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rus Hallabong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9초

Comparative Analyses of the Flavors from Hallabong (Citrus sphaerocarpa) with Lemon, Orange and Grapefruit by SPTE and HS-SPME Combined with GC-MS

  • Yoo, Zoo-Won;Kim, Nam-Sun;Lee, Dong-S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5권2호
    • /
    • pp.271-279
    • /
    • 2004
  • The aroma component of Hallabong peel has been characterized by GC-MS with two different extraction techniques: solid-phase trapping solvent extraction (SPTE) and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HSSPME). Aroma components emitted from Hallabong peel were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citrus varieties: lemon, orange and grapefruit by SPTE and GC-MS. d-Limonene (96.98%) in Hallabong was the main component, and relatively higher peaks of cis- ${\beta}$-ocimene, valencene and -farnesene were observed. Other volatile aromas, such as sabinene, isothujol and ${\delta}$-elemene were observed as small peaks. Also,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was employed to distinguish citrus aromas based on their chromatographic data. For HSSPME, the fiber efficiency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partition coefficient ($K_{gs}$Kgs) between the HS gaseous phase and HS-SPME fiber coating, and the relative concentration factors (CF) of the five characteristic compounds of the four citrus varieties. 50/30 ${\mu}$m DVB/CAR/PDMS fiber was verified as the best choice among the four fibers evaluated for all the samples.

가온재배한 한라봉 감귤의 성분분석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allabong Tangor(Citrus Kiyomi ${\times}$ ponkan) Cultivated with Heating)

  • 김화선;이상협;고정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11-615
    • /
    • 2006
  • 가온재배한 한라봉감귤의 물리화학적 성분특성을 검토하였다. 수분 함량은 한라봉과 M16A에서 각각 87.42%와 88.12%, 총당은 8.01%와 7.81%, 산 함량은 1.09%와 0.99 %이었다. 비타민 C 함량은 한라봉과 M16A에서 각각 72.01 와 68.01 mg/100g으로 온주밀감에 비하여 매우 높았다. 무기물 함량 중에 K는 한라봉은 1369.33 mg/100g으로 M16A 의 938.33mg/100g에 비해 높았으며, 한라봉은 K > P > Ca > Mg > Na, M16A는 K > Ca > P > Mg > Na 순으로 높았다. 유리당 함량은 한라봉과 M16A에서 각각 sucrose가 3.60%와 4.36%로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fructose와 glucose가 각각 2.22%와 1.90%, 1.94%와 1.65%였다. 유기산은 citric acid가 전체의 $69.88{\sim}82.32%$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M16A의 경우 malic acid함량이 온주밀감에 비해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flavonoid 함량은 품종간에 다소의 차이는 있었으나 다른 감귤류와는 달리 hesperidin과 narirutin이 주로 함유되어 있었다.

가온재배한 한라봉감귤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Hallabong Tangor(Citrus Kiyomi ${\times}$ ponkan) Cultivated with Heating)

  • 이상협;김화선;조성원;이중석;고정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38-542
    • /
    • 2006
  • 가온재배한 한라봉감귤의 분포도, 물리화학적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한라봉은 과중 $250{\sim}400g$이 90%를 차지하는데 비하여, 한라봉 변이종인 M16A 품종에서는 나무나이가 어리고 열매솎기의 영향으로 결실 정도가 낮아 $400{\sim}450g$을 중심으로 한 큰 과일의 분포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M16A의 과일크기가 한라봉에 비하여 컸지만 껍질두께는 오히려 3.29mm로 한라봉의 3.51mm에 비해 얇고 과육과 밀착되어 있었다. 중간 위치에 달려있는 한라봉의 경도가 832.8 g-force에 비하여 M16A가 994.7 g-force로 높아 단단한 형태를 보였으며, 과육율도 3% 정도 높았다. 당도와 산 함량은 한라봉이 $12.20{\sim}12.98^{\circ}Brix$$1.08{\sim}1.14%$, 그리고 M16A가 $1.48{\sim}12.63 ^{\circ}Brix$$0.92{\sim}1.00%$이었다. 비타민 C 함량은 한라봉에서 $71.30{\sim}78.77mg/100g$, 그리고 M16A에서 $64.40{\sim}68.01mg/100g$이었다. 과육의 위치에 따라 성분 함량이 차이가 있었으며, 밑 부분으로 갈수록 당도가 높았다. 상부에 달려있는 과일은 크기가 컸으며 껍질이 두껍고 과육율이 낮았으며 경도도 높았다. 그리고 당도와 산 함량이 모두 높았으며, 이는 일조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결과로 보인다.

