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dosporium cucumerinum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3초

Scab of Balsam Pear (Momordica charantia) Caused by Cladosporium cucumerinum in Korea

  • Kwon, Jin-Hyeuk;Park, Chang-Seu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2호
    • /
    • pp.161-163
    • /
    • 2006
  • During winter season of 2004 to 2006, a scab disease on balsam pear (Momordica charantia) caused by Cladosporium cucumerinum was observed in Daesan-myon, Changwon-city, Gyeongnam province, Koyea. The disease symptom started with small dark brown speck on the fruits and leaves then the lesions expanded and spreaded irregularly. The aggregated mycelial mass and conidia of the fungus formed sooty scab. The colony of purely isolated fungus grew in greenish black to velvety on potato dextrose agar (PDA). Conidia were ellipsoidal, fusiform or subspherical, mostly one-celled but occasionally septated and $3{\sim}32{\times}2{\sim}6{\mu}m$ in size. The conidiophores were erected and had long branch, chains pale olivaceous brown in color and $6{\times}280{\mu}m$ in size. Ramoconidia were $10{\sim}34{\times}3{\sim}8{\mu}m$ in size. The fungus was identified as Cladosporium cucumerinum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athogenicity of the fungus was confirmed according to Koch's postulate. The optimum temperature of the isolate was about $20^{\circ}C$. This is the first report on scab of balsam pear caused by C. cucumerinum in Korea.

검은별무늬병균 Cladosporium cucumerinum KACC 40576에 대한 길항균주 Bacillus subtilis KMU-13의 선발 및 항진균 활성 (Selection and Antifungal Activity of Antagonistic Bacterium Bacillus subtilis KMU-13 against Cucumber scab, Cladosporium cucumerinum KACC 40576)

  • 박성민;이준석;박치덕;이정훈;정혁준;유대식
    • KSBB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42-48
    • /
    • 2006
  • 오이검은별무늬병균인 Cladosporium cucumerinum KACC 40576에 대하여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KMU-13은 Norway Lillehammer 근교 토양시료에서 분리하였으며, 형태학적, 배양 및 생화학적인 특성을 조사한 결과와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B. subtilis로 판단되었다. B. subtilis KMU-13의 항진균 물질의 생산을 위한 최적조건은 LB broth를 기본배지로 하여 탄소원으로 0.5% maltose와 질소원으로 0.5% bactopeptone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배양조건은 $30^{\circ}C$, 180rpm, 48시간이였고, 배양초기 pH는 6.0으로 조사되었다. TLC에서 Rf값이 0.64로 확인된 밴드에서만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잿빛곰팡이병, 고추 탄저병, 참외 탄저병, 수박 등의 박과작물의 덩굴마름병, 토마토 시들음병, 글라디올러스 마른썩음병, 토마토 질병, 수박 덩굴쪼김병, 수박 질병, 사과나무 역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참외 줄기썩음병, 그리고 고추 균핵병에 대하여 양호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Occurrence of Eggplant Scab Caused by Cladosporium cucumerinum in Korea

  • Kwon, Jin-Hyeuk;Kang, Soo-Woong;Park, Chang-Seu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5권6호
    • /
    • pp.345-347
    • /
    • 1999
  • A scab disease on eggplant (Solanum melongena L. cv. Chukyang) in plastic film houses around Kimhae area in Korea during the winter season of 0998-1999. The disease started on leaves with small dark brown spots which were gradually expanded to 1 to 3 mm diameter lesions. Later, the central parts of the lesions became collapsed and detached to make holes. Dark brown mold was grown out of the lesions on the lower side of leaf. Numerous conidia were produced on the lower side of leaf. Numerous conidia were produced on the diseased leaves and appeared to be readily dispersed in the air. A fungus was isolated from the diseased leaves, and tested for Koch's postulates to prove the causal agent of the desease. The isolated fungus grew on potato dextrose agar, forming greenish black to pale brown colonies. Conidia were ellipsoidal, fusiform or subspherical, mostly one-celled but occasionally septated, and formed in long branched chains on the erected conidiophores which were pale olevaceous brown and variable in length between 12.4 and $393.4\mu\textrm{g}$. The fungus was identified as Cladosporium cucumerinum Ellis Arthur based on the abov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examined.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and conidial formation was about 20 to $25^{\circ}$. In addition to cucumber, the fungus was also pathogenic to watermelon, pumpkin and oriental melon.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scab disease of eggplant in Korea.

