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liates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8초

First Record of Three Loxodes Ciliates (Ciliophora: Loxodida: Loxodidae) from Korea

  • Kim, Ji-Hye;Kwon, Choon-Bong;Yoon, Jae-Sool;Shin, Mann-Kyo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5권3호
    • /
    • pp.301-308
    • /
    • 2009
  • Three Loxodes ciliates collected from estuarine littoral, wetland and small pond in Korea, were identified as Loxodes kahli Dragesco and Njin$acute{e}$, 1971, L. magnus Stokes, 1887 and L. vorax Stokes, 1885. The descriptions for these species based on living and protargol impregnated specimens were given. Morphometry, illustrations and microphotographs were also provided. Diagnoses of three species are as follows. Loxodes kahli; size in vivo $160-300{\times}40-70\;{\mu}m$; oral area with reddish to brownish pigments; 6-11 macronuclei arranged linearly; 5-9 micronuclei located near macronuclei; 4-12 M$\ddot{u}$ller's vesicles; somatic kineties on right 18-20 and left 2 in number. L. magnus: size in vivo $250-470{\times}87-15\;{\mu}m$; body colored dark brown; 5-13 macronuclei; 8-13 micronuclei; 8-18 M$\ddot{u}$ller's vesicles; somatic kineties on right 23-26 and left 2 in number. L. vorax: size in vivo $70-160{\times}20-35\;{\mu}m$; oral area with brownish pigments; 2 macronuclei; 1 micronucleus located between macronuclei; 2-4 M$\ddot{u}$ller's vesicles; somatic kineties on right 18-20 and left 2 in number.

Two Newly Recorded Ciliates, Oxytricha longigranulosa and o. marina (Ciliophora: Spirotrichea: Sporadotrichida) from Korea

  • Kwon, Choon-Bong;Shin, Mann-Kyo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4권1호
    • /
    • pp.81-88
    • /
    • 2008
  • Two oxytrichid ciliates collected from the mosses and estuarine littoral in Korea were identified as Oxytricha longigranulosa Berger and Foissner, 1989 and O. marina Kahl, 1932. These species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The description was based on living and protargol impregnated specimens. Diagnostic characters for each species are as follows. Oxytricha longigranulosa: Cell in vivo $80-115{\times}30-50{\mu}m$, mostly $90{\times}40{\mu}m$. Length/width ratio about 2.4/1. Cortical granules about $1{\times}1.5{\mu}m$ in size, colorless, arranged in short and discontinued longitudinal rows. Four frontoventral cirri. Adoral zone of membrane lies (AZM) covering 30-50% of cell length with 25-27 adoral membranelles (AM). Buccal area flat, typical Oxytricha pattern. Five transverse cirri, 19-23 right marginal cirri, 19-24 left marginal cirri, three caudal cirri, five dorsal kineties. Two macronuclear nodules 2 in number and spherical in shape, two micronuclei in number. Oxytricha marina: Cell in vivo $100-150{\times}30-60{\mu}m$. Cytoplasm colorless without cortical granules. Four frontoventral cirri. AZM covering 50% of cell length with 28-44 AMs, Buccal area flat, typical Oxytricha pattern. Five transverse cirri, 23-38 right marginal cirri, 19-25 left marginal cirri, three caudal cirri, five dorsal kineties. Two macronuclear nodules and spherical in shape, 1-5 micronuclei, mostly two in number.