포장재 처리에 따른 한라봉 감귤의 저장 중 품질변화 (Changes in Fruit Quality of Hallabong Tangor (Citrus kiyomi ${\times}$ ponkan) by Film Packaging during Storage)

  • 이상협;김종현;정희찬;고정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85-190
    • /
    • 2008
  • 한라봉감귤의 Si+CaO 혼합필름포장과 LDPE 필름포장에 따른 저장 중에 품질변화를 검토하였다. 과육율은 포장처리와 무처리에서 $74.33{\pm}3.66{\sim}81.56{\pm}1.38%$로 저장기간에 따른 한라봉과 M16A의 과육율의 변화가 없었으며, 무처리에서 저장 후기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경도는 M16A가 한라봉보다 100 g-force 정도 높은 값을 보였으며, 포장재처리에 따른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가용성고형물은 한라봉과 M16A 모두 $12-14^{\circ}$Brix였으며, 무포장처리에서 저장 후기에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산 함량은 M16A가 한라봉보다 0.2% 정도 낮은 함량을 보였다. 소비자의 기호에 알맞은 저장을 하기 위해서는 한라봉은 120일, M16A는 60일 이내로 저장하는 것이 알맞다고 판단된다. 환원당은 한라봉이 M16A보다 1% 정도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큰 변화는 없었다. 상온저장에서 비교적 높은 환원당 함량을 나타냈고, 포장처 리보다는 무포장처리에서 비교적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당은 한라봉과 M16A 모두 포장재처리와 저장조건에 관계없이 $9.19{\pm}2.03{\sim}12.78{\pm}0.75%$ 였으며, 한라봉이 M16A보다 함량이 비교적 높은 편이였다. 비타민 C변화는 포장처리에 관계없이 저장 초기에는 일정한 함량을 보이다가 저장 105일 이후에서 서서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한라봉감귤의 저장은 성분의 변화가 적은 저온저장에서 LDPE 포장처리보다는 Si+CaO 혼합필름 포장처리를 함으로써 한라봉은 120일, M16A는 90일 이내로 저장하는 것이 신선도와 품질유지에 알맞을 것이라 판단된다.

제주산 감귤류의 영양성분 함량 비교 (Comparison of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3 kinds of Citrus produced on Jeju Island, Korea)

  • 이성현;박흥주;백오현;전혜경;이승교;이건순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5-20
    • /
    • 2005
  • To identify and compare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different kinds of citrus, three examples (Citrus fruit, Kumquat, and Hallabong) were taken from Jeju island in Korea at the same time and their nutritional compositions were measured using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OAC) method. The proximate components (moisture, protein, fat, fiber, ash, and carbohydrates), mineral and vitamin contents were measured. The Nutrient composition reveale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itrus. The Citrus fruit has more moisture and Fe content than those of the Kumquat. The Kumquat contained more ash, Ca, Na, Mg, Zn, Vitamin A, and B1 than the other Citrus specimens, while the Hallabong had the most protein and Fe. However, fiber, K, Vitamin B₂, C and niacin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pecimen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three kinds of citrus used in this study have different nutritional compositions, but they can all be used as a good food for supplementation of K, vitamin A and C. We hope the nutritional analysis of Citrus specimens will be helpful in meeting the consumer's interest in these Citrus, and increase the export of our Citrus produce.

  • PDF

Bioconverted Jeju Hallabong tangor (Citrus kiyomi × ponkan) peel extracts by cytolase enhanc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capacity in RAW 264.7 cells