  • PDF

A Scab Disease Caused by Cladosporium cucumberinum on Watermelon Seedlings

  • Kwon, Mi-Kyung;Hong, Jeong-Rae;Cho, Baik-Ho;Ki, Un-Kye;Kim, Ki-Ch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72-75
    • /
    • 1999
  • A scab disease occurred on watermelon seedlings by the infection of Cladosporium cucumberinum. This is the first report demonstrating the scab disease on watermelon in Korea. The casual agent attacked all plant parts of the seedlings on the ground. Infection sites were initiated with sunken and dark green spots, and then suddenly developed to large lesions softened with gummy substances. When hypocotyl and leaf stalk of seedlings were infected and softened, upper parts of seedlings were brokin down, dried and eventually died. Conidiophores of the fungus were characterized by pale olivaceous brown color, and variable length of about 3-5 mm in width. Conidia were formed I long branched chains, and conidium was ellipsoidal, fusiform or subspherical single cell mostly without septum.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ungus were almost identical to Cladosporium cucumerinum Ellis & Authur. The fungus was also pathogenic to cucumber, squash and oriental melon, suggesting that it is a common pathogen to cucurbits. However, the fungus was not pathogenic to bottle gourd.

  • PDF

Occurrence of Sword bean Scab Caused by Cladosporium cucumerinum in Korea

  • Kwon, Jin-Hyeuk;Kang, Soo-Woong;Park, Chang-Seuk
    • Mycobiology
    • /
    • 제28권1호
    • /
    • pp.54-56
    • /
    • 2000
  • A black scab disease occurred on sword bean (Canavalia gladiata) in plastic film houses around Chinju area during the spring season of 1999. The disease started from flower bud, then moved to flower stalk, pod, petiole, cirrus, stem and leaves. The lesions started with small dark brown spots then were gradually expanded. Severely infected plants reached 37.4% of whole plant covered with scab. Numerous conidia were produced on the diseased flower disk, pod, floral axis, stem and leaves. Most of the conidia were appeared to be readily dispersed in the air, but the mycelia were not suggested causing of sooty mold by ectoparasitism. A fungus was isolated from the diseased stem, and inoculated to healthy plants to satisfy the Koch's postulates and proved the fungus was the causal agent of the disease. The isolated fungus grew on potato dextrose agar, forming greenish black to pale brown colonies. Conidia were ellipsoidal, fusiform or subspherical, mostly one-celled but occasionally septated. The conidia were $3.9{\sim}34.1{\times}2.7{\sim}5.1\;{\mu}m$ in size and formed in long branched chains on the erected conidiophores which were pale olivaceous brown and variable in length between $7.2{\sim}210.7\;{\mu}m$ in size. Ramoconidia were $7.6{\sim}29.2{\times}3.2{\sim}14.4\;{\mu}m$ in size. The fungus was identified as Cladosporium cucumerinum based on the abov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and conidial formation was about 15 to $25^{\circ}C$. Cladosporium scab of sword bean caused by the fungi has not been reported in Korea previously.

  • PDF

치환 Phenyl Hydrazono-3-Methyl-1, 2-Isoxazol-5-One 유도체의 합성과 살균활성 (Synthesis and Fungicidal Activities of Substituted Phenyl Hydrazono-3-Methyl-1, 2-Isoxazol-5-One Derivatives.)

