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ysanthemum zawadskii K.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34초

New diploid populations of Chrysanthemum indicum L. (Asteraceae) from Korea

  • KANG, Jung Hyun;KIM, Jung Sun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7-21
    • /
    • 2020
  • Chrysanthemum indicum (Asteraceae) is a perennial plant belonging to the genus Chrysanthemum. The basic chromosome number of Chrysanthemum sensu stricto is x = 9, and it consists of a series of polyploids ranging from diploid to decaploid. However, C. indicum, which occurs in Korea, is known to consist of only tetraploids, except for two diploid populations that are sympatric with C. zawadskii and C. boreale. During the collection of plant materials as part of a study to ascertain the diversity of Chrysanthemum in Korea, we found new diploid populations (2n = 18) of C. indicum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and describe them here in detail.

담배연기응축물로 유도된 돌연변이와 구절초 추출물의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Extracts against Mutagenicity of Cigarette Smoke Condensates (CSC))

  • 이진희;임흥빈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0-176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whether Chrysanther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C. zawadskii) extracts has an inhibitory effect against the mutagenicity by cigarette smoke condensates (CSC). C. zawadskii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and the yield was 18.5%. We further fractioned 70% ethanol extract sequentially to diethylether, chloroform, dichloromethane, and aqueous water, and gained the yield of 17.5%, 5.6%, 5.8%, 32.8% and 35.5%, respectively. In the Ames test, there was no mutagenic effect of crude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up to 2 mg/plate toward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with or without S-9 mix metabolic activations. On the contrary, the crude extract showed an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mutagenicity of CSC in the presence of S-9 mix metabolic activation. Diethyl ether layer among five solvent fractions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The inhibitory activity of diethyl ether fraction was also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inhibitory rate was about 97.7% at the concentration of 1 mg/plate. In this study, we conclude that crude extract of C. zawadskii itself is potentially safe for mutagenicity, and the diethyl ether fraction has an inhibitory effect against the mutagenicity of CSC.

감국, 국화 및 구절초 꽃 휘발성 성분의 항산화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Volatile Compounds in Flower of Chrysanthemum indicum, C. morifolium, and C. zawadskii)

  • 우관식;유정식;황인국;이연리;이철희;윤향식;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805-809
    • /
    • 2008
  • 감국, 국화 및 구절초 등 3종의 국화과 식물에 대해 향기성분을 분석하고 향기성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고자 3종의 국화과 식물에 대한 향기특성을 SDE법으로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한 결과 camphene, 1,8-cineole, benzene, pinocarvone, bicyclo-2,2,1-heptan-2-ol, trans-caryophyllene, 3-cyclohexen-1-ol, ${\gamma}$-curcumene, zingiberene, ${\beta}$-bisabolene 등이 검출되어 주요 향기성분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감국, 국화 및 구절초의 향기추출물에 대한 전자공여능을 DPPH법으로 측정한 결과 1 g/mL의 농도에서 각각 30.57, 46.36 및 51.72%로 나타내어 구절초 추출물이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항산화력을 ABTS법으로 측정한 결과 각각 34.99, 35.31 및 38.48mg AEAC/g으로 나타내어 전자공여능과 마찬가지로 구절초가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구절초가 camphene, 1,8-cineole, camphor, germacrene D, myrtenol 등의 성분이 감국이나 국화보다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활성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Chrysanthemum속(屬) 식물의 항균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Some Chrysanthemum spp.)

