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e

검색결과 953건 처리시간 0.024초

Quality Enhancement of Frozen Chicken Meat Marinated with Phosphate Alternatives

  • Mahabbat Ali;Shine Htet ,Aung;Edirisinghe Dewage Nalaka Sandun Abeyrathne;Ji-Young Park;Jong Hyun Jung;Aera Jang;Jong Youn Jeong;Ki-Chang Nam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45-268
    • /
    • 2023
  • The effects of phosphate alternatives on meat quality in marinated chicken were investigated with the application of chilling and freezing. Breast muscles were injected with solution of the green weight containing 1.5% NaCl and 2% sodium tripolyphosphate (STPP) or phosphate alternatives. Treatment variables consisted of no phosphate [control (-)], 0.3% sodium tripolyphosphate [control (+)], 0.3% prune juice (PJ), 0.3% oyster shell, 0.3% nano-oyster shell, and 0.3% yeast and lemon extract (YLE) powder. One-third of the meat samples were stored at 4℃ for 1 d, and the rest of the meats were kept at -18℃ for 7 d. In chilled meat, a lower drip loss was noted for control (+) and YLE, whereas higher cooking yield in YLE compared to all tested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 the other treatments except PJ showed higher pH, water holding capacity, moisture content, lower thawing and cooking loss, and shear force. Natural phosphate alternatives except for PJ, improved the CIE L* compared to control (-), and upregulated total protein solubility. However, phosphate alternatives showed similar or higher oxidative stability and impedance measurement compared to control (+), and an extensive effect on myofibrillar fragmentation index. A limited effect was observed for C*, h°, and free amino acids in treated meat. Eventually, the texture profile attributes in cooked of phosphate alternatives improved except for PJ. The results indicate the high potential use of natural additives could be promising and effective methods for replacing synthetic phosphate in chilled and frozen chicken with quality enhancem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Dairy Beef Round Subjected to Various Cooking Methods

  • Yousung Jung;Hye-Jin Kim;Dongwook Kim;Bumjin Joo;Jin-Woo Jhoo;Aera J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67-791
    • /
    • 2023
  • To evaluate the effect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on the physicochemical quality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of dairy beef round, twelve beef round piec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raw, boiling, microwave, and sous-vide. The sous-vide group had a higher pH than the boiling or microwave groups. The boiling group exhibited the highest shear force and CIE L*, followed by the microwave and sous-vide groups (p<0.05). The sous-vide group received higher taste and tenderness scores from panelists (p<0.05) 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aspartic and glutamic acids than the other groups. The sous-vide and microwave groups had the highest oleic acid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levels, respectively. The sous-vid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hypoxanthine and inosine levels than the other groups. However, the microwave group had higher inosine monophosphate levels than the other groups. The sous-vide group had a higher alcohol content, including 1-octen-3-ol, than the other groups. Octanal and nonanal were the most abundant aldehydes in all groups. (R)-(-)-14-methyl-8-hexadecyn-1-ol, p-cresol, and 1-tridecyne were used to distinguish the VOC for each group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Sous-vide could be effective in increasing meat tenderness as well as taste-related free amino acid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and fatty acid (oleic acid) levels. Furthermore, specific VOC, including 1-octen-3-ol, 2-ethylhexanal ethylene glycol acetal, and 2-octen-1-ol, (E)-, could be potential markers for distinguishing sous-vide from other cooking method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predominant association of these VOC with the sous-vide cooking method.

A Comparative Study on the Adipogenic and Myogenic Capacity of Muscle Satellite Cells,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Hanwoo and Vietnamese Yellow Steers

  • Nguyen Thu Uyen;Dao Van Cuong;Pham Dieu Thuy;Luu Hong Son;Nguyen Thi Ngan;Nguyen Hung Quang;Nguyen Duc Tuan;In-ho Hw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63-579
    • /
    • 2023
  • Myogenesis and adipogenesis are the important processes determining the muscle growth and fat accumulation livestock, which ultimately affecting their meat quality. Hanwoo is a popular breed and its meat has been exported to other countri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yogenesis and adipogenesis properties in satellite cells, and meat quality between Hanwoo and Vietnamese yellow cattle (VYC). Same 28-months old Hanwoo (body weight: 728±45 kg) and VYC (body weight: 285±36 kg) steers (n=10 per breed) were used. Immediately after slaughter, tissu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longissimus lumborum (LL) muscles for satellite cells isolation and assays. After 24 h post-mortem, LL muscles from left carcass sides were collected for meat quality analysis. Under the same in vitro culture condition, the proliferation rate was higher in Hanwoo compared to VYC (p<0.05). Fusion index was almost 3 times greater in Hanwoo (42.17%), compared with VYC (14.93%; p<0.05). The expressions of myogenesis (myogenic factor 5, myogenic differentiation 1, myogenin, and myogenic factor 6)- and adipogenesi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regulating genes, and triglyceride content were higher in Hanwoo, compared with VYC (p<0.05). Hanwoo beef had a higher intramuscular fat and total monounsaturated fatty acids contents than VYC beef (p<0.05). Whilst, VYC meat had a higher CIE a* and total polyunsaturated fatty acids content (p<0.05). Overal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 vitro culture characteristics and genes expression of satellite cells, and meat quality between the Hanwoo and VYC.