  • 박광욱;금영수;박창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9-245
    • /
    • 1996
  • Hydrazone 결합을 지닌 화합물 중 농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ferimzone, drazoxolon, metazoxolon 등으로 그 수가 매우 제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hydrazone 결합 및 유사 결합구조인 formamidine, triazene 등의 toxophore로서 작용 여부를 규명하고자 하는 시도의 일환으로 일차적으로 hydrazone계 화합물 중 isoxazolone 유도체를 합성, 살균력을 검정하였다. Ethyl acetoacetate와 hydroxyl amine에서 합성된 isoxazolone에 aromatic diazonium coupling을 통하여 최종 산물을 얻었다. 합성된 16종 화합물들의 항균 활성을 Rhizoctonia solani,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ladosporium cucumerinum, Pythium ultimum에 대하여 검정한 결과, 난균강에 속하는 Pythium ultimum에 강한 활성을 보였으며 이를 공시 균주로, $EC_{50}$을 계산하여 그 활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p-methyl, o-fluoro, m-chloro 치환체가 강한 활성을 보였다.

  • PDF

방울토마토 열매 locular fluid lectin의 항균성과 생화학적 특성 (Antifungal Activity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Lectin Isolated from Locular Fluid of Cherry Tomato Fruit)

  • 노광수
    • KSBB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89-296
    • /
    • 2010
  • e-Lectin은 당 결합 단백질과 세포 응집 단백질로서, 식물방어의 역할도 하는데 방울토마토 열매의 locular fluid에는 곰팡이로부터 식물의 보호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chitin 결합 lectin이 들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울토마토의 locular fluid로부터 최종적으로 Sephadex G-200을 통과시켜 lectin을 분리한 다음, 이의 항균성과 분자량, 적혈구 응집력, 혈액특이성, 최적 온도, 열 안정성 및 최적 pH 등의 생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식물성 병원균인 4개의 균주 중 Cladosporium cucumerinum과 Monosporascus cannonballus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Fusarium oxysporum과 Rhizoctonia solani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SDS-PAGE의 결과, 2개의 band로 나타났으며, 이의 분자량을 표준 단백질을 이용 측정하여 87 kDa와 47 kDa로 계산되었다. 사람의 A, B, O, AB형의 혈액을 사용하여 각각의 혈구응집반응을 확인한 결과, A, B, O, AB형 모두에서 응집반응이 일어났으며, 이 중 B형 혈액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분리된 방울토마토 locular fluid lectin의 최적 반응 온도는 $30^{\circ}C$이며, 가장 높은 $30^{\circ}C$를 포함하는 $20-80^{\circ}C$ 범위에서 열 안정성을 보였고, 최적 pH는 7.0이다.

인산가용미생물, Enterobacterium intermedium 60-2G의 식물 생장 촉진 및 전신저항성 유도 (Induced systemic resistance and plant growth promotion of a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um, Enterobactor intermedium 60-2G)

  • 김영철;김철홍;김길용;조백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23-231
    • /
    • 2002
  • 인산가용 미생물인 Enterobacter intermedium 60-2G의 식물생장촉진 능력과 흑성병균인 Cladosporium cucumerinum에 대한 유도전신저항성 능력을 오이와 오이 흑성병균을 모델로 확인하였다. E. intermedium 을 처리한 오이는 물을 처리한 control에 비해 C. cucumerinum에 의한 흑성병의 병징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E. intermedium를 처리한 오이는 식물 생장촉진효과도 보였다. Strain 60-2G은 Fusarium oxysporum와 Magnaporthe grisea을 포함한 여러 식물 병원 곰팡이에 대해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인산가용능력을 가진 E. intermedium 60-2G는 식물의 생육을 증진시키는데 관여하는 여러가지 유익한 형질을 가진 아주 유용한 생물적 방제균임을 밝혔다.

