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dosporium sp.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19초

버섯 폐배지로부터 분리한 방선균 균주 CA-23과 AA-65균주의 키틴 분해능력과 항균력 검정 (Estimation of the Chitinolytic and Antifungal Activity of Streptomyces sp. CA-23 and AA-65 isolates Isolated from Waste Mushroom Media)

  • 심창기;김민정;김용기;지형진;홍성준;박종호;한은정;김석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02-41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버섯폐배지로부터 분리한 방선균의 키틴 분해 능력과 항균활성능력을 검정하고 선발하기 위함이다. 5종류의 버섯폐배지(팽이버섯, 잎새버섯, 느타리버섯, 신령버섯, 양송이버섯) 중 신령버섯 > 양송이버섯 순으로 방선균이 분리되었다. 버섯 폐배지로부터 전체 91개의 키틴분해 방선균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91개의 균주는 키틴분해 능력과 Phytophthora capsici, Rhizoctonia solani, Sclerotinia sclerotiorum, 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 Cladosporium cucumerinum 에 대한 항균력에 따라 크게 3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CA-23균주는 강한 키틴 분해능력과 모든 식물병원균에 대해 항균력을 보이는 대표적인 균주로 선발하였고 반면에 AA-65 균주는 키틴 분해능력은 없지만 모든 식물 병원균에 대한 강한 항균력을 보이는 대표적인 균주로 선발하였다. 실내시험에서 CA-23 균주와 AA-65 균주는 오이 역병, 흰가루병, 검은별무늬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였다. CA-23 균주는 높은 방제가를 보인 반면 AA-65 균주는 병 방제효과뿐만 아니라 식물생육과 수량을 지속적으로 증가시켰다. 비록 두 균주의 식물병 방제효과 유사하지만 두 균주 사이의 작용기작은 서로 다를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작용기작과 적용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석회유황합제가 배나무 낙엽의 진균 다양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me Sulfur on Changes of Fungal Diversity in Pear Fallen Leaves)

  • 민광현;송장훈;조백호;양광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81-285
    • /
    • 2015
  • 석회유황합제의 배나무 동계방제 수단으로써 효과를 과학적으로 증명하기 위해 배 과수원에서 1차 전염원의 역할을 하는 낙엽에 석회유황합제를 처리한 후 낙엽에 존재하는 진균의 다양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물이 처리된 대조구와 석회유황합제 처리구의 낙엽에서 진균 genomic DNA를 추출한 다음 r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진균들을 동정한 결과, 대조구와 석회유황합제 처리구에서 자낭균문(Ascomycota)과 담자균문(Basidiomycota)에 속하는 다양한 종류의 진균들이 동정되었으나 동정되는 진균의 수와 비율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배 과피얼룩병을 일으키는 Alternaria속과 Cladosporium속의 진균은 대조구에 비해 석회유황합제 처리구에서 동정되는 비율이 대폭 감소되었으며, Phomopsis속의 진균은 대조구에서는 동정되었으나 석회유황합제 처리구에서는 동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석회유황합제 처리가 배 낙엽에 존재하는 진균 다양성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동계방제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전국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 부유 곰팡이의 현황 및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Airborne Fungi in Indoor Air in Multi-Use Facilities Nationwide)

