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yseobacterium indologene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Genetic Diversity of Metallo-β-lactamase Genes of Chryseobacterium indologenes Isolates from Korea

  • Yum, Jong Hwa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75-281
    • /
    • 201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haracterize the chromosomal metallo-${\beta}$-lactamases (MBLs) of Chryseobacterium indologenes isolated from Korea and to propose a clustering method of IND MBLs based on their amino acid similarities. Chromosomal MBL genes were amplified by PCR from 31 clinical isolates of E. indologenes. Nucleotide sequencing was performed by the dideoxy chain termination method using these PCR products.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were determined by the agar dilution method. PCR experiments showed that all 31 E. indologenes isolates contained all $bla_{IND}$ genes. DNA sequence analysis revealed that E. indologenes isolates possessed ten types of $bla_{IND}$ gene, including seven novel variants ($bla_{IND-8}$ to $bla_{IND-14}$). The most common combination of MBL was IND-2 (n = 18).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imipenem and meropenem for the isolates harboring novel IND MBLs were ${\geq}16{\mu}g/mL$. IND MBLs were grouped in three clusters, based on amino acid similarities.

난분해성 케라틴 폐기물 처리를 위한 우모 분해 미생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uck Feather-Degrading Microorganism for Treatment of Recalcitrant Keratinous Waste)

  • 고태훈;정진하;이나리;정성윤;박근태;손홍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53-261
    • /
    • 2012
  • We isolated and characterized novel duck feather-degrading bacteria producing keratinase. Twelve strains were isolated from soil and faces at poultry farm, and decayed feathers. They were identified as Bacillus methylotrophicus, Pseudomonas geniculata, Pseudomonas hibiscicola, Exiquobacterium profundum, Bacillus pumilus, Bacillus amyloliquefaciens, Chryseobacterium indologenes, Bacillus thuringiensis, Thermomonas koreensis, respectively, by phenotypic characters and 16S rRNA gene analysis. Generally, the level of keratinase production was not proportional to feather degradation rate. The highest keratinolytic activity was observed in the culture inoculated with Chryseobacterium indologenes D27. Although all strains did not degrade human hair, strains tested effectively degraded chicken feather(53.8-91.4%), wool(40.4-93.0%) and human nail (51.0-82.9%).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rains isolated could be not only used to improve the nutritional value of recalcitrant feather waste but also is a potential candidate for biotechnological processes of keratin hydrolysis.

치과진료실 내 표면 세균 오염에 관한 연구 (A Study Regarding Bacterial Contamination of Surfaces in Dental Offices)

  • 윤경옥;김혜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79-285
    • /
    • 2015
  • 본 연구는 경기도와 인천지역의 치과 병원급 19개 기관, 의원급 28개 기관 진료실의 유닛체어 등받이, 라이트 손잡이, 타구대 표면의 검체를 채취하여 실험하였다. 우선 치과 진료실 내 표면의 세균수는 타구대 $44.82{\times}10^3CFU/mL$, 라이트 손잡이 $5.47{\times}10^3CFU/mL$ 유닛체어 $16.28{\times}10^3CFU/mL$로 타구대가 높게 측정되었으며, 의료기관의 규모로는 병원급이 높게 나타났고, 환자수가 많을수록 타구대에서 세균수가 높게 측정되었다. 표면 세균 동정 결과는 Gram positive 균주는 47.3%, Gram negative 균주는 52.7%였으며, Gram positive 균주 중 Micrococcus luteus 10.9%, Bacillus pumilus, Staphylococcus aureus 균주가 각각 3.6%로 확인되었다. Gram negative 균주로는 Acinetobacter ursingii 5.5%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Brevundimonas diminuta, Chryseobacterium (Flavo.) indologenes (CDC IIb), Methylobacterium sp.가 각각 4.5%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치과 진료실 내 표면 세균 오염도를 측정하고, 세균의 종류를 확인함으로써 진료실 내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감염방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 수립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통영 바다목장 해역의 종속영양세균 군집의 연차적 분포 (Annual Distribution of Heterotrophic Bacterial Community in the Marine Ranching Ground of Tongyeong Coastal Waters)