서울지역 한강에 서식하는 하모섬유충류 (Several Hypotrichous Ciliates Inhabiting the Han River in Seoul)

  • 신만균;김훈수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2호
    • /
    • pp.67-85
    • /
    • 1988
  • 저 자들은 1986년 11월 6일부터 1987년 11월 8일 사이에 서울지역 한강의 9개 지점에서 원생동물의 섬모충류 가운데서 하모류를 대상으로 채집, 배양하고 세포형태학적 방법으로 연구한 결과 4과 7종의 하모류가 동정되었다. 이 종들 가운데 Paraurostyla weissei (Stein, 1859), EuPlotes patella (O.F. Miiller, 1773), Aspidisca cicada (O.F. Muller, 1786)등 3종은 한국에서 과거의 기록이 없는 종 들이다. 지금까지 하모류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가 없어 동정된 종들에 대해서는 삽화와 사진을 첨부하여 상세히 재기재 하였다. 또한 세포형태학적 형질들 가운데서 23개의 형질을 택하여 조사된 7종 간의 유사성을 수리분류학적 방법으로 분석해 본 결과 기존의 분류체계와 거의 일치하는 유집 (clustering)을 보였다.

  • PDF

Redescription of Previously Unknown Euplotine Ciliates, Euplotes charon and Diophrys oligothrix (Ciliophora: Spirotrichea: Euplotida), from Korea

  • Kwon, Choon-Bong;Shin, Mann-Kyo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2권1호
    • /
    • pp.29-35
    • /
    • 2006
  • Two ciliates of suborder Euplotina collected from the two habitats (estuarine littoral and sewage treatment plant) in Ulsan, Korea were Euplotes charon ($M\ddot{u}ller$, 1773) and Diophrys oligothrix Borror, 1965. These two species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The description wa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living and silver impregnated specimens. Diagnostic characteristics of these species are as follows. E. charon: size in vivo about $90-130\times65-80{\mu}m$, adoral zone of membranelles over 79.5% of cell length with 54-80 adoral membranelles; right margin of the peristome shaped sinusoidal form and passed through adoral zone of membranelles; buccal cavity wide anteriorly; 10 frontoventral, 5 transverse, 4 caudal cirri, 12 dorsal kineties, mid-dorsal kinety with 21 -25 dorsal bristles; silver-line system double-eurystomus type. D. oligothrix: size in vivo about $80-90\times30-70{\mu}m$; body shape ovoid with prominent right concave posterio-lateral end, two irregular elongated macronuclei with one micronucleus, respectively; 7 fronto-ventral, 5 transverse, 2 left marginal and 2 caudal cirri, 4 dorsal kineties with prominent bristles about $9-14{\mu}m$ long in vivo.

Two Litonotid Ciliates (Ciliophora: Litostomatea: Pleurostomatida) Unknown from Korea

  • Lee, Jung-Mi;Yoon, Jae-Sool;Shin, Mann-Kyo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2권2호
    • /
    • pp.223-229
    • /
    • 2006
  • Two litonotid ciliates collected from the freshwater habitats in Korea were identified as Loxophyllum meleagris ($M\ddot{u}ller$, 1773) and Siroloxophyllum utriculariae (Penard, 1922). The description wa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living and protargol impregnated specimens, and biometric analysis. Their diagnostic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L. meleagris; $163-480\times80-100{\mu}m$ in vivo, body shape lancet or knife-like; dorsal margin with 10-19 extrusome warts; 8-35 macronuclei nodules, like a string of bead; 16-21 somatic kineties on right side (including perioral kinety 2, 3) and 6-11 on left side (including perioral kinety 1); 1 contractile vacuole located at posterior part at diastole stage, extending along the dorsal margin toward anterior end with a single long narrow canal. S. utriculariae; $110-170\times78-150{\mu}m$ in vivo, body shape lancet like; dorsal margin without extrusome warts; 2 macronuclei, spherical; 12-19 somatic kineties on right side, 3-7 on left side (including perioral kinety 1); 2-3 contractile vacuoles, first one located anterior ventrally, second one located posterior dorsally and last one located near posterior end of cell.

