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rus platymamma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4초

RAW264.7 대식세포에서 Citrus platymamma의 iNOS, COX-2,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 (Citrus platymamma inhibits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in RAW264.7 macrophage)

  • 김상숙;박경진;안현주;최영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1026-1032
    • /
    • 2016
  • 시기별 병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시기적으로 미숙과 시기인 9월에 가장 높았으며, 이 시기에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다. 특히 rutin, hesperidin, nobiletin의 함량이 높았으며, 이는 항염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항염 활성에서는 NO의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염증성 cytokine인 TNF-${\alpha}$의 생성 억제 활성이 가장 높았다. 또한 NO 생성을 억제하는 단백질로 알려진 iNOS 단백질의 발현 역시 억제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항염 활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지는 nobiletin 함량의 경우 12월에 70%이상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시기별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결과는 병귤을 천연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수확시기를 확립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Multidrug-resistance reversing activity of the local Citrus fruits in Jeju Island, Korea

  • Lee, Sook-Young;Kim, Sun-Min;Hwang, Eun-Ju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 /
    • pp.41-51
    • /
    • 2005
  • We examined whether extracts from 14 local citrus spp. on Jeju Island (Korea) contained chemosensitizing activity that would increase the cytotoxic effect of vincristine(VCR) in drug-resistant cancer cells. We report that methanol extracts from fruits and flowers of some species had a chemosensitizing effect that reversed P-glycoprotein (Pgp)-mediated multidrug resistance (MDR). Using drug-sensitive AML-2/WT and drug-resistant AML-2/D100 in the absence of VCR in human acute myelogenous leukemia cells we found that fruit or flower extracts alone generally had low cytotoxicity $(IC_{50}>200\;{\mu}g/ml)$. In studies examining the effect of extracts on 120 ng/ml VCR cytotoxicity in drug-resistant AML-2/D100 cells, we found that immature fruit extracts had greater chemosensitizing activity than either extracts from mature fruit or flower. Of the 14 species examined, the immature fruit extract from Inchangkyool (Citrus ichangiensis) showed the hishest chemosensitizing index(CI) valus. Immature fruit extracts of Hongkyool(C. tachibana), Byungkyool(C. platymamma), Cheongkyool(C. nippokoreana) and Jinkyool (C. sunki) also strongly potentiated VCR cytotoxicity in AML-2/D100 cells. The chemosensitizing effect of peel extracts was 2-10-fold that of whole fruit extracts from Hongkyool (C. tachibana), Byungkyool (C. platymamma) and Inchangkyool (C. inchangiensis). The CI values for flower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for mature fruit extracts, but lower than those for immature fruit extrac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mmature citrus fruits contain compounds that do not exert their activity solely through cytotoxicity. In particular, Incahngkyool (C. inchangiensis), Byungkyool(C.platymamma), Cheongkyool(C. nippokoreana) and Hongkyool (C. tahibana) may be useful sources of chemosensitizing compounds.

  • PDF

제주산 감귤류의 품종 및 수확시기별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itrus Fruits According to the Harvest Date and Variety)

  • 송은영;최영훈;강경희;고정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5호
    • /
    • pp.416-421
    • /
    • 1997
  • 제주산 감귤류 6개 품종에 대한 수확시기별 성분분석 및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궁천조생, 하귤, 스타치의 경우 과형지수가 $1.14{\sim}1.38$으로 타원형 형태였고 당유자, 지각, 병귤은 과형지수가 $0.89{\sim}1.03$로 거의 구형이였다. 과중은 당유자가 가장 컸고, 그 다음이 하귤, 지각, 궁천조생, 병귤, 스타치 순이었다. 과육율은 궁천조생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병귤, 하귤, 스타치, 당유자, 지각 순이었다. 과육율은 궁천조생이 가장 많았고 스타치, 병귤, 하귤, 당유자, 지각 순이었다. 과실이 성숙함에 따라 가용성고형물의 함량은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또한, 당산비도 증가되는 양상이었고, 특히 궁천조생, 병귤은 완숙기 때 다른 품종에 비해 각각 10.39, 7.67로 높게 나타내었다. 산 함량은 하귤, 지각, 당유자, 스타치 품종의 경우 9월 하순에서 1월 중순까지 $3{\sim}5%$ 이상 높게 유지되어 감귤식초와 같은 향미식품으로 이용이 가능하다고 본다. Vitamin C는 스타치에서 77.48 mg/100g으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시기별 유의성은 없었다. 품종별 과피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L, a, b값은 성숙함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11월 하순까지 하귤, 당유자의 과피에서 a값이 음의 값을 나타내어 이 시기까지 착색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궁천조생, 스타치, 병귤인 경우 완전 착색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제주도 재래감귤의 식물학적 특성과 이용에 관한 연구 (II) -병귤(甁橘)의 성분연구- (Studies on the Morphology and the Chemotaxonomy of Citrus Plants Native to Je Ju Island and on its Application (II) -On the Chemical Components of Citrus platymamma Hort. ex Tanaka-)