  • 박용성;권순현;박송이;기선호;윤원석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282-289
    • /
    • 2022
  • Background: Airborne fungi are ubiquitous in the air and exposure to an airborne fungus can be a significant risk factor. The composition of fungi has been potentially important for human health, especially for respiratory diseases like asthma and atopic dermatitis. Therefore, we attempted to ascertain what kind of airborne fungi affect human health at a nationwide level.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information on indoor fungi distribution at multi-use facilities throughout South Korea. Methods: We classified our data by region and public facility after collection, cultivation, and identification via the sequencing of the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We investigated whether or not the proliferation of HaCaT cells was affected by the identified airborne fungi. Results: In our data, the most isolated airborne fungi by region were Penicillium spp (Seoul, Daegu), Periconia sp (Gyeonggi-do), Iprex sp (Gangwon-do), Phanerochaete sp (Busan), Bjerkandera sp (Gwangju), and Aspergillus sp (Jeju-do). In the public facilities, the most detected fungi were Cladosporium sp (public transport), Penicillium sp (apartment house, retail market, financial institution, karaoke room), Bjerokandera sp (underground parking lot, public toilet, medical institution), Periconia sp (retail store), and Fusarium sp (general restaurant). Next, we selected twenty airborne fungi to examine their cytotoxicity and proliferation of human skin cells. In this experiment, the proliferation of the cells was influenced by most of the identified fungi. In case of the cytotoxicity test, most genera except for Rhodotorula sp and Moesziomyces sp showed cytotoxicity in HaCaT cells. Conclusions: The distribution of mold in the indoor air in multi-use facilities in South Korea differs from region to region, and this is an indicator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health impact studi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culturing about 20 types of bacteria dominant in indoor air, it was found that most (90%) inhibit the growth of skin cells, which can be harmful to health. An in-depth study of the health effects of floating fungi is needed.

Investigation of Fungal Strains Composition in Fruit Pollens for Artificial Pollination

  • Do, Heeil;Kim, Su-Hyeon;Cho, Gyeongjun;Kim, Da-Ran;Kwak, Youn-Sig
    • Mycobiology
    • /
    • 제49권3호
    • /
    • pp.249-257
    • /
    • 2021
  • Plants pollination are conducted through various pollinators such as wind, animals, and insects. Recently, the necessity for artificial pollination is drawing attention as the proportion of natural pollinators involved is decreasing over the years. Likewise, the trade in pollen for artificial pollination is also increasing worldwide. Through these imported pollens, many unknown microorganisms can flow from foreign countries. Among them, spores of various fungi present in the particles of pollen can be dispersed throughout the orchar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mposition of fungal communities in imported pollen was revealed, and potential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ungi were investigated in four types of imported pollen. Top 10 operational taxonomic unit (OTU) of fungi were ranked among the following groups: Alternaria sp., Cladosporium sp., and Didymella glomerata which belong to many pathogenic species. Through FUNGuild analysis, the proportion of OTUs, which is assumed to be potentially plant pathogens, was higher than 50%, except for apple pollen in 2018. Based on this study of fungal structure, this information can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pollen quarantine process and contribute to fungal biology in pollen

큰느타리 재배사에서 헤파필터 교체 이후 기간에 따른 미생물상 변화 (Changes in microbial phase by period after hepa filter replacement in King oyster(Pleurotus eryngii) mushroom cultivation)

  • 박혜성;민경진;이은지;이찬중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98-402
    • /
    • 2020
  • 버섯은 대부분 시설에서 재배되기 때문에 안전하게 고품질의 버섯 생산을 위해서는 재배사 내 환경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헤파필터 교체에 따른 큰느타리 재배사 대기중 미생물상 변화를 분석하여 헤파필터 적정 교체기간을 설정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헤파필터 교체 전 재배단계별 대기중 세균 및 진균 밀도는 배지제조과정에서 세균 169.7 cfu/㎥, 진균 570 cfu/㎥, 균 긁기과정에서 세균 126.3 cfu/㎥, 진균 560cfu/㎥로 부유균의 밀도가 가장 높았다. 헤파필터 교체 후 세균의 밀도는 배양실에서 가장 낮아졌고, 진균의 밀도는 냉각실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헤파필터 교체전 Cladosporium sp. 등 7속 7종이었고, 교체 후 1개월은 Penicillium sp. 등 6속 6종, 2개월은 Cladosporium cladosporioides 등 4속 7종, 3개월차는 Mucor plumbeus 등 5속 7종, 4개월에서 6개월까지는 Penicillium brevicompactum 등 각각 5속 12종, 5속 10종, 5속 10종으로 교체 후 기간이 지날수록 종이 다양해지고 증가하였다. 부유균의 밀도는 헤파필터 교체 후 2개월 후 가장 낮았고 차츰 증가하다가 6개월에는 교체전 밀도와 비슷해지거나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헤파필터는 6개월마다 교체하는 것이 오염저감을 위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Fungal Diversity in Composting Process of Pig Manure and Mushroom Cultural Waste Based on Partial Sequence of Large Subunit rRNA