저수온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Cryptocaryoniasis (Cryptocaryoniasis of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low temperatures)

  • 지보영;김기홍;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7-111
    • /
    • 1997
  • 1995년 겨울 경북 구룡포에 있는 축제식 양식장에서 사육중이던 넙치(평균 체장 : 31cm, 평균체중 : 300g)에 백점병이 발생하여 대량 폐사를 일으켰다. 감염 넙치로부터 병리조직학적, 원인충의 형태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아가미 및 지느러미의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 많은 섬모충들이 상피 하층으로 뚫고 들어감으로써 기생 부위의 상피 세포와 점액 세포가 증식을 일으킨 것을 볼 수 있었고 병어의 지느러미, 체표 및 아가미에서 작은 백점을 나타낸 충체는 기생성 섬모충 Cryptocaryon irritans의 특징을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이 충의 증식 방법은 다분열증식법 이외에도 출아와 다분열을 혼합한 또하나의 증식법(혼합 증식법)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수온 $16^{\circ}C$에서는 위와 같은 두가지의 증식 방법이 약 3대 2의 비율로 나타났고 다분열 증식형의 충체는 8~14일만에, 혼합 증식형의 충체는 13~15일 만에 각각 자충을 방출하였다. 수온 $12\sim24^{\circ}C$의 조건에서 염분 농도 범위 $0\sim35\%_{\circ}$$5\%_{\circ}$ 간격으로 조절하여 충체의 생존능력을 살펴본 결과 다분열 증식형의 총체는 $12^{\circ}C$에서 $30\%_{\circ}$이하, $16^{\circ}C$에서 $20\%_{\circ}$ 이하, $20^{\circ}C$에서 $15\%_{\circ}$이하 그리고 $24^{\circ}C$에서 $25\%_{\circ}$ 이하에서 각각 폐사된 반면 혼합 증식형의 충체는 $12^{\circ}C$에서 $20\%_{\circ}$ 이하, $16\sim20^{\circ}C$에서 $15\%_{\circ}$ 이하 그리고 $24^{\circ}C$에서 $25\%_{\circ}$ 이하에서 각각 폐사를 나타내어 저수온($12\sim16^{\circ}C$)에서 혼합 증식형의 충체가 다분열 증식형의 충체보다 다소 낮은 염분 농도에서 생존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수온 $12\sim24^{\circ}C$의 조건에서 탈낭 소요 시간 및 탈낭률은 다분열 증식형의 총체가 $12^{\circ}C$에서 8일 및 30%, $16^{\circ}C$에서 6.5일 및 50%, $20^{\circ}C$에서 5.5일 및 75% 그리고 $24^{\circ}C$에서 7일 및 10%를 나타낸 반면 혼합 증식형의 충체는 $12^{\circ}C$에서 15.5일, $16^{\circ}C$에서 14일 및 76.6%, $20^{\circ}C$에서 12일 및 72.2% 그리고 $24^{\circ}C$에서 10일 및 31.6%를 나타내어 모든 수온 조건에서 혼합 증식형의 충체가 다분열 증식형의 충체 보다 탈낭 소요 시간이 길며 수온 $16^{\circ}C$에서 최고의 탈낭율을 나타내어 저수온에 다소 안정적인 것을 보여주었다.

  • PDF

팔당호와 경안천에서 박테리아와 원생생물의 생물량과 세포크기의 시 ${\cdot}$ 공간적 분포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Biomass and Cell Size of Bacteria and Protozoa in Lake Paldang and Kyungan Stream)