  • Chang, Yun-Hee;Seo, Jieun;Song, Eunju;Choi, Hyuk-Joon;Shim, Eugene;Lee, Okhee;Hwang, Jinah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2호
    • /
    • pp.131-138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Citrus and its peels have been used in Asian folk medicine due to abundant flavonoids and usage of citrus peels, which are byproducts from juice and/or jam processing, may be a good strategy.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ioconversion of Jeju Hallabong tangor (Citrus kiyomi ${\times}$ ponkan; CKP) peels with cytolase (CKP-C) in RAW 264.7 cells. MATERIALS/METHODS: Glycosides of CKP were converted into aglycosides with cytolase treatment. RAW 264.7 cells were pre-treated with 0, 100, or $200{\mu}g/ml$ of citrus peel extracts for 4 h, followed by stimulation with $1{\mu}g/ml$ lipopolysaccharide (LPS) for 8 h. Cell viabil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din $E_2$ ($PGE_2$) production were examined. Real time-PCR and western immunoblotting assay were performed for detection of mRNA and/or protein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and cytokines, respectively. RESULTS: HPLC analysis showed that treatment of CKP with cytolase resulted in decreased flavanone rutinoside forms (narirutin and hesperidin) and increased flavanone aglycoside forms (naringenin and hesperetin). DPPH scavenging activities were observed in a dose-dependent manner for all of the citrus peel extracts and CKP-C was more potent than intact CKP. All of the citrus peel extracts decreased NO production by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ctivity and $PGE_2$ production by COX-2. Higher dose of CKP and all CKP-C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LPS-stimulated iNOS. Only $200{\mu}g/ml$ of CKP-C markedly decreased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Both 100 and $200{\mu}g/ml$ of CKP-C notably inhibited mRNA levels of $interleukin-1{\beta}$ ($IL-1{\beta}$) and IL-6, whereas $200{\mu}g/ml$ CKP-C significantly inhibited mRNA levels of $TNF-{\alpha}$. CONCLUSIONS: This result suggests that bioconversion of citrus peels with cytolase may enrich aglycoside flavanones of citrus peels and provide more potent functional food materials for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attributable to oxidation and inflammation by increasing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uppressing pro-inflammatory mediators and cytokines.

한라봉의 소비자 선호도 조사를 통한 객관적 품질등급 기준 설정 (Setting the Hallabong Tangor's Quality Standards based on Consumer Preference Survey)

  • 고성보;현창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2996-3005
    • /
    • 2011
  • 본 연구는 한라봉의 소비자 선호도 조사를 통하여 객관적인 품질등급 기준을 설정하는데 있다. 지금까지 한라봉의 품질등급은 선과기를 이용한 크기에 따른 상품 구별과, 농 감협과 일부 영농 법인에서 비파괴 선과기를 이용하여 선별되어진 자체적인 브랜드에 준하여 품질등급을 제시하여 왔다. 그 등급 설정은 과학적 객관적이거나, 소비자의 니즈에 의한 것이 아니라 편의에 위한 관행적 등급으로 판단된다. 그 등급 내용을 보면 당도 $13^{\circ}Bx$ 이상, 산1.0% 이하로 일률적으로 적용하여 사용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라봉의 소비자 선호도 조사를 통한 소비자 만족도에 근거하여 당도 5등급, 산도 7등급으로 총 35개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등급에서 5등급까지의 5개의 등급을 설정하고 상품(1~3등급)과 비상품(4~5등급)으로 구분하였다.

한라봉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제빵 특성과 소비자 검사 (Quality and Consumer Perception of White Bread Baked with Hallabong Powder)

  • 빙동주;전순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306-312
    • /
    • 2013
  • 한라봉 분말 2%, 4%, 6% 및 8%를 대체한 식빵을 제조하고 물리적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식빵 반죽의 pH는 대조군이 5.65를 나타내었고 한라봉 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총산도는 이와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죽의 발효 팽창력은 실험군 모두 시간이 지날수록 발효 팽창력이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p<0.05), 60분에서 대조군이 98.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빵의 비용적과 굽기 손실률은 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p<0.05). 식빵의 수분함량은 실험군이 40.61~41.83%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수분활성도는 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식빵 crust의 명도는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황색도는 2% 대체군이 가장 높은값을 나타냈다. Crumb의 명도는 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적색도와 황색도는 유의적으로 높아졌다(p<0.05). 조직감 측정에서는 견고성과 부서짐성은 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p<0.05). 관능검사 결과는 분말 대체량이 증가함에 따라 귤향, 쓴맛, 떫은맛 및 이취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또한 색, 향, 부드러움 및 종합적인 기호도에서는 대조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2%와 4% 대체군은 보통 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었다. 종합적인 실험 결과, 한라봉 분말을 첨가한 식빵 제조 시 2~4%로 대체가 최적 배합비로 사료되었다.