Surface gloss, gloss retention, and color stability of 2 nano-filled universal resin composites

  • Gustavo Fabian Molina;Ricardo Juan Cabral;Ignacio Mazzola;Michael Burrow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7권4호
    • /
    • pp.43.1-43.13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d the surface gloss (SG), gloss retention (GR), and color stability (CS) of 2 universal resin composites after chemical (CA) and mechanical (MA) aging.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disc-shaped samples of G-ænial A'Chord (GC-Europe) and Filtek Universal (3M-ESPE) were polished with sequential abrasive papers. For CA, specimens were stored in 1 mL of 75% ethanol for 15 days at 37℃, and readings (SG, GR, and CS) were obtained at baseline and 5, 10, and 15 days. For MA, specimens were subjected to 10,750 simulated brushing cycles. SG and CS were evaluated after every 3,583 cycles. SG was measured with a glossmeter (geometrical configuration: 60°), and values were expressed in gloss units. Color was measured with a spectrophotometer using the CIE-L*a*b* color system. The Student's t-test, 1-way analysis of variance, and Scheffé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α = 0.05). Results: G-ænial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SG values than Filtek (p = 0.02), with GR reductions of 5.2% (CA) and 5.3% (MA) for G-ænial and 7.6% (CA) and 7.2% (MA) for Filtek. The aging protocol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G or GR (p = 0.25) from baseline to the final readings. G-ænial-MA presented the lowest color difference (ΔE = 1.8), and G-ænial-CA and Filtek-CA had the largest changes (ΔE = 8.6 and ΔE = 11.8, respectively). Conclusion: G-ænial presented higher SG values and better CS. Both restorative materials demonstrated acceptable GR and CS. Aging protocols impacted these properties negatively.

The Effect of a Chitosan/TiO2-Nanoparticle/Rosmarinic Acid-Based Nanocomposite Coating on the Preservation of Refrigerated Rainbow Trout Fillets (Oncorhynchus mykiss)

  • Pinar Kizilkaya;Mukerrem Kay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170-1182
    • /
    • 202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hitosan (CH)-based nanocomposite coating applications [chitosan+TiO2 (CHT) and chitosan+TiO2+rosmarinic acid (CHTRA)] on changes in quality attributes of rainbow trout fillets during cold storage (4℃). Fish fille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subjected to treatments (CH, CHT, CHTRA, and control). After treatments, the groups were packaged under a modified atmosphere (40% CO2+30% O2+30% N2) and stored at 4℃ for 18 days. During cold storage, the samples were subjected to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analyses. During storage, CH, CHT, and CHTRA treatments showed lower aerobic mesophilic and psychrotrophic bacteria counts than the control.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coating treatments were not significant. The highest mean pH value was determined in the control group. As the storage time increased,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value increased. At the end of the storage perio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reatments, including in the control group. The total volatile basic nitrogen (TVB-N) level in the control group was above 25 mg/100 g on day 15 of storage. However, the TVB-N level in the treatment groups was below 20 mg/100 g on day 18. It was also determined that coating application×storage period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color parameters (p<0.01). At the end of storage, the highest CIE L* was observed in CHTRA treatment. However, the value of this treatment did not differ from that of the CH treatment.

한국인의 상하악 전치부 색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hade of between maxillary and mandibular anterior teeth in the Korean)