  • Cho, Kye-Man;Kwon, Eun-Ju;Kim, Sung-Kyum;Kambiranda, Devaiah M;Math, Reukaradhya K;Lee, Young-Han;Kim, Jung-Ho;Yun, Han-Dae;Kim, 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8호
    • /
    • pp.743-748
    • /
    • 2009
  • Fungal diversity during composting was investigated by culture-independent rDNA sequence analysis. Composting was carried out with pig manure and mushroom cultural waste using a field-scale composter (Hazaka system), and samples were collected at various stages. Based on partial sequence analysis of large subunit (LSU) ribosomal RNA (rRNA) and sequence identity values, a total of 12 different fungal species were found at six sampling sites; Geotrichum sp., Debaryomyces hansenii, Monographella nivalis, Acremonium strictum, Acremonium alternatum, Cladosporium sphaerospermum, Myriangium durosai, Pleurotus eryngii, Malassezia globosa, Malassezia restricta, Rhodotorula glutinis, and Fusarium sporotrichioides. Geotrichum sp. of the class Saccharomycetes was the most predominant fungal species throughout the composting process (185 out of a total of 236 identified clones, or 78.4%), followed by Acremonium strictum (7.6%), Monographella nivalis (5.1%), and Pleurotus eryngii (3.8%). The prevalence of Geotrichum sp. was the lowest (61.1%) at the beginning of composting, and then gradually increased to 92.5% after 10 days of composting.

화본과식물에 발생하는 설부소입균핵병균(雪腐小粒菌核病菌)의 동정 및 발생상태에 관한 연구 -II. Typhula incarnata의 생육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 (Studies on the Ecology of Occurrence and Identification of Typhula Snow Mold of Graminous Plants -II. Several Factors Affecting Growth of Typhula incarnata-)

  • 김진원;이두형;심규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7-43
    • /
    • 1992
  • Typhula incarnata 의 생육온도는 $-5{\sim}10^{\circ}C$의 범위이었으며 $10{\sim}15^{\circ}C$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6 균 핵은 고온에서 형성량이 많았으며 pH 5.4-6.2 에서 균사의 생장이 가장 좋았다. 기본배지에서 탄소원을 첨가했을 때 이눌린, 가용성 전분, 갈락토스, 포도당, 만노스, 만닛톨, 자당, 맥아당, 셀로비로스, 트레할로스, 라휘노스 및 덱스트린 등이 다른 탄소원보다 균의 생육이 더 좋았다. 23종의 질소원 중에서는 글리신, 셀린, 황산암모니움, 아스파라진, 아스파라틴산(酸) 및 ${\beta}-alanine$ 등이 T. incarnata 의 균사생장에 가장 좋았다. 시스틴과 시스테인은 질소원으로서 적합하지 않았고 암모니아태(態) 질소가 질산태(態) 질소보다 균의 생육이 더 좋았다. 감자배지, 오트밀배지 및 V-8 배지 등은 균의 생육과 균핵형성에 가장 좋았다. 톤을 첨가한 감자 배지에서는 T. incarnata 의 건물중이 감소하였으며, 자당(蔗糖)을 첨가하면 생육이 좋았다. T. incarnata 의 균핵은 흙속에서 생존력이 저하 되었으며 부발아(不發芽)된 균핵으로부터 Trichoderma viride와 세균이 검출되었다. 토양속의 오리새 생엽초는 T. incarnata에 의한 착생(着生)이 살균 또는 무살균(無殺菌)의 고엽초보다 $0^{\circ}C$에서 좋았다. 살균고엽초에서의 T. incarnata 의 부생능력은 $10^{\circ}C$보다는 $0^{\circ}C$에서 좋았다. 살균 또는 무살균의 기질에 착생된 부생균은 Cladosporium sp., Fusarium sp., Mucor sp., Pythium sp., 및 수종의 미동정균(未同定菌)이 경쟁균으로서 검출되었으나 $0^{\circ}C$에서의 생엽초에서는 착생(着生)되지 않았다. Bentgrass의 설부갈색소립균핵병에 대해서 살균제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폴리옥신과 티람의 혼합제가 가장 좋았고, 이프로디온, 이프로디온과 옥신 구리의 혼합제, 지오파내이트-메틸, 마이클로브탄일 및 톨클로포스-메틸의 순으로 좋았다.

