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rus peel extract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4초

치마버섯을 이용한 진피 발효 배양물의 항산화 및 항염 효과 (Anti-Oxidant Effect and Anti-Inflammatory of Fermented Citrus unshiu Peel Extract by using Schizophyllum commune)

  • 송민현;배준태;고현주;장용만;이종대;이근수;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51-356
    • /
    • 2011
  • 감귤은 국내 및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즐기는 식품 중 하나이며, 이러한 감귤류의 껍질을 건조시킨 것을 진피라고 한다. 이러한 진피는 한방에서는 이뇨작용, 비장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천연 플라보노이드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학계에서 여러 분야로 연구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보노이드 배당체를 함유한 진피 추출물을 ${\beta}$-glucosidase 효소를 이용하여 아글리콘(aglycone)으로 변환 할 수 있도록 치마버섯 배양을 실시하였다. 진피 발효 배양액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UVA에 의한 광손상 보호능을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진피 발효 배양액은 COX-2, LOX-5와 같은 항염증 관련 대사에도 관여하여 염증완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질 형성세포를 이용한 interleukin-$1{\alpha}$를 측정한 결과 진피발효배양액 처리군의 저해활성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진피발효 배양액은 피부에 대한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감귤과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Citrus Unshju peel Extracts)

  • 안명수;서미숙;김현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54-461
    • /
    • 2007
  • 본 연구 결과 동결건조된 감귤과피 70% 메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836.8 ㎎%였으며 감귤과피 추출물 0.01, 0.02와 0.1%의 EDA는 각각 89.6, 86, 81.3%로 높았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34.4%, pH 7.0에서 19.5%를 나타내어 산성 영역에서 높은 소거작용을 보였다. 또한 이들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는 옥배유의 경우 TBHQ > BHT > TOC > ChEx > EaEx > EtEx > WaEx > Control 순이었고, 채종유의 경우 TBHQ > ChEx > EaEx > BHT > EtEx > WaEx > TOC > Control 순이었다. 두 유지모두에서 에틸아세이트추출물(EaEx)과 클로로포름추출물(ChEx)이 에탄올추출물(EtEx)과 물추출물(WaEx) 보다 항산화 효과가 높았으며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효과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감귤과피의 각 용매별 추출물의 공액이중산가도 에틸아세테이트추출물(EaEx)과 클로로포름추출물(ChEx)이 높았으며 이들의 항산화 효과는 TBHQ보다는 낮았으나 BHT, tocopherol과 비교하였을 때 거의 유사하거나 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감귤과피 추출물은 우수한 항균력을 보여주었고 농도가 상승함에 따라 항균효과도 상승하였으며 이 효과는 그램 양성, 음성균주에서 고르게 나타나 천연 항균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감귤 과피는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활성이 높아 항산화효과와 항균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나 감귤 과피의 기능성 이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되며 감귤 가공 후 생기는 부산물들의 식품산업에서의 유용성도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추출방법과 감마선 조사에 따른 귤피 추출물 생리활성의 변화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itrus Peel Extracts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and Gamma Irradiation)

  • 강호진;조철훈;김덕진;서재수;변명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88-393
    • /
    • 2003
  • 가공 과정에서 대량 발생하는 폐기물 중 하나인 귤피를 천연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추출방법을 달리한 귤피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감마선 조사에 의한 귤피 추출물의 생리활성 변화에 관하여도 관찰하였다. 정치추출의 경우 열수추출에 비해 초기 L$^{*}$ 값이 낮은 반면 a$^{*}$ 값과 b$^{*}$ 값이 높았으나 저장기간 또는 감마선 조사에 의해 차이가 없어졌으며, 감마선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귤피추출액의 L$^{*}$ 값과 a$^{*}$ 값은 증가하였으며, b$^{*}$ 값은 감소하였다. 전자공여능, tyrosinase 저해효과, nitrite 소거능은 감마선 조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저장기간동안 이러한 생리활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출방법(열수 vs 정치)에 따른 귤피 추출물의 생리활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감마선 조사는 천연물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경제적인 추출방법을 선택한다면 감귤가공후 폐자원인 귤피를 다양한 용도의 기능성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Aspergillus oryzae로 생물전환한 감귤박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Citrus Peel Extract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 전현주;유선녕;김상헌;박슬기;최현덕;김광연;이선이;전성식;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827-836
    • /
    • 2014
  • 서구화된 식습관의 변화와 편리한 생활에 따른 운동 부족, 유전적 요인, 심리적 요인 등이 복잡하게 얽히면서 비만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감귤류에는 carotenoid, coumarin, phenylpropanoid, limonoid 등 60여종의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감귤박에는 bioflavonoid, carotenoid, hesperidin, terpenes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감귤박은 항산화 효과, 고혈압 예방, 혈중 LDL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 효과 등이 있음이 보고되어 있고 최근 들어 감귤박의 비만을 억제하는 효능이 밝혀져 항비만 효과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으로 유도한 비만모델 ICR 생쥐에서 Aspergillus oryzae로 발효한 감귤박의 증강된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생쥐의 체중변화와 조직의 무게변화를 관찰하였고, 그룹별 혈청 지질 농도, 간 지질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고지방식이 투여군(HFD)에 비해 감귤박 추출물 투여군(CP)과 감귤박 발효 추출물 투여군(CPA)은 체중 증가량과 증체율이 감소하였고, 혈청과 간의 total cholesterol (TG), triglyceride (TC)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한편, 유익한 cholesterol로 알려진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함량은 일반식이 투여군(NFD)과 CPA 투여군이 비슷하였다. CP 투여군과 CPA 투여군의 조직 무게에서도 HFD 투여군보다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CPA 투여군에서 특히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천연염직물을 이용한 작품디자인 연구 (The Use of Natural Dye Fabrics to Design of Works)