  • 김태진;권긍록;김형섭;우이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43-350
    • /
    • 2008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상하악 전치부간의 색조차이를 상하악 치아 순면의 정중부의 색조를 분광측색장치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CIE $L^{*}a^{*}b^{*}$ 색체계로 비교분석을 하여, 실제 한국인의 상하악 전치부간의 색조차이에 관하여 알아보고 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수복물이 없으며 치주적으로 건강한 정상적인 치관부의 형태의 상하악 12전치를 가진 20대, 30대, 40대, 50대 이상 10명씩 남녀 각 40명씩 총80명을 대상으로 색조 측정을 시행하였다. 연구재료: $SpectroShade^{TM}$ MICRO (MHT S.p.A., Italy) 디지털 색조 분석 기구로서 대상 치아의 디지털 영상을 채득하여 이를 기계 내에 포함된 색조 분석시스템을 통해 shade map의 형태로 입력 분석하여 주는 장치이다. 결론: 1. 전치부 상, 하악 치아간 색조차이는 중절치, 측절치, 견치 모두에서 ${\Delta}E^{*}$가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상, 하악 견치 간 색조차이는 중절치, 측절치 간의 색조차이보다 더 두드러지고 중절치간 측절치간 색조차이 정도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남녀 성별에 따른 상, 하악 치아 간의 색조차이는 그 정도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4. 각 연령대에 따른 상, 하악 치아간 색조차이의 정도는 연령대와 상관없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볏짚을 두충잎으로 대체급여 시 거세한우의 생산성, 도체특성 및 육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Eucommia ulmoides Leaves Substituted for Rice Straw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 Tissues of Hanwoo Steers)

  • 김재황;김영민;이문도;신재형;고영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963-974
    • /
    • 2005
  • 본 시험은 두충 급여가 거세한우의 성장, 도체특성, 육질특성 및 육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기초사료로 배합사료와 볏짚을 급여하였으며, 건조 두충 잎을 건물기준으로 조사료의 3, 5 및 10%를 대체․급여하였다. 시험사료의 사료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평균체중 321±13kg의 거세한우 72두(4개구$\time$6 두$\time$3 반복)를 공시하여 약 15개월간 실시하였다. 일당 증체량은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0.81-0.86kg으로 유의차는 없었다. 사료요구율도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10.05-10.59로서 개선효과는 없었다. 분변내 NH3 가스 발생량은 두충 잎의 급여비율이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즉 40℃에서 12시간 발효시에는 대조구와 3% 구는 각각 30.6ppm과 29.8ppm이었으나 5% 구와 10% 구는 각각 20.3ppm과 21.6ppm으로 낮았다(p<0.05). 등지방 두께는 대조구는 15.0mm였으며 5-10% 급여시 10.2-10.5mm로 얇은 경향이었다(p<0.05). 육량 A 등급 출현율은 3% 급여시 약 20%가 증가하였으며, 육질 1+와 1 등급 출현율은 두충 잎을 5-10% 급여시 약 10-15%가 증가하였다. 등심의 육색에 대한 CIE L*, a* 및 b* 값은 각 시험구간 차이는 없었으며, 우둔의 CIE L*, a* 및 b* 값에서도 각 시험구간에 차이는 없었다. 지방산 함량에 있어서 등심과 우둔에서 공히 C18:1은 두충 잎을 5-10% 급여구에서 증가하였다(p<0.05). 등심의 cholesterol 함량은 10% 급여한 구가 53.3mg /100g으로 대조구와 3% 구 및 5% 구의 55.7-57.0mg/100g으로 비해 낮았다(p<0.05). 하리의 발생비율은 대조구가 약 20.3%였으며 두충 잎을 5-10% 대체 급여할 경우에는 10.4-12.5%로 크게 감소되었다(p<0.05). 호흡기 발병비율은 두충 잎을 대체함으로 개선되는 경향이지만 유의차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두충 잎에는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는 생리활성 물질이 상당량 함유된 기능성 사료로의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두충 잎을 음건하여 반추동물에 급여할 경우 육질 개선 및 하리 발생비율이 감소되기 때문에 고급육 생산에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두충 잎을 거세한우에 급여할 경우 조사료의 5-10%를 대체하는 것이 가장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백색 제품 디자인을 위한 감성적 특성 연구 (Investigation of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White for Designing White Based Products)

  • 나누리;석현정;이재인
    • 감성과학
    • /
    • 제15권2호
    • /
    • pp.297-30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미묘한 차이가 있는 다양한 흰색의 감성을 평가하여 백색가전제품을 디자인함에 있어 제품의 감성과 적합한 흰색을 제시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연구는 3가지 실험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실험 1에서는 문헌조사와 워크샵을 통해 수집한 60가지 감성 어휘 중, 설문을 통해 (N=30) 제품색을 평가하기 적합한 20개의 감성 어휘를 추출하였다. 실험 2에서는 다른 색들과 비교했을 때 흰색의 상대적인 감성적 특성을 알기 위해 I.R.I Hue & Tone 120 system으로부터 선정한 13가지 기본색을 대상으로 실험 1에서 추출한 20개의 감성 어휘에 대해 감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N=30). 이를 요인 분석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4개의 감성 요인 - 화려한, 우아한, 맑은, 부드러운 - 이 추출되었으며, 또한 13색의 감성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흰색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 3에서는, 실험 2에서 얻은 4가지 감성 요인을 이용하여 미묘한 차이를 가진 25가지 흰색에 대한 감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색채 자극물은 CIE 1976 $L^*a^*b^*$로 측정되었으며, 각각의 L, a, b값이 흰색의 감성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실증적 연구들을 통해 우리는 3가지 주요 결과를 얻었다 : 첫째, 제품색을 평가하기 위한 4가지 감성 요인 - 화려한, 우아한, 맑은, 부드러운 - 이 존재한다. 둘째, 흰색은 다른 색보다 우아한 감성이 압도적으로 강하게 표현된다. 셋째, 색의 감성적 특성은 색의 3요소인 색상, 명도, 채도 중 일부분의 조합에 영향을 받는다. 추가적으로, 실험 3의 회귀분석을 통해 공식을 도출하였으며, 이 공식을 사용하여 다양한 흰색의 감성적 특성을 예측할 수 있다.

