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nnamic acid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5초

은행(Ginkgo biloba L.) 종실 및 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에 관하여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Extract of Nut and Leaf of Ginkgo biloba L.)

  • 배지오;이기동;김정숙;윤형식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9권
    • /
    • pp.61-69
    • /
    • 1991
  • 탈지 은행 종실 및 잎에서 유리페놀산, 에스터형 및 불용성 페놀산을 추출하여 식용 옥수수유 기질에서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고자 0.02%(w/w)의 BHA, BHT와 각 추출물 $1m{\ell}$(2% w/w)를 넣어 $45{\pm}1^{\circ}C$의 항온기에서 45일간 저장하면서 매 5일 간격으로 과산화물가, TBA가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이 항산화 효과를 추정하였다. BHA, BHT와 은행 종실의 유리페놀산, 에스터형 및 활용성 페놀산, 잎의 유리페놀산, 에스터형 및 불용성 페놀산 추출물을 첨가한 시험구와 대조구의 45일 저장후 과산화물가는 각각 133, 52, 115, 190, 127, 95, 140, 121, 280meq/kg, oil이었다. 한편 같은 조건하에서 각 항산화성 물질의 TBA가는 0.153, 0.059, 0.175, 0.260, 0.187, 0.160, 0.1 74, 0.195 0.430이었다. G.C.로 분리 확인된 페놀산은 은행 종실 및 잎 공히 Vanillin, ${\rho}$-Hydroxybenzoic acid, Syringic acid, Gallic acid, Protocatechuic acid가 확인되었고 은행 종실에서는 trans-Cinnamic acid, Caffeic acid가, 잎에서는 Coumaric acid, Gentisic acid, Phloroglucinol, Pyrogallol이 각각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은행 종실 및 잎의 페놀산은 식용 옥수수유 기질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흑오미자의 성분분석 (Chemical Compositions of Schizandra nigra Maxim.)

  • 현규환;김학진;신수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5-40
    • /
    • 2000
  • 흑오미자를 대상으로 성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기산함량은 42.179mg%였으며, 주로 함유되어 있는 유기산은 malic acid와 citric acid로 각각 33,691ppm과 3,330.5ppm이었다. 2. 총페놀함량은 1.560%였으며 주로 페놀산 Ester와 불용성결합형 페놀산이 함유되어 있었고 구성페놀산은 chlorogenic acid, coumalic acid, gentisic acid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3. 총지질함량은 160.5mg/g dry weight 였으며 주로 중성지질이 많았고 불포화지방산이 포화지방산 보다 3배 정도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불포화 지방산중에서는 linoleic acid와 oleic acid가 주로 함유되어 있었고, 포화지방산으로는 palmitic acid가 가장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4. 정유성분으로는 caryophyllene, calarene, cubebene, acoradiene 그로고 $\beta$-himachalene 등의 성분이 발견되었다.

  • PDF

Tyrosinase Inhibition and Mutagenicity of Phenolic Compounds from Mulberry Leaves - Research Note -

  • Kim, Young-Chan;Takaya, Yoshiaki;Chung, Shin-Ky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2권2호
    • /
    • pp.119-121
    • /
    • 2007
  • The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nd mutagenicity as assessed by the Ames test on phenolic antioxidants (5-Caffeoyl quinic acid, 3,4-Dihydroxy cinnamic acid, Quercetin 3-O-${\beta}$-D-glucopyranose, Kaempferol 3-O-${\beta}$- D-glucopyranose) and the ethyl acetate fraction isolated from mulberry leaves were examined. The ethyl acetate fraction and chlorogenic acid exhibited weake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than kojic acid. In addition, the ethyl acetate fraction from mulberry leaves, containing phenolic antioxidants, showed no mutagenicity by the Ames test.

오미자 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rmining Chemical Compositions of Schizandra chinensis)

  • 현규환;김학진;정현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
    • /
    • 2002
  • 오미자를 대상으로 성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기산함량은 42.179mg%였으며, 주로 함유되어 있는 유기산은 malic acid와 citric acid로 각각 33,691ppm과 3,330.5ppm이었다. 2. 총페놀함량은 1.560%였으며 주로 페놀산 Ester와 불용성결합형 페놀산이 함유되어 있었고 구성페놀산은 chlorogenic acid, coumalic acid, gentisic acid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3.총지질함량은 160.5mg/g 건물량 였으며 주로 중성지질이 많았고 불포화지방산이 포화지방산보다 3배 정도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불포화지방산 중에서는 linoleic acid와 oleic acid가 주로 함유되어있었고, 포화지방산으로는 palmitic acid가 가장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4. 정유 성분으로는 caryophyllene, calarene, cubebene, acoradiene 그리고 $\beta$-himachalene 등의 성분이 발견되었다.