  • PDF

종이변색균류의 배양적 특성 및 화학적 방법에 의한 변색제거 (Cultural characteristics of fungal species associated with deterioration or foxing of paper and chemical removal)

  • 조성은;김용태;정소영;조병묵;이종규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95-303
    • /
    • 2009
  •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especially the volumes of King SeJong(1418-1450 A.D.), were heavily deteriorated by fungi. Investigations on the deteriorating and foxing fungi were carried out. Fungal structures on the beeswax, which were coated on the both side of Han-Ji, were suspected to be involved in the deterioration, and were observed by SEM. Isolation and culturing of these fungi were tried by scrubing swab samples and placing on the artificial media. Culture-independent approaches were used to identify the fungal strains associated with damages of beeswax and foxing of the paper by the analyses based on DNA sequences data from the specific ITS region of rDNA regions. In addition, well-known paper staining fungi(PSF), i.e., Aspergillus terreus var. terreus, Fusarium oxysporum, Chaetomium globosum, Cladosporium cladosporioides, and Alternaria solani, were compared in the mycelial growth and stain on beeswax and papers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temperature, light, moisture, etc). Fungal strains isolated from the air samples in the storage room and shelves were identified as Irpex sp., Arthrinium sacchari, Cladosporium tenuissimum, Aspergillus sclerotiorum, Sistotrema brinkmannii, and Hypoxylon bovei var. microsporum The isolated strains were compared in growth and stain patterns on beeswax and papers(Han-Ji, Hwa-Ji, and Yang-Ji) whether these can cause damage or foxing on the annals or not.

  • PDF

국내 기수역 환경의 균류 다양성 (Diversity of Fungi in Brackish Water in Korea)

  • 전유정;고재덕;문혜연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57-47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수 환경의 물과 토양에서 균류의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해 을숙도, 금강하구둑, 순천만습지, 대호방조제, 신두리사구 및 부남방조제 총 6지점의 현장조사 및 시료를 채집하였다. 현장에서 여과한 담수시료와 담수퇴적물로부터 곰팡이를 순수분리하여 PDA배지에 접종한 후 25℃에서 배양하였다. 기수역 시료에서 순수분리된 균주는 총 173균주로 ITS 부분을 분석하여 속 수준으로 동정하였다. 분리 동정된 균주를 다양성 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리된 균류는 Pleosporales, Eurotiales, Capnodiales, Hypocreales, Polyporales, Saccharomycetales, Agaricales, Glomerellales, Mucorales, Dothideales, Russulales, Xylariales, Sordariales, Myrmecridiales, Tubeufiales, Onygenales, Cantharellales, Amphisphaeriales 목에 속하며 Cladosporium속이 20%로 가장 우점하며, 그 다음은 Penicillium (19%), Fusarium (5%)의 순서로 많이 분포하였다. Sarocladium kiliense NNIBRFG3280와 Fusicolla merismoides NNIBRFG23708를 국내 기수환경에서 발굴하였으며, 이를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목재 유물 김젖개의 몬테카를로 방법을 이용한 감마선 조사 (Optimal Gamma Irradiation Using Monte Carlo Simulations on Wooden Cultural Properties, Gimjeotgae)

  • 윤민철;최종일;이윤종;임길성;이주운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5-100
    • /
    • 2012
  • In this study, there has been investigated the simulation of irradiation dose using Monte Carlo methodology for the biological control of wooden cultural property. In the evaluation of fungal contamination on wooden cultural properties, Cladosporium tenuissimum, Aspergillus versicolor, Penicillium sp. were mainly identified from the Gimjeotgae. But these microorganisms were completely inactivated by 20 kGy gamma-rays. For dosimetry simulation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Monte Carlo methodology with MCNP was used. The radiation absorbed dose distribution was predicted at 8.2~18.9 kGy. These results show that irradiation is effective for biologic control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and Monte Carlo methodology is useful for non-destructive conservation and preservation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