  • 손주연;공동수;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39권3호통권117호
    • /
    • pp.378-389
    • /
    • 2006
  • 본 연구는 2005년 4월부터 12월까지 팔당댐과 경안천에서 박테리아와 원생생물 생물량과 개체크기의 계절적 변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박테리아의 밀도는 팔당댐과 경안천에서 각각 $2.8{\sim}64.6\;{\times}\;10^6$, $6.1{\sim}43.3\;{\times}\;10^6\;cells\;{\cdot}\;mL^{-1}$로서 두 지점에서 비슷한 분포를 보였고, 수온이 높은 여름동안에도 증가하지 않았다. 원생생물의 총생물량은 팔당호 ($12{\sim}73\;{\mu}gC\;{\cdot}\;L^{-1}$)에 비해 경안천 ($26{\sim}169\;{\mu}gC\;{\cdot}\;L^{-1}$)에서 훨씬 높았으며, 평균 세포크기도 경안천에서 크게 나타났다. 원생생물의 총생물량 중에서 HNAN이 전반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팔당댐에서 4, 10, 11월에 경안천에서 6월에는 섬모충류의 비중이 가장 컸다. PNAN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생물량을 보였으나 봄과 가을동안에는 높게 나타났다. HNAN은 두 지점에서 모두 3{\sim}7\;{\mu}m$ 크기의 작은 개체들이 우점하였다. HNAN 평균 세포의 크기는 영양염의 농도가 훨씬 높았던 경안천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섬모충의 세포당 평균 크기는 여름 동안에 작았다. 팔당댐에서 HNAN 생물량은 Chl-a 농도와 상관성이 있었으며, 또한 섬모충류의 생물량과 관련이 높게 나타나 HNAN의 증가가 섬모충류의 높은 생물량으로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안천에서 PNAN과 HNAN은 Chl-a 농도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 PNAN의 생물량이 증가할수록 HNAN의 생물량도 증가하였다. 섬모충류의 생물량은 다른 생물보다는 영양염 (TN, TP)과 입자성 물질(SS)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두 지점 모두에서 원생생물의 생물량은 박테리아 생물량과 밀접한 관계를 보였고, 섬모충류는 박테리아 뿐만 아니라 편모류의 생물량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팔당호 생태계에서 본 연구의 결과가 보여준 microbial loop 구성요인들의 높은 생물량과 이들 간의 밀접한 상관관계는 팔당호 생태계 플랑크톤 먹이망 내에서 microbial loop를 통한 먹이망 기능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한국의 4개 주요항만(부산, 울산, 광양, 인천)에 분포하는 섬모충 플랑크톤의 계절동태 특성 (Characteristic of Seasonal Dynamics of Planktonic Ciliates at Four Major Ports (Busan, Ulsan, Gwangyang and Incheon), Korea)

  • 양승우;이준백;김영옥
    • 환경생물
    • /
    • 제36권2호
    • /
    • pp.217-231
    • /
    • 2018
  • 2007년 2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국내의 4개 주요 항만(부산항, 울산항, 인천항, 광양항)에 분포하는 유종섬모충류의 계절적 출현양상과 선박평형수 벡터종(Coos Bay 벡터종 기준)의 계절적 출현양상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중 부산항과 울산항에서 유종섬모충류 난류종인 Ascampbeliella urceolata, Codonellopsis morchella, C. ostenfeldi, Dadayiella ganymedes, Eutintinnus stramentus, Protorhabdonella curta가 8월과 11월에 출현하였다. 인천항과 광양항에서는 전 계절을 통해 연안종이 출현하였고 특히 저수온기와 고수온기에 연안종의 출현이 뚜렷하였다. 광양항에서는 2007년 5월에 난류종 Tintinnopsis ampla의 출현과 2008년 11월에 C. ostenfeldi가 출현을 보였지만 인천항에서는 난류종의 출현이 관찰되지 않았다. 유종섬모충 출현분포의 특성은 연안종이 주로 출현하였으며, 부산항과 울산항에서 8월과 11월에 난류종이 중점적으로 출현하고 있는 것은 쿠로시오 해류(Kuroshio current)의 지류인 대마난류(Tsushima Warm Current)의 영향에 의한 유입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조사 기간 중 주요 항만에서 출현한 유종섬모충류의 벡터종은 총 13종이었다. 광양항에서 13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고 인천항에서 6종으로 가장 적은 종수가 관찰되었으며 부산항과 울산항에서 각각 10종과 11종이 관찰되었다. 이들 벡터종은 부산항, 울산항, 광양항의 고수온기에 가장 많은 출현종수를 보인 반면, 인천항에서는 저수온기 2월에 가장 많은 출현종수를 보여 항만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해역에 영향을 주는 서로 다른 해류에 의한 유입종 연구와 선박 평형수에 의해 유입된 벡터종의 연구가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주요 항만의 유종섬모충류의 종조성 차이에 대한 정확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앞으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2019년 여름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수괴 분포에 따른 미소플랑크톤의 공간분포 및 생태구조 특성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structur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micro-plankton in relation to water masse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nECS) in summer 2019)