  • 남상해;최상욱;양민석;장대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4호
    • /
    • pp.315-319
    • /
    • 1996
  • Chrysanthemum속(屬) 식물(5종, 9부위)의 methanol추출물 및 각 용매분획물의 수율을 조사한 결과 methanol 추출물의 수율은 $31.5%{\sim}16.9%$의 비교적 다양한 범위를 보였으며 전초보다 꽃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Methanol 추출물에 대한 각 분획물의 비율을 살펴보면, 전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물 분획물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꽃보다 전초에서 더 높고,유기용매 분획물은 모두 전초보다 꽃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Chrysanthemum속(屬) 식물의 methanol 추출물과 용매분획물들에 대한 항균실험 결과, 구절초의 꽃이 전반적으로 강한 항균력을 보였고 산국의 꽃과 구절초의 전초 그리고 쑥갓의 꽃이 비교적 수하였다. 용매 분획물에 대한 항균력 비교에서는 각 식물체의 chloroform 분획물이 Bacillus subtilis와 vibrio parahaemolyticus를 비롯한 4종의 공시균주 모두에 대해 전반적으로 가장 강한 활성을 보였다. 산국 전초의 chloroform 분획물은 산국 꽃의 chloroform 분획물보다 4가지 균주 모두에서 더 강한 활성을 보여주었다. 산국과 구절초의 꽃과 전초, 그리고 쑥갓의 꽃의 chloroform 분획물들은 서로 유사한 TLC pattern을 보였다.

  • PDF

구절초 꽃 추출물의 Nitric Oxide 생성과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발현 억제 효과 (Suppressive Effects of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Flower Extracts on Nitric Oxide Production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 한지영;김영화;성지혜;엄유리;이이;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685-169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구절초의 항염증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NO의 함량과 iNOS의 발현 및 PGE2와 COX-2의 발현을 LPS로 염증을 유도한 RAW 264.7 macrophage cell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연구 결과 구절초 꽃 추출물은 NO 함량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세포독성은 꽃 추출물(5~50 μg/mL)은 최고 농도인 50 μg/mL에서 약 20%의 독성을 나타냈으며 그 이하의 농도에서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NO 생성의 억제는 iNOS의 단백질과 mRNA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 구절초 꽃 추출물이 전사단계에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PGE2와 COX-2의 발현 억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 결과 구절초 꽃 추출물에 의한 COX-2 단백질의 발현 억제와 PGE2 생성 억제는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구절초 추출물은 염증을 일으키는 중요 인자인 NO를 저해하였고, iNOS의 발현, iNOS의 mRNA 발현 등 항염증에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항염증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추후 산업적 응용도 가능하므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구절초의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Chrysanthemum zawadskii)

  • 정해정;전인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39-745
    • /
    • 2011
  • 실험에서는 구절초를 꽃, 잎 줄기, 뿌리 등의 부위별로 구분하여 메탄올로 추출하고 추출 수율,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아질산염소거능, 철 이온에 대한 킬레이트 효과, 환원력 등을 측정하였다. 추출 수율은 꽃이 가장 높았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꽃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뿌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꽃과 잎 줄기가 뿌리보다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활성도 추출물의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여 꽃 부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DPPH나 ABTS radical 소거활성보다는 다소 낮은 수치를 보였다. 철 이온에 대한 킬레이트 효과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꽃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뿌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환원력은 꽃과 잎 줄기에서 높게 나타났고 뿌리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은 구절초 꽃이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잎 줄기가 활성을 보임으로써 향후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시시되었다.

빗물활용 옥상녹화 식재지반에 따른 한라구절초의 생육 변화 (Change in Growth of Chrysanthemum zawadskii var. coreanum as Effected by Different Green Roof System under Rainfed Conditions)