제주산 한라봉 과피 추출물의 지방세포에서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Jeju Hallabong Tangor (Citrus kiyomi${\times}$ponkan) Peel Extracts in 3T3-L1 Adipocytes)

  • 임희진;서지은;장윤희;한복경;정중기;박수범;최혁준;황진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688-1694
    • /
    • 2014
  • 본 연구는 한라봉 과피 추출물과 효소 처리시킨 한라봉 과피추출물의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의 항비만 효과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Cytolase를 이용한 플라보노이드 형태 전환으로 한라봉 과피 추출물에 다량 존재하던 narirutin이 naringenin으로 또는 hesperidin이 hesperetin으로 변환되었다. 지방전구세포에 분화배지와 함께 10일간 HLB와 HLB-C, 양성대조군으로 Sinetrol을 다양한 농도로 처리한 결과 모든 세포군에서 0.5 mg/mL 농도에서는 세포생존율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기 때문에 적정 처리 농도를 0.5 mg/mL로 확정하였다. Oil red O 염색을 통해 지방세포의 분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 양성대조군인 Sinetrol 처리군 보다 같은 농도의 HLB와 HLB-C 처리군이 분화를 억제시켰다. 지방세포 분화 억제의 분자생화학적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분화 관련 유전자와 단백질 발현을 RT- PCR과 western blotting을 통해서 실험한 결과, 0.5 mg/mL 농도의 HLB와 HLB-C 처리군에서 대조군과 Sinetrol군에 비해 $C/EBP{\alpha}$, SREBP1c의 유전자가 감소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고 $C/EBP{\alpha}$$PPAR{\gamma}$의 단백질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미 형성된 지방세포의 분해 작용에 HLB와 HLB-C가 영향을 주는지 평가하기 위해 완전히 분화된 지방세포에 24시간 동안 0.5 mg/mL의 농도로 처리한 결과 Sinetrol과 HLB는 지방분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HLB-C는 지방세포의 분해 작용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실험 결과들은 한라봉 과피 추출물이 지방세포 분화 억제와 지질분해 활성이 있고 이는 cytolase로 효소 처리를 할 경우에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오히려 지질분해 활성은 감소하였다. 한라봉 과피 추출물의 in vitro 상에서 검증된 항비만 효능이 향후에 in vivo 상에서 지방분화 억제와 지방분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향후 한라봉뿐 아니라 다른 감귤류를 이용하여 다양한 probiotics 미생물에 존재하는 효소와 다른 상업화 효소 등을 통한 물질전환 효과를 비교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한라봉 감귤 과립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itrus Hallabong Granules)

  • 이충우;김미보;오영주;임상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37-543
    • /
    • 2014
  • 한라봉 감귤을 이용한 가공제품의 다양화 방안으로 감귤을 건조한 후 분말 과립화하여 간편 편의식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한라봉 감귤 주스 분말 70%, 착즙박 분말 10%, 첨가물 6.92%로 고정하였고, 한라봉 감귤 주스와 구연산의 비율 (J10C3=10.0:3.08, J08C4=8.75:4.33, J07C5=7.5:5.58)을 달리하여 세 가지 과립을 제조한 후 물리화학적 특성과 유동성을 측정하여 시판 제품과 비교하였다. 수분 함량은 5.08~5.44%로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대조구인 시판 제품에 비해 약 2배 높았다. 적정산도는 4.35~5.88%로 구연산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시판 제품에 비해 약 1.7~2.3배 낮았다. 당도는 $90{\sim}98^{\circ}Brix$로 감귤 주스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시판 제품에 비하여 다소 낮은 값을 보였다. 비타민 C 함량은 1.22~1.60 g/100 g으로 감귤 주스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시판 제품에 비하여 약 5.8~7.6배 낮았다. 색도는 시판 제품에 비하여 L값과 b값에서는 높았지만 a값은 낮았다. 겉보기 밀도는 0.541~0.660 g/mL로 한라봉 감귤 주스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감소하였으며, 시판 제품과 유사하였다. 다짐 밀도는 0.561~0.689 g/mL로 구연산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시판 제품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물에 대한 용해도는 66.6~72.0%이었고, 물에 의한 팽윤력은 3.84~6.40 g/g으로 시판 제품과 유사하였다. 한 시간 경과 후 흡습량은 시판 제품에 비하여 1.6~1.8배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시제품은 색, 단맛,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는 시판 제품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향과 쓴맛에 있어서는 유의적으로 기호도가 낮았다. 결론적으로 한라봉 감귤 유동층 건조 주스 분말과 동결건조 착즙박 분말을 이용하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과립 타입의 유사한 제품화가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