  • 윤양호;박지혜;이현지;서호영
    • 환경생물
    • /
    • 제38권3호
    • /
    • pp.355-370
    • /
    • 2020
  • 여름 동중국해 북부해역 (32°N~33°N, 124°E~127°30'E)에서 수괴에 따른 미소플랑크톤에 속하는 식물플랑크톤 군집 및 섬모충류 현존량의 공간분포 및 저차영양단계의 생태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현장조사를 2019년 8월 3일부터 8월 6일까지 21개 정점의 표층과 Chl-a 최댓층(CML)을 대상으로 채수하였다. 결과 북부해역의 수괴는 크게 중국연안수(CCW) 및 쓰시마난류(TWC)로 구분되었다. CCW는 고온, 저염의 환경특성을, 그리고 TWC는 고온, 고염의 환경특성을 나타내었다. 수괴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특성은 CCW가 중국의 대형하천에서 공급되는 영양염류에 의해 다양한 군집구조를 보인 반면, TWC는 남방의 빈영양 외해역에서 발원하여 북상하고 있어 단조로운 군집특성을 나타내었다. 식물플랑크톤과 섬모충류의 현존량은 CCW에서 매우 높았고, TWC에서 낮은 특성을 보였다. 특히 TWC에서 식물플랑크톤에 비해 높은 섬모충류의 현존량을 보이는 것에서 세균 등을 먹이원으로 하는 미세먹이망에 의한 저차영양단계의 에너지흐름이 자원생물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즉 여름 동중국해의 생태구조는 수괴에 따라 CCW가 bottom-up system 구조라면, TWC는 top-down system 구조를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국산 담수 어류에 기생하는 Chilodonella hexaticha에 관하여 (Chilodonella hexasticha(Protozoa, Ciliata) from Korean freshwater fish)

  • 지보영;김기홍;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3-118
    • /
    • 1996
  • 한국산 담수어류에 기생하는 섬모충류를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수온 $22^{\circ}C$에서 붕어(Carassius carassius)로 부터 Chilodonella 속 기생성 섬모충을 검출하여 동정 분류하였다. 감염어의 체표, 지느러미 및 아가미에 무수히 많은 섬모충이 관찰되었으며 감염 부위에 과도한 점액이 분비된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빈사 상태의 병어에서는 궤양이 형성된 것을 볼 수 있었다. 감염된 붕어로 부터 검출된 Chilodonella 충은 그 모양이 타원형으로 후면의 가장자리에 notch(V자형 새김)가 없고 배복(背腹) 방향으로 편평하였다. 충체의 길이는 30-$45{\mu}m$이며 폭은 15-$30{\mu}m$인 것으로 계측되었으며 가장자리의 섬모열은 왼쪽과 오른쪽이 각각 3-5열 이었다. 그리고 아치 모양의 오른쪽 섬모열은 직선의 왼쪽 섬모열보다 길이가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충체 내부에는 직경 8-$15{\mu}m$의 둥근 대핵과 직경 2-$4{\mu}m$의 소핵이 있었으며, 복면(腹面) 앞부분에 있는 세포구는 충체 표면에서 직접 밖으로 열리며 세포인두와 연결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세포구를 둘러싸고 있는 세포 인두는 10-16 가닥의 간상체(桿狀體)양 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안쪽 끝이 굽어져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충체는 2개의 수축포를 가진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각각 오른쪽 앞끝과 왼쪽 뒤끝에 위치했다. 그리고 수온 $22^{\circ}C$에서 이 기생충의 번식은 단순한 이분열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이 기생충은 Chilodonella hexasticha(Kiernik, 1909)로 분류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