소의 감소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스트레스의 지표로 이용되고 있는 glucose는 수온 $25^{\circ}C$, 용존산소 1.6-1.2mg DO/L에서 일시적 증가를 보였으며, 1.2mg DO/L 이하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외 total protein, total cholesterol, GOT 및 GPT 등은 용존산소의 감소에 따라 감소하거나 불규칙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바지락에 기생하는 Cercaria tapidis Fujita에 대하여 (A Trematode, Cercaria tapidis Parasitic in the Natural Stock of Tapes philippinarum)

  • 김영길;전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17-220
    • /
    • 1981
  • 1980년 9월부터 1981년 8월까지 충남 서천군 서면솔리 해역의 바지락에서 검은 1상의 안점과 염세포가 명백하여 꼬리가 긴 Cercaria tapidis의 기생률과 기생된 바지락의 크기와 충체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Sporocyst의 크기는 $75\sim1550\times210\sim320{\mu}m$ 이고. 그 내부에 60여 개의 배세포와 발육중인 cercaria가 충만되어 있었다. cercaria의 충체부는 $245\sim320\times105\sim130{\mu}m$으로 타원형이고 꼬리늘 $1225\sim1650\times40\sim50{\mu}m$로 가늘고길며 충체부의 5배나 되었다. Cercaria의 flame cell 식은 [(2+3+2)+(3+3)]=30 이다. 총 2086개체의 바지락을 조사한 결과 120개체($5.75\%$)에서 기생된 Cercaria tapidis 검출하었다. 가장 높은 기생률은 12월로서 $23.27\%$였고, 가장 낮은 계절은 5월로서 $0.85\%$였다. 바지락의 각장별기생률을 보면 $3.1\sim4.0cm$의 3년생에서 $3.78\%$로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2.1\sim3.0cm$ 크기에서 $1.34\%$, $4.1\sim5.0cm$에서 $0.52\%$로 낮은 기생률이었다.

  • PDF

한국 서해산 쇄방사늑조개, Potamocorbula ustulata ustulata (Reeve, 1844) 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Asian Clam Potamocorbula ustulata ustulata (Reeve, 1844) on the West Coast of Korea)

  • 류동기;김영혜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23
    • /
    • 2007
  • 2004년 10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전라북도 고창군 주진천에 서식하는 쇄방사늑조개의 서식지 환경과 성장을 조사하였다. 서식지의 월별 수온은 $4.6-29.3^{\circ}C$로 나타났으며, 1월에 가 장 낮았고, 8월에 가장 높았다. 지온은 $2.6-29.4^{\circ}C$로 나타났으며 수온과 비슷하게 1월과 2월에 낮았고 8월에 가장 높았다. 월별 염분은 2.3-20.2 psu로 평균 $8.21\;{\pm}\;4.77\;psu$였다. 쇄방사늑조개의 패각에 나타나는 윤문은 년 1회 형성되며, 주된 윤문 형성 시기는 10-12월임을 확연할 수 있었다. 초륜의 형성 기간은 약 5개월 (0.42년) 으로 나타났으며, 각장 (SL) 과 각고 (SH) 간의 관계는 SH = 0.4352 SL + 0.5642 ($R^2\;=\;0.978$) 이고, 각장과 각폭 (SW) 간의 관계는 SW = 0.4352 SL - 0.5675 ($R^2\;=\;0.957$) 이며, 각장과 전중량 (TW) 간의 관계는 $TW\;=\;6.999\;{\times}\;10^{-5}\;SL^{3.2542}\;(R^2\;=\;0.975)$ 로 나타났다. 연령 (t) 에 대한 각장 (SL) 의 Bertalanffy 성장식은 $SL_t\;=\;30.77\;[1-e^{-0.4572(t+0.7371)}]$였으며, 전중량 (TW) 의 Bertalanffy 성장식은 $TW_t\;=\;4.87\;[1-e^{-0.4572(t+0.7371)}]^{3.2542}$로 추정되었다.

  • PDF

냉동가공 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 및 수산 냉동식품의 오염 상태 조사 연구 (A Study on Consumer's Recognition of Frozen Processed Foods and Contamination Levels of Frozen Seafoods)

  • 강수정;김옥선;손시혜;유혜민;이지원;정수영;조아영;윤기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73-883
    • /
    • 2008
  • In this study, we assessed consumers' recognition of frozen foods via a survey study, and monitored the contamination levels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Escherichia coli in imported and domestic frozen seafoods obtained from five whole sale markets in Seoul. A questionnaire used to assess the perception of frozen food safety and the attitude towards frozen food usage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350 adults. A total of 324 questionnaires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and a chi-square test, using SPSS for Windows. The results of our survey study demonstrated that 44.6% of the respondent consumed frozen processed foods two to three times per month, with dumplings being the most frequently purchased. 70.5% of the respondents selected "convenient cooking" as the principal reason for their frozen food purchases. 58% of the respondents believed that frozen processed food is not safe to eat as the result of food additives and changes in quality during the shelf life period. Consumers most profoundly preferred frozen seafood originating from America, and preferred that from China least profoundly (81.2%). Microbiological analyses demonstrated that the aerobic plate counts of frozen seafood, regardless of origin, fulfill the standard requirements except for one frozen clam (6.6 Log CFU/g), which was a heated-frozen domestic product. In addition, E. coli was isolated from frozen cooked mussels, frozen raw clams and squids, thus indicating that more strict hygienic regulation for frozen seafoods will be necessary to protect the consumer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marke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