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chorium endivia 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44초

초음파 추출물을 이용한 치콘의 면역활성 증진 (Enhancement of Immune-Potentiation of Cichorium endivia L. by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Process)

  • 권민철;한재건;;안주희;이달호;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5
    • /
    • 2008
  • Immune-potentiation of Chicorium endivia L. were investigated on follows extracts associated with ultrasonification process at 60 kHz and showed the highest promotion of human B and T cell growth, about $10{\sim}20%$ compared to the control. The secretion of TNF-${\alpha}$ and IL-6 was also enhanced by the addition $(0.5mg/m{\ell})$ of the extracts. NK cell activation was Improved up to 1.37 times higher than the control, through adding extracts. It was also found that extracts from C. endivia L. could yield higher nitric oxide production from macrophage than Lipopolysaccaharides (LPS). It can be concluded that, in general, the extracts treated with ultrasonification has higher immune activity than others, possibly by higher yielding immune-modulatory activity than conventional extraction process. The optimum condition for the extraction of C. endivia L. is ethanol extraction at $60{\sim}100^{\circ}C$ associated with ultrasonification.

엔디브 양액재배에 적합한 배양액 조성 (Composition of Nutrient Solution for Endive(Cichorium endivia L.) Hydroponics)

  • 조영렬;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3-129
    • /
    • 1998
  • 본 실험은 엔디브 양액재배에 적합한 배양액을 조성하고. 새로 조성한 배양액(SCUE)의 효과를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엔디브 재배에 적합한 배양액을 양수분 흡수율에 의해 조성한 결과 NO$_3$-N 15.0, NH$_4$-N 1.0 PO$_4$-P 3.0. K 10.0, Ca 5.0, Mg 3.5 me.$\ell$$^{-1}$가 적당하였다. 새로 조성한 서울시립대 엔디브액 (SCUE)과 유럽의 엔디브액간의 재배실험 결과, 배양액간의 생육 및 수량은 차이가 없었지만, pH와 EC의 변화폭은 새로 조성한 양액에서 적었다.

  • PDF

치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Cichorium endivia L.)

  • 강현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487-1492
    • /
    • 2012
  • 본 연구는 치콘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고자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였다. 치콘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37.3{\pm}5.2$ mg/GAE/g extract)과 열수 추출물($36.3{\pm}1.0$ mg/GAE/g extract)이 유사한 총 폴리페놀 함량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물 추출물이 $47.0{\pm}3.8$ mg CE/g extract 그리고 에탄올 추출물이 $53.9{\pm}5.1$ mg CE/g extract를 나타내었다. ABTS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활성, FRAP를 이용한 환원력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치콘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세포 독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신경세포를 이용하여 MTT assay를 수행한 결과, 세포의 생존율은 1.0 mg/mL의 농도 이상에서는 생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신경세포 보호효능 실험에서는 2.5 mM의 $H_2O_2$로 유발시킨 산화적 손상에 대해 농도 의존적인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있었으며, 항산화 효소 활성을 SOD와 CAT로 분석한 결과 SOD는 0.5 mg/mL 농도에서 95% 이상의 활성과 CAT는 손상그룹에 비해 2배 이상의 활성을 각각 확인하였다. 또한 치콘 추출물이 세포사와 관련이 있는 단백질인 Bax와 Bcl-2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치콘 추출물이 산화적 손상의 억제를 통해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Genetic Relationships of Lactuca spp. Revealed by RAPD, Inter-SSR, AFLP, and PCR-RFLP Analyses

  • Yang, Tae-Jin;Jang, Suk-Woo;Kim, Won-Bae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27-32
    • /
    • 2007
  • RAPD, Inter-SSR, and AFLP markers were used to assess the genetic diversity of lettuce cultivars and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Lactuca spp. A total of 216 polymorphic bands from seven RAPD primers, four Inter-SSR primers, and five AFLP primer combinations were used to elucidate the genetic similarity among lettuce cultivars. Forty-four lettuce accessions were subdivided into discrete branches according to plant type: crisphead, butterhead, and stem type, with some exceptions. The leafy- and cos-type accessions were intermingled in other groups with no discrete branch indicating that these are more diverse than others. Three accessions, including the Korean cultivar 'Cheongchima', the Korean local landrace 'Jinjam', and the German cultivar 'Lolla Rossa' were classified as the most diverse accessions. Twenty bands were unique in specific cultivars. Among these, three were specific in a plant type; one in Korean leafy type, one in crisphead type, and one in cos type lettuce. In the phylogenetic analysis among Lactuca species, L. saligna, L. serriola, and L. georgica clustered in a sister branch of the L. sativa complex. Two L. virosa accessions show the highest intra-specific relationships. L. perennis outlied from all the other Lactuca species at a genetic similarity of 0.53 and clustered with two Cichorium species, C. intybus and C. endivia, with genetic similarity of 0.67. The phylogenetic tree was supported by data from polymorphism of chloroplast genome which was revealed by PCR-RFLP.

  • PDF

엔다이브 포장방법에 따른 저장 중 선도 변화 (Changes in Freshness of Endive (Cichorium endivia L.) by Different Packaging Types)

  • 김영미;이도현;정재영;장성호;이윤석;장민선;이정수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71-7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엔다이브의 선도유지를 위하여 수확 후 포장방법을 달리한 후 저장하며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엔다이브를 수확한 후 종이박스, 종이박스에 HDPE 필름 속포장, 농산물유통상자(P박스)에 HDPE 필름 등으로 포장한 후 $2^{\circ}C$에 저장하며 저장 중 중량감모, 수분함량, 엽록소 함량, 경도, 표면색도 및 신선도 등을 평가하였다.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관행적 방법인 종이박스로 포장한 엔다이브의 중량감모율이 다른 방법으로 포장한 처리구보다 가장 높았고, 수분함량이 가장 낮았다. SPAD 지수는 종이박스에 HDPE 필름으로 속포장한 엔다이브가 다른 포장방법에 비하여 높은 값을 유지하였으며 저장 중 경도 감소폭이 낮았다. 종이박스로 포장한 엔다이브는 저장 중 황화현상이 많이 일어났으며 전체 색 변화가 가장 심했고, 종이박스에 HDPE 필름으로 속포장한 엔다이브의 색변화가 가장 적었다. 따라서 엔다이브의 수확 후 선도유지를 위하여 종이박스에 HDPE 필름으로 속포장하는 것이 품질유지에 효과적인 방법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