  • 주진희;김원태;윤용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7-123
    • /
    • 2011
  • 본 연구는 빗물 활용 옥상녹화에서 식재기반 차이에 따른 한라구절초의 생육 변화를 살펴보고, 적합한 토심과 토양배합비를 제시함으로써 옥상조경 식물소재로 활용성을 높이고자 한다. 토심(15cm, 25cm)과 토양배합비(SL,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를 각각 다르게 실험구를 조성하였으며, 내건성과 관상가치가 뛰어난 한라구절초를 식재한 후 초장, 녹피율, 엽록소 함량, 생체중과 건조중, T/R율 등을 측정하였다. 토심 15cm처리구에서 토양배합비에 따른 한라구절초의 초장의 경우 통계적 유의성은 발견되지 않으나, 전반적으로 PPL배합토인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가 사양토인 SL보다 높았다. 토심 25cm처리구의 경우, SL <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 $P_4P_4L_2$ 순으로 초장이 길었다. 녹피율의 경우 토심 15cm처리구에서는 초장과 같이 토양배합비에 의한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으나, 수치적으로는 SL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토심 25cm처리구의 전체적으로 86~89%의 높은 피복률을 나타냈다. 엽록소 함량은 토심 15cm처리구에서 SL이 가장 높게, $P_5P_3L_2$이 가장 낮았으며, 토심 25cm처리구에서는 $P_4P_4L_2$과 SL에서 가장 높은 값을, $P_7P_1L_2$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생체중과 건물중의 경우 배합비보다는 토심에 따른 차이가 더 뚜렷하여 토심 25cm처리구가 15cm처리구보다 높았다. 따라서 빗물활용 옥상녹화 식재지반에 있어 한라구절초의 생육은 토심 25cm가 토심 15cm보다, PPL배합토, 특히, 피트모스함량이 높은 $P_4P_4L_2$이 사양토보다 더 적합한 생육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화용 배양토가 구절초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Mixture on the Growth of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 신영섭;윤세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8-75
    • /
    • 2006
  • 유망 야생화의 하나인 구절초의 생육에 적합한 배양토를 구명하기 위해 무기재료로서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암쇄토, 모래, 밭토양을 사용하고 유기물원으로서 피트모스, 부염, 퇴비를 혼합한 배양토를 조성하여 구절초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구절초의 생육은 유기물원으로 부엽이 들어간 배양토에서 피트모스나 퇴비를 혼합한 것에 비해 현저히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험 후 배양토의 이화학성 분석 결과 부엽과 피트모스를 사용한 배양토의 화학성은 모든 성분에 있어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나 퇴비를 사용한 처리에서는 pH가 ($8.6{\sim}8.9$)로 매우 상승하였고 인산의 함량이 ($237{\sim}1158\;mg/kg$)로 높아져 구절초의 생육을 불량하게 하는 원인이 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피트모스는 화학성분 조사 결과로서는 부엽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양분의 공급 능력에서 부엽에 미치지 못하여 구절초의 생육이 불량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구절초의 생육에 대한 통계처리 결과를 살펴보면 구절초의 배양토에 있어서 부엽을 유기물원으로 혼합한 상토가 피트모스나 퇴비에 비해 유의성 있는 생육의 증가를 보여 주었다. 부엽을 사용한 VPL, SaVPL, SVPL, UVPL 처리 간에 있어서도 VPL과 UVPL처리가 SaVPL 및 SVPL에 비해 유의성 있는 생육차이를 보였다. 피트모스를 혼합한 처리들과 퇴비를 혼합한 처리들 사이에는 피트모스 처리들이 퇴비에 비해 생육이 양호한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못하였다.

수종의 국화과 식물에서 분리한 Sesquiterpene Lactone들의 생리활성(제1보) -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 (Biological Activities of Sesquiterpene Lactones isolated from Several Compositae Plants Part 1 - Cytotoxicity against Cancer Cell Lines -)

  • 장대식;박기훈;김환묵;홍동호;전효곤;고영희;양민석
    • 생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43-247
    • /
    • 1998
  • A diverse panel of human tumor cell lines and a mouse melanoma cell line (B16-F1) were used for the cytotoxicity test of the nine sesquiterpene lactones with ${\beta}-methylene-{\gamma}-lactone$ group isolated from Hemisteptia lyrata, Chrysanthemum zawadskii and Chrysanthemum boreale. In the cell adhesion inhibitory activity test against B16-F1 mouse melanoma cell, hemistepcin B, cumambrin B, costunolide and tulipinolide were shown significant activities with $IC_{50}$ range of 2.2, 4.1, 0.9 and $0.3\;{\mu}g/ml$, respectively. In the cytotoxicity test against human tumor cells, the most active compound was costunolide having $IC_{50}$ values of below $0.3\;{\mu}g/ml$ against all the tested cell lines except for UACC62. Cumambrin A, hendelin and costunolide exhibited more strong activity against HCT15 and UO-31 cell lines than a positive control, adriamycin. All tested compounds showed an $IC_{50}$ values of below $5.0\;{\mu}g/ml$ against all the tested cell lin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