  • PDF

저점도 벌크필레진과 복합레진 적층수복물의 색조 평가 (Color evaluation of low viscosity bulk-fill resin with composite resin capping layer)

  • 윤종현;정지혜;장훈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4호
    • /
    • pp.294-300
    • /
    • 2015
  • 목적: 저점도 벌크필레진과 복합레진을 적층한 수복물의 색조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저점도 벌크필레진(SDR)과 A2, A3 색조의 미세혼합형 복합레진(A2, A3)을 4 mm 두께로 제작하여 광중합한 후 색차계를 이용하여 레진 시편의 CIE $L^*a^*b^*$ 값을 측정하였다. 이후 저점도 벌크필레진 상방에 2 mm 두께로 A2, A3 색조의 미세혼합형 복합레진을 적층하여(SA2, SA3) 광중합한 후 색측정을 하고(n = 10), 저점도 벌크필레진과 미세혼합형 복합레진, 그리고 이들을 적층한 시편의 색차(${\Delta}E$)를 계산하였다. 결과: $L^*$ 값은 SDR이 가장 컸고 SA2, SA3 그리고 A2, A3 순으로 감소했다. $a^*$ 값은 SDR이 가장 작았고 SA2, SA3 그리고 A2, A3 순으로 증가했다. $b^*$ 값은 SDR이 가장 작았으며 A2, SA2 그리고 A3, SA3 순으로 증가했다. 적층한 시편과 미세복합형 복합레진 시편의 ${\Delta}E$ 값은 A2와 SA2 사이에 ${\Delta}E=3.4$, A3와 SA3 사이에 ${\Delta}E=3.1$로 계산되었다. 결론: 저점도 벌크필레진과 미세혼합형 복합레진을 적층한 시편과 미세혼합형 복합레진만으로 제작한 시편의 색조의 차이는 일반적으로 인지하지 못할 정도로 작았다.

교정치료 시 브라켓 부착 및 제거에 따른 치아색 변화 (Tooth color changes associated with the bracket bonding and debonding)

  • 김석필;황인남;조진형;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4-124
    • /
    • 2006
  • 본 연구는 교정용 브라켓 부착을 위한 레진 접착부위 및 그 인접부위 즉, primer만 도포된 부위의 색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교정치료를 위해 발치된 60개의 건전한 소구치를 재료로 사용하여 분광측정기로 색을 측정한 후 CIE $L^*a^*b^*$ 색표계로 기록하였다. 20개의 소구치에 광중합형 접착레진으로 브라켓을 부착한 후 부착 전과 제거 후의 색을 측정하였으며 다른 20개의 소구치에는 primer만 도포하고 도포 전과 도포 후의 색을 측정한 후, $L^*$ 값을 이용하여 명암 변화를 살펴본 결과 브라켓 부착 및 primer 도포 모두의 경우 명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a^*$ 값과 $b^*$ 값을 이용하여 색상 변화를 살펴본 결과 황색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측정된 $L^*a^*b^*$ 값을 이용하여 색변화를 산출하고 임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색변화 값 3.7을 기준치로 하여 비교 및 분석을 시행한 결과 브라켓 부착 전과 제거 후의 색변화는 기준치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primer 도포에 따른 색변화는 기준치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primer만 도포한 경우 칫솔질에 따른 색변화를 알아보고자 나머지 20개의 소구치를 대조로 하여 칫솔질을 시행한 결과 칫솔질 시행 후 색변화는 기준치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브라켓 제거 후 자연광 노출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모든 경우에 추가적으로 photoaging을 시행한 결과 부가적인 색변화는 기준치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교정치료를 위한 브라켓 부착으로 인해 브라켓 부착 및 인접부위의 치아색 변화가 있음을 의미하며 임상과정에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