Stevia rebaudiana Bertoni의 Steviol 생합성 효소 ent-Kaurenoic Acid 13-Hydroxyl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ent-Kaurenoic Acid 13-Hydroxylase in Steviol Biosynthesis of Stevia rebaudiana Bertoni)

  • ;김근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6호
    • /
    • pp.501-507
    • /
    • 1997
  • 파라과이 원산의 국화과 식물 Stevia rebaudiana Bertoni는 steviol (ent-13-hydroxy kaur-16-en-19-oic acid)을 기본 골격으로 하는 stevia 감미료를 건물 중량의 5-10%를 생합성하여 축적을 한다. 감미성분은 Gibberellin 생합성의 전구체로 알려진 ent-kaurenoic acid (ent-kaur-16-en-19-oic acid; ent-KA)의 7번과 13번의 어느 탄소에 hydroxylation을 시키느냐에 따라 gibberellin 대사와 steviol 대사로 나뉘어진다. ent-KA 13-hydroxylase를 stevia 엽록체의 stroma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Stroma 분획 단백질 $100\;{\mu}g$으로 효소 반응의 cofactor 요구성을 조사해 본 결과, 반응 혼합액에 NADPH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는 85%의 효소활성의 감소를 보였고, NADPH 대신 NADH를 첨가해도 34%의 감소를 보였다. anaerobic 조건에서는 2.1%의 활성을 뛰었다. 이 결과로 ent-KA 13-hydroxylase는 NADPH와 $O_2$ 요구성임을 밝혔다. FAD, FMN, riboflavin을 첨가함으로써 FAD는 1.5배, riboflavin은 1.7배의 효소활성 증가 효과가 나타났다. 효소의 기질 특이성을 조사한 결과, t-cinnamic acid, 4-hydroxyphenyl acetic acid, choline과 resorcinol에는 전혀 활성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14)C]-methyl-KA$를 ent-KA 대신에 기질로 사용했을 때는 16.7% 의 활성이 검출되어 ent-KA 13-hydroxylase는 기질특이성이 높은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국내산 아까시나무와 밤나무 유래 propolis의 영양성분 및 페놀성 화합물 분석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Phenolic Compound in Propolis Collected from Falseacacia and Chestnut Tree in Korea)

  • 송효남;길복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46-551
    • /
    • 2002
  • 국내에서 채집되는 propolis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아까시나무와 밤나무를 밀원 식물로 하여 채집된 propolis와 그의 70% ethanol 추출물(EEP)에 대한 영양성분 및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밀원식물에 따른 큰 차이 없이 비슷한 분포를 보였고, EEP의 경우 propolis 분말에서보다 대부분의 성분들이 상당량 감소되었다. 주요 무기질 5종은 일반성분과는 달리 채집지역과 수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고, 대체로 아까시나무의 propolis가 무기물 함량이 많았다. 아까시나무의 propolis에는 칼슘함량이 가장 많았고, 밤나무 propolis는 칼륨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반면에 EEP에서는 두 시료 모두 칼륨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아미노산은 총 16종이 검출되었고, aparagine, cysteine, glutamine 및 tryptophan은 검출되지 않았다. 특히 밤나무 propolis에서는 methionine도 검출되지 않았다. Aspartic acid가 가장 많았고, methionine의 함유량은 극히 적었으며, 아까시나무 propolis가 아미노산 함유량이 전반적으로 더 높았다. 추출수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 EEP의 total polyphenol 함량은 $13.9{\sim}23.7%$였고, propolis의 phenolic fraction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성분인 flavonoids 함량은 $8.6{\sim}10.8%$로 나타나 다른 식품재료에 비하여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고성능 박막크로마토그래피로 페놀성 화합물을 정성분석한 결과 시료종류에 상관없이 거의 동일한 pattern의 chromatogram을 나타내었다. Polyphenol 화합물의 HPLC 분석에서는 약 16개의 peak가 검출되었고, 이중 p-hydroxy benzoic acid, caffeic acid, ferulic acid, benzoic acid, cinnamic acid 및 chrysin의 6종을 동정하였다. 시료간의 chromatographic pattern은 동일하여 propolis를 구성하는 페놀성 화합물의 종류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벼에서 Bentazon 히드록시화반응에 관련된 Cytochrome P-450 활성(活性) 증진(增進)에 관한 연구(硏究) (The Enhancement of Cytochrome P-450 Mediated Aryl Hydroxylation of Bentazon in Rice Microsomes)