오이 유묘와 과실을 활용한 검은별무늬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 검정 방법 (Screening Methods for Resistant Cucumber Cultivars against Cucumber Scab Caused by Cladosporium cucumerinum Using Cucumber Fruits and Seedlings)

  • 박소향;홍성준;심창기;김민정;박종호;한은정;박종원;지형진;김석철;김용기
    • 식물병연구
    • /
    • 제22권1호
    • /
    • pp.18-24
    • /
    • 2016
  • 본 연구는 검은별무늬병균의 배양적 및 병원학 특성을 구명하고, 81개 시판 오이 품종의 저항성 여부를 검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균은 2015년 3월 말 경기도 평택에 위치한 시설 오이 재배농가에서 채취한 병든 과실로부터 분리하였고 PDA상에서 배양하면서 형태적인 특성에 근거하여 검은별무늬병균(C. cucumerinum PT1)으로 동정되었다. 상처 유무와 과실 크기가 검은별무늬병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과일 크기를 유과(10 cm 미만), 중과(10-20 cm), 대과(20 cm 초과)로 구분하고 과실 크기별로 상처와 무상처 조건으로 오이 과실표면에 $1{\times}10^5$ 포자/ml 농도의 병원균을 접종하였다. 작은 과실에서는 표면 상처 여부에 관계없이 심한 수침상의 병반과 빠른 병원균 생장을 보이면서 피해정도가 매우 컸던 반면, 중과와 대과에서는 상처 부위와 무상처 표면 모두에서 경미한 수침상의 병반이 나타났지만 식물체 안쪽 조직으로 병이 진전된 것은 상처 낸 과실에서 뿐이었다. 오이 유묘와 유과에 검은별무늬병균의 포자 현탁액을 접종하여 81개 시판 오이 품종의 병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 미니오이와 피클오이 품종군은 대부분 저항성이었다. 특히 '처음처럼' 품종은 아무런 병징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나머지 품종들은 저항성-중도저항성으로 나타났다. 반면, 다른 품종군의 오이 품종은 대부분 감수성 품종으로 판명되었다. C. cucumerinum PT1에 대한 오이의 병 저항성은 품종 간 유의하게 차이를 보였으며 일부 품종에 있어서 유묘 검정과 유과 검정 간에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검은별무늬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서 오이 유묘 검정과 유과 검정을 병행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선발된 저항성 품종을 농가에 적용한다면 오이 검은별무늬병 방제를 위한 실질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오이 검은별무늬병 방제에 효과적인 유기농업자재 선발 (Screening for Effective Organic Farming Materials for the Control of Cucumber Scab Caused by Cladosporium cucumerinum)

  • 박소향;홍성준;심창기;김민정;박종호;한은정;김용기
    • 식물병연구
    • /
    • 제23권2호
    • /
    • pp.159-167
    • /
    • 2017
  • 본 연구는 Cladosporium cucumerinum PT1 (KACC 48094)에 의해 발생하는 오이 검은별무늬병에 대하여 유기농업자재의 방제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43품목의 유기농업 자재를 대상으로 실내에서 항균활성 검정과 온실에서 오이 유묘에 포자현탁액 접종을 통한 유묘검정을 실시하였다. 13개 품목의 유기농업자재가 균사생장을 억제하였고, 이 중 9개 품목이 미생물 제제였다. 오이 유묘를 이용한 검정에서 6품목의 유기농업자재가 90% 이상의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그 중에서 Bacillus amyloliquefaciens M27이 유효성분인 미생물 제제의 억제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그 다음으로 9개의 유기농업자재를 선발하여 예방적 및 치료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적용하였는데, 예방적으로 처리했을 때 9개 자재 모두 병 발생을 상당히 억제하였다. 특히, 보르도액 I과 III은 방제가가 각각 96.7%, 73.3%로 훌륭한 예방효과를 나타냈다. 이 중 백리향+고삼 추출물이 함유된 자재에서만 방제가 가 50%로 다소 낮았지만 치료적 처리의 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시설 내 온화하고 습한 조건에서 잘 발생하는 오이 검은별무늬병은 유기농업자재로 방제될 수 있고 예방적 처리가 더욱 중요하고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