  • 김말남;이한웅;이진환
    • 환경생물
    • /
    • 제25권3호
    • /
    • pp.273-278
    • /
    • 2007
  • [ $2003{\sim}2007$ ]년 통영 바다목장 해역 5개 정점을 대상으로 표층수와 저층수의 종속영양세균의 개체수를 측정하고, 종속영양세균 군집의 종조성 및 우점종을 분석하였다. 종속영양세균은 겨울이나 봄 및 가을에 비하여 해수의 온도가 높은 여름에 더 많이 검출되었으며, 정점별 변화는 특별한 변화 경향이 없었다. 2003년 10월 및 2004년 9월에는 태풍과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표층수와 저층수의 개체수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거나 저층수의 개체수가 표층수보다 오히려 더 많은 경우도 있었다. 통영 바다목장 해역의 종속영양세균 개체수는 해를 거듭할수록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종속영양세균 군집의 종조성은 Pseudomonas fluorescens TY1, Pseudomonas stutzeri TY2, Acinetobacter lwoffii TY3, Sphingomonas paucimobilis TY4, Burkholderia mallei TY5, Pasteurella haemolytica TY6, Pasteurella multocida TY7, Comamonas acidovorans TY8, Actinobacillus ureae TY9 및 Chryseobacterium indologenes TY10으로 조사되었고, P. fluorescens TY1과 A lowffii TY3이 우점종으로 분석되었다.

키틴함유 DFMs 급여 한우송아지 분변내 키틴 및 키토산분해효소 생산 미생물 선발 및 동정 (Screening and Isolation of Chitinase and Chitosanase Producing Microbes from the Feces of Korean Native Calves Medicated DFMs Including Chitin)

  • 김태일;권응기;김형철;조영무;박병기;이원규;임석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5호
    • /
    • pp.387-394
    • /
    • 2009
  • 본 연구는 키틴으로부터 면역증강물질인 N-acetyl-Dglucosamine을 축적시킴으로써 동물의 면역력을 향상시켜 폐사율을 줄이고자 키틴이 함유된 DFM을 급여한 생후 3~7개월령된 한우 송아지의 분변에서 키틴분해 효소능을 가진 미생물을 분리 동정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송아지 분변 1g당 키틴이 함유된 배지상에서 $10^5$ 이상의 집락이 형성된 10균주 중 키틴을 분해하는 2균주와 키토산을 분해하는 2균주를 선발하였으며 이들은 모두 용혈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틴을 분해하는 균주는 선발한 4균주 모두 그람 음성균으로서 HANDI 110과 HANDI 309는 키틴을 분해하는 균주로 선발되었으며 HANWOO와 HANYOO는 키토산을 분해하는 균주로 선발되었다. 분리된 미생물은 형태학적, 물리화학적 및 유전학적 분류를 통해 HANDI 110는 Escherichia fergusonii으로, HANDI 309는 Acinetobacter parvus으로, HANWOO는 Comamonas koreensis으로 HANYOO는 Chryseobacterium indologenes으로 각각 동정하였다.

배양법과 DGGE에 의한 해양세균 군집의 비교분석 (Comparison of Culture-dependent and DGGE based Method for the Analysis of Marine Bacterial Community)

  • 김말남;방효주
    • 환경생물
    • /
    • 제24권4호
    • /
    • pp.307-313
    • /
    • 2006
  • 2004년 9월과 11월, 2005년 1월, 5월 및 8월의 총 5회에 걸쳐 대한민국 통영연안의 1개 정점에서 표층해수를 계절별로 채취하여 해양세균 군집을 분석하였다. 선택배지에서 순수분리하여 VITEK Microbe ID system으로 동정한 배양법과 16S rRNA PCR-DGGE로 분석한 결과를 상호비교하였다. 배양법에 의한 각 계절별 해양세균 군집의 종조성은 2004년 9월은 5종, 11월은 5종, 2005년 1월은 4종, 5월은 6종 및 8월은 10종으로 조사되었고, Pseudomonas fluorescens와 Acinetobacter lwoffii는 계절과 관계없이 모두 검출되었으며, 그 외에 Pseudomonas stutzeri, Sphingomonas paucimobilis 및 Burkholderia mallei 등이 동정되었다. 16S rRNA PCR-DGGE에 의한 군집분석 결과는 2004년 9월은 10개체군, 11월은 11개체군, 2005년 1월은 6개체군, 5월은 9개체군 및 8월에는 13개체군이 조사되었고, Acinetobacter lwoffii, Burkholderia mallei, Pseudomonas fluoresence, Actinobacillus ureae, Burkholderia sp., Pseudomonas stutzeri, Roseobacter sp., Vibrio parahaemolyticus, Sphingomonas paucimobilis 및 Rugeria algocolus 등이 동정되었다. 이로부터 해양세균 군집의 분포특성을 파악하는 데는 16S rRNA PCR-DGGE가 배양법보다 더 효율적임이 판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