  • 김창민;허인옥;한대석
    • 생약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5-87
    • /
    • 1979
  • 제주도(濟州道) 재래감귤인 병귤(甁橘) Citrus platymamma $H_{ORT}$. ex $T_{ANAKA}$의 엽(葉), 과피(果皮), 수피(樹皮)의 클로로포롬 가용부(可容部)에서 무색침장정(無色針狀晶), $C_{10}H_{10}O_{4}$, mp $139{\sim}140^{\circ}c$을 단리(單利)하고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상(性狀)및 UV, IR, NMR, Mass spectra를 이용하여 그 화학구조(化學構造)를 구명(究明)한바 1,4-benzenedicar-boxylic acid dimethyl ester이었다. 또 과피(果皮)의 수용부(水溶部)에서 단리(單利)한 2개의 flavonoid 배당체(配糖體)는 그 이화학적(理化學的)인 성상(性狀) 및 IR-spectrum으로 보아 naringin hesperidin이었다.

  • PDF

병귤과피의 주정 침출 중 유용성분의 변화 (Changes of Major Constituents by Soaking of Citrus platymamma Peel with Spirit Solution)

  • 이상협;김종현;정희찬;양영택;고정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3호
    • /
    • pp.154-159
    • /
    • 2007
  • 제주산 병귤을 침출주의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30{\sim}95%$ 주정농도에 건조과피를 각각 500 g/10 l(5%, w/v) 비율로 첨가하여 70일간 침출특성을 검토하였다. 주정농도 30%에서 pH는 $5.19{\sim}4.80$으로 가장 낮았으며, 침출 후 10일까지 주정농도가 낮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주정농도가 높을수록 색도 a값이 낮아지고, b값이 증가하였다. 가용성고형물은 주정농도 $30{\sim}70%$에서 $2.00{\sim}2.19%(w/v)$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산함량은 주정농도 $30{\sim}70%$에서 $0.18{\sim}0.21%(v/v)$로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주정농도 95%에서는 $0.13{\sim}0.15%(v/v)$였다. 주정농도 낮을수록 fructose와 glucose가 많았으며, 침출기간이 길어질수록 sucrose 함량은 낮았다. 병귤과피의 주요 flavonoid는 narirutin, hesperidin, nobiletin, 3,5,6,7,8,3'4'-methoxylated flavone, tangeretin이었고, 대부분의 flavonoids는 침출 후 $3{\sim}5$일에 80%이상 용출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주정농도 $30{\sim}70%$로 20일 침출에서 $628.8{\sim}711.2$ ${\mu}g/ml$였으며, 주정원액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병귤과피를 침출주 원료로 사용하였을 때, 주정농도 $50{\sim}70%$에서 20일 동안 침출시키는 방법이 효과적이었다.

금귤과 병귤의 침출 중 유용성분의 변화 (Changes of Major Constituents by Soaking of Kumquats and Citrus platymama with Ethanol Solution)