  • 정진순
    • 복식
    • /
    • 제52권2호
    • /
    • pp.91-101
    • /
    • 2002
  • In order to development of culture goods I made works with various color's silk fabrics dyed with water extract or methanol extract of plants. The Plants used for dyeing as dyeing material were indigo, safflower, amur cock tree, onion's Peel, citrus peel, mugwort, gromwell, sappan wood. Each of Plants were extracted by each of temperature and time. The mordants used for various color chanties are aluminium sulfate, cupric acetate mono hydrate, ferrous chloride. With fabrics of various color dyed like this I made works which give expression to an easy and natural image of the Korean nation of fabrics.

청피 에탄올 추출물이 스트레스성 카테콜아민으로 유도한 간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하는 효과 및 기전 연구 (Inhibition of Adrenergic Agonists-induced Metastatic Ability of Liver Cancer Cells by Ethanol Extract of Premature Citrus Unshiu Peel)

  • 박신형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0-15
    • /
    • 2024
  • Previous studies have highlighted the pivotal role of the β-adrenergic receptor (β-AR) signaling pathway in stimulating cancer metastasis induced by chronic stress. According to the theory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chronic stress can induce Qi stagnation. Based on the traditional role of premature citrus unshiu peel in moving Qi, we hypothesized that an ethanol extract of premature citrus unshiu peel (EPCU) can attenuate chronic stress-induced cancer progress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role of EPCU on modulating the adrenergic agonists-induced metastatic properties of liver cancer cells. Our findings revealed that adrenergic agonists, including norepinephrine (NE), epinephrine (E), and isoproterenol (ISO), augmented the migratory capacity of Hep3B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which was completely abrogated by EPCU treatmen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onsistently, EPCU inhibited the E-induced invasive property of Hep3B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EPCU efficiently attenuates adrenergic agonists-induced metastatic abilities of liver cancer cells. As a molecular mechanism, EPF suppressed the phosphorylation of major components of β-AR signaling pathway, including Src,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STAT3) and ERK, induced by E treatment. Taken together,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EPCU impedes the adrenergic agonists-driven metastatic potential of cancer cells by inhibiting β-AR signaling pathway. This study provides basic evidence supporting the probable use of premature citrus unshiu peel to prevent metastasis in liver cancer patients under chronic stress.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에서 진피 에탄올추출물이 혈청지질 및 체지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itrus Peel Ethanol Extract on the Serum Lipid and Body Fat of High-fat-diet-fed Rats)

  • 박창호;정희경;정유석;홍주헌;이기동;박치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67-574
    • /
    • 2011
  • 고지방식이로 비만 및 고지혈이 유발된 실험동물에서 체중, 혈중지질, 체지방, 혈청생화학적 검사 및 장기무게를 측정하여 진피에탄올추출물 섭취로 인한 혈중지질 개선, 체지방 감량 및 시험물질의 간기능 및 장기무게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체중 및 사료이용효율은 고지방식이에 의해 대조군에서 증가현상을 보였으며, 진피 에탄올추출물 섭취군인 O1과 O5군에서 시험물질 섭취로 인한 체중증가량 감소와 식이효율 감소현상을 보였다. 혈청 생화학적 검사에서 고지방식이에 의해 혈중 ALT, AST, 총단백의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진피에탄올추출물 섭취에 의해 정상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혈중 creatinine과 ${\gamma}$-GT의 경우 고지방식이 및 시험물질 섭취에 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시험기간중 혈중지질 변화는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triglyceride, 동맥경화지수(AI) 모두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의적인 증가현상을 보였으며, 진피에탄올 추출물 섭취로 인한 혈중지질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0.1% 진피에탄올추출물 섭취군인 O1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총콜레스테롤과 동맥경화 지수를 유의한 수준으로 떨어뜨렸으며, 0.5% 진피에탄올추출물 섭취군인 O5에서는 총콜레스테롤 및 triglyceride 수준이 정상군 수준에 가까운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고, LDL-콜레스테롤 및 동맥경화지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개선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방식이에 의한 체지방 변화는 정상군과 비교할 때 유의적인 증가현상을 보였으며, 0.1%, 0.5% 진피에탄올추출물 섭취로 인한 후복강 지방조직 및 부고환 지방조직에서는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0.5% 진피에탄올 추출물에서 내장지방 무게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진피에탄올추출물 섭취에 의한 혈중지질 개선 및 체지방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ntioxidative Properties and Flavonoids Contents of Matured Citrus Peel Extracts