  • 변종영;넬슬 발키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9-65
    • /
    • 1997
  • Bentazon이 첫 분해대사물질인 6-hydroxy bentazon으로 변화하는데 관련하는 cytochrome P-450 활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벼 microsome에서 hydroxylase 효소 유기물질을 처리하여 bentazon 6-hydroxylase(B6H)와 식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cinnamic acid 4-hydroxylase(CA4H) 효소를 대조하여 효소활성을 검정하였다. 1,8-naphthalic anhydride 0.5-2% 농도를 벼 종자에 분의처리하거나 fenclorim 5, 10${\mu}M$을 벼종자에 침지처리함에 따라 B6H와 CA4H 효소 활성이 증대되었다. Ethanol 2.5%를 벼 유묘에 처리함으로써 B6H와 CA4H 활성이 증대되었으며, phenobarbital 12mM 처리에서 B6H 활성이 증대되었고 phenobarbital 2mM 처리에서는 CA4H 활성이 증대되었다. B6H 효소활성은 ethanol 2.5, 5%와 phenobarbital 8, 12mM 혼합 처리 또는 1,8-naphthalic anhydride 0.5, 1%와 phenobarbital 8, 12mM 혼합처리에서 상승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A4H 효소는 혼합처리에 의하여 활성이 저하되었다. 한편 벼 5 일묘에서는 B6H와 CA4H 활성 이 가장 높았으며 묘령이 진전될수록 효소활성은 현저히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

파라-쿠마린산의 자외선B 차단 효과 (UVB-Shielding Effects of para-Coumaric Acid)

  • 송교선;부용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63-273
    • /
    • 2012
  • 최근 연구에서 잠재적 피부 색소침착 경감제로서 파라-쿠마린산(PCA)의 주목되는 특성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물질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탐구하는 것이다. 자외선에 노출된 HaCaT 세포의 생존율에 대한 PCA의 영향을 in vitro에서 조사하고,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이 유사한 방향성 아미노산 대사물들의 작용과 비교하였다. In vivo시험으로는 PCA 크림(1.5 %)과 크림 베이스를 SKH-1 무모 쥐의 등 피부에 도포하고 UVB에 의한 염증 반응으로 나타나는 피부색(홍반) 및 두께 변화(부종)를 측정하였다. 크림 도포-자외선 조사는 2일 간격으로 총 12회 반복하였다. HaCaT 세포를 UVB에 노출시켰을 때 광량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자외선 노출(10 mJ $cm^{-2}$)에 의한 세포 생존율감소는 100 ${\mu}M$의 PCA, cinnamic acid, urocanic acid, 그리고 indole acrylic acid에 의해 각각 39, 27, 39, 31 %가 억제되었다. 무모 쥐의 등 부위에 도포된 PCA크림(10 ${\mu}g\;cm^{-2}$)은 자외선(150 mJ $cm^{-2}$)-노출 피부의 색 지수, 즉 $L^*$, $a^*$$b^*$ 값, 그리고 두께의 변화를 각각 59, 50, 58, 53 %씩 억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PCA의 멜라닌 생성 억제 작용을 밝힌 선행 연구와 함께 PCA가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의 색소 이상 침착과 염증 반응을 막아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Properties and biological studies on Cinnamic acid derivative of Minoxidil

  • Joon su Shin;Kim, Jong ho;Sang sup Jue;Kim, Kyung ho;Kim, Bak-kwang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69-269
    • /
    • 1996
  • 발모제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현재 발모제로 쓰여지고 있는 미녹시딜에 구충제 또는 모근 혈관확장제 둥의 효능을 갖고 있는 씬나믹산을 반응시켜 새로운 화합물 (이하 CINMI라 칭함)을 만들었다. 이 화합물에 대하여 액성영향 및 반응시간 등 제반물성을 검토하고, 최적조건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으며, 그리고 결합구조 및 육모효과 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PDF

Fungi, 이스트, 그리고 streptomyces에서 L-phenylalanine ammonia-lyase의 활성도 비교 (L-phenylalanine ammonia-lyase activity of fungi, yeasts and streptomyces)

  • 장지영;구양모;김공환
    • 미생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0-277
    • /
    • 1988
  •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soil (150 strains), fungi (39 strains), yeasts (9 strains) and Streptomyces species (39 strains) were assayed for L-phenylalanine ammonia-lyase(PAL) activity. 17 strains of fungi and 46 strains of soil isolates were proved to produce PAL, Aspergillus panamensis, Penicillium varioti and 11 soil isolates showed comparatively large PAL activity. When PAL activity was assayed with cell-free extracts of these 13 strains and 7 strains of Rhodotorula and Rhodosporidium geni, Rhodosporidium toruloides (IFO 0559) showed the highest PAL activity with 0.333 units per g of the wet cell weigh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