  • 이상협;양영택;고정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89-396
    • /
    • 2006
  • 제주산 감귤류를 리큐르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금귤은 3kg/6L, 병귤은 1kg/3L의 비율로 주정농도 $30{\sim}95%$에서 금귤은 $1{\sim}70$일, 병귤은 $1{\sim}50$일간 침출하여 유용성분인 flavonoid의 이행을 HPLC로 분석하였으며 pH, 색도, 고형물 함량의 변화 등을 측정하였다. 주정농도에 따라 pH의 변화는 차이가 많았으며, 색깔의 변화도 컸다. 일반적으로 주정농도 30%와 95%에서 glucose와 fructose는 높은 주정농도에서, sucrose는 낮은 주정농도에서 침출하는 경우에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유기산은 malic acid와 citric acid로서 침출하는 주정농도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병귤보다 금귤에서 $10{\sim}15$배 정도 높았다. 비타민 C의 함량은 병귤보다 금귤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금귤은 주정농도 60%, 병귤은 주정농도 95%에서 침출하는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금귤은 침출하는 주정농도 60%에서 $3.19{\sim}41.91{\mu}g/mL$, 병귤은 주정농도 95%에서 $21.90{\sim}30.12{\mu}g/mL$로 나타났다. 금귤에서의 flavonoid는 rutin과 neohesperidin 함량이 많았으며, 주정농도 95%에서 rutin은 $312.82{\sim}688.12{\mu}g/mL$, 주정농도 60%에서 neohesperidin은 $9.32{\sim}74.49{\mu}g/mL$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병귤의 경우 주정농도 30%에서 rutin, neohesperidin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나, 주정농도가 높을수록 hesperidin 함량이 높았고, rutin, neshesperidin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주정농도95%에서 침출된 hesperidin함량은 $38.93{\sim}136.86{\mu}g/mL$로 나타났다.

제주산 감귤류 성분과 그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Citrus Fruits Produced in Cheju)

  • 김성학;고정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541-545
    • /
    • 1995
  • 제주산 감귤의 표준시료에 대한 성분분석 및 그 특성을 검토하였다. 온주 밀감의 가용성고형물(Brix)은 $10.4{\sim}11.0^{\circ}$였고 총당은 $8.24{\sim}8.79%$였으며, 산함량은 $1.04{\sim}1.20%$였다. 비타민 C함량은 $41.19{\sim}46.55\;mg/100g$으로서 조생온주에 비해 보통온주에서 높았다. 온주밀감에서 무기물 함량의 경우 K가 $108.66{\sim}132.65\;mg/100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고 있었으며, 잡감류의 경우는 온주밀감에 비해 무기물 함량이 높았다. 감귤쥬스 중의 당종류는 잡감류를 포함하여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자당이 $46.8{\sim}64.6%$로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외로는 포도당과 과당이 각각 $18.4{\sim}26.9%$$15.2{\sim}30.2%$로서 비슷한 수준이었다. 유기산 종류로는 구연산이 $75.7{\sim}96.2%$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외로 malic acid, oxalic acid, fumaric acid 순으로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 PDF

제주산 감귤류의 숙기에 따른 유리당, 유기산, 헤스페리딘, 나린진, 무기물 함량의 변화 (Free sugar, Organic acid, Hesperidin, Naringin and Inorganic elements Changes of Cheju Citrus Fruits According to Harvest Date)

  • 송은영;최영훈;강경희;고정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06-312
    • /
    • 1998
  • 대표적인 제주산 감귤류인 하귤, 당유자, 병귤, 스타치, 지각, 궁천조생, 6품종을 수확시기에 따라 유리당, 유기산, 헤스페리딘, 나린진, 무기물을 각각 분석하였다. 수확시기별 유리당의 함량에는 조금씩 차이를 보였으나 모든 품종에 있어서 과즙내 유리당 중에서 sucrose가 $44.9{\sim}66.0%$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glucose와 fructose는 $15.7{\sim}25.7%,\;17.5{\sim}30.1%$로 서로 비슷하게 함유되어 있었다. 유리당의 함량은 성숙함에 따라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기산 함량은 감귤이 성숙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되며, 이는 산 함량의 변화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감귤과즙에서 검출된 주요한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였으며 전체 유기산 중에 citric acid가 90%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그 외로 malic acid가 $0.98{\sim}9.45%$ 내외로 함유되어 있었고 oxalic acid가 3.58% 이하로 미량 함유되어 있었다. 품종별 과즙과 과피내의 flavonoid계 성분인 naringin과 hesperidin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이 두 성분은 과피 중에서 월등히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미숙과일 때 그 함량이 높았으나 착색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감귤을 이용한 가공품 제조시에는 완숙과를 사용해야 가공품의 혼탁과 쓴맛이 적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