  • Shin, Dong-Bum;Lee, Dong-Woo;Yang, Ryung;Kim, Jin-Ah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3호
    • /
    • pp.357-362
    • /
    • 2006
  • We assessed various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radical scavenging effect, along with antioxidant capacity, of soybean oil with added Citrus species peel extracts (CPEs). These extract oils showed higher radical scavenging effects than grape fruit seed extract, the natural antioxidant agent, did. When CPEs were added to soybean oil, they showed peroxide value (POV) and acid value (AV) increasing inhibition effects. Furthermore, none of the CPEs showed any cytotoxicity over the tested concentration range of 0.01-100 ppm. The major flavonoid contents of Citrus junos, as determined by HPLC, were naringin ($7.5\;{\mu}g/mg$) and neohesperidin ($7.5\;{\mu}g/mg$), and those of Citrus unshiu were narirutin ($3.13\;{\mu}g/mg$) and hesperidin ($1.97\;{\mu}g/mg$). However, the aglycone form was not found. This study showed that CPEs might be a potent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 without any toxic effects.

영귤(Citrus sudachi) 과즙과 과피 용매 추출물의 항균 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Citrus sudachi Juice and Peel)

  • 김영동;김유진;오세욱;강영주;이영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613-1618
    • /
    • 1999
  • 영귤(Citrus sudachi) 중의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하여 영글 과즙 및 과피를 hexane, acetone, ethyl acetate과 methanol로 추출하여 그램 양성 세균 14종과 그램 음성 세균 4종을 사용하여 항균 효과를 측정한 결과 영귤 과즙 추출물은 과피 추출물보다 항균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그 중 영귤 J-A추출물이 가장 강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B. subtilis, E. coli O157 : H7에 대하여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영귤J-A추출물의 첨가 농도(0, 0.5, 1, 1.5, 2. 2.5%)에 따른 항균 효과를 조사한 결과, 모든 실험균이 1%(v/v) 첨가 농도 미만에서 생육이 지연되었으며, B. subtilis는 0.5%, P. fragi는 1%, L. Monocytogenes와 E. coli는 0.5%, P. fragi는 1%, L. monocytogenes와 E. coli O157 : H7은 1.5%, P. acnes와 S. typhimurium은 2%, S. aureus는 2.5% 첨가 농도에서 생육이 정지되었다. 영귤 J-A 추출물의 항균력은 동정되지 않은 천연항균 물질과 citric acid의 상승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열수추출 및 효소처리에 따른 감귤 과피 추출물의 기능성성분 수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Yield of Functional Components of Citrus Peel Extracts using Optimized Hot Water Extraction and Enzymatic Hydrolysis)

  • 노정은;윤성란;임애경;김혜정;허담;김대익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1-55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itrus peel extracts with different hot water extraction and enzymatic hydrolysis conditions. Enzymatic hydrolysis was also employed using Viscozyme L and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at of optimized hot water extract. Hot water extraction was performed under different parameters; the sample to solvent ratio(1:20, 1:15, 1:10), extraction time(2, 4 hrs), extraction temperature(85, $95^{\circ}C$) and enzymatic hydrolysis(0, 1%) and the subsequent extracts were used for determining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total yield,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With the increase in the sample to solvent ratio and extraction time, total yield,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and EDA increased. But extraction temperatur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hot water extract. As hot water extract was hydrolyzed by the enzyme, total yield and active ingredients increased rapidly. In the result of total yield,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and EDA, the activity of enzyme-treated extract was higher than those of enzyme-untreated extract. Based upon the overall hot water extraction efficiency, it was found that 20 times volume or 120 min at a time at $95^{\circ}C$ after enzyme treatment was optim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