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ysanthemum morifolium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42초

엽조직에서 나출된 원형질체의 재생 가능 세포판별 (Identification of Regenerable Cells in MesophyII Protoplast Cultures)

  • 소인섭;유장걸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3-28
    • /
    • 1994
  • Nicotiana tabaccum 'Xanti', Petunia hybrida 'Blue Star' 그리고 Chrysanthemum morifolium 'Baeckwang'을 공시하여 엽조직 유래의 mesophyII protoplast(MP)와 paraveinal mesophyII protoplast (PVMP) 간의 세포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urea 투과성을 측정하였다. 아울러 엽육 조직에서 원형질체 나출을 위한 각종 효소제를 처리하고 경과 시간별로 관찰했으며, 나출 원형질체로부터 식물체 재생을 위한 NAA와 thidiazuron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Vibratome을 이용한 엽육조직 절단방법은 엽조직의 상해를 최소화하고 조직절편도 최소 50 $\mu\textrm{m}$까지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urea 투과성 검정과 원형질체 나출을 위한 필수적인 기술이다. 세포활성에 대한 urea투과성 측정은 공시한 3종 식물의 PVMP에서 모두 Ks=2.Ox$10^{-5}$cm/sec 정도가 MP보다 높았다. 효소혼합 용액(1.5% Cellulase R-10, l% Driselase, 0.5% Macerozyme R-10, 0.05% Pectolyase)을 4-8 시간 처리하는 것이 PVMP 나출에 유효하였다. 나출 원형체로부터의 캘러스 유기와 식물체 재생에는 2 mg/L NAA + 0.01 mg/L thidiazuron 처리구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조직별로는 PVMP에서 월등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엽조직을 대상으로한 원형질체 배양에 있어서 엽록소의 함량이 많은 MP보다는 재생력이나 세포 활성이 강한 paraveinal 엽육조직 유래의 세포를 집약적으로 나출시켜 실험재료로 이용한다면 더 높은 식물체 재생률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충남 예산 지역의 국화에서 바이러스 및 바이로이드 병들의 발생 현황 (Occurrence of Viruses and Viroids in Chrysanthemum Plants (Dendranthema morifolium) Cultivated in Yesan-gun, Chungcheongnam-do in Korea)

  • 방윤현;송은경;이영혜;류기현
    • 식물병연구
    • /
    • 제28권4호
    • /
    • pp.237-244
    • /
    • 2022
  • 국화(Dendranthema morifolium)는 한국에서 경제적으로 중요한 화훼식물에 포함되고, 바이러스와 바이로이드 병들에 의해 경제적 피해를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예산군에서 재배된 국화 350개체를 대상으로 7종의 바이러스들과 2종의 바이로이드들(Chrysanthemum chlorotic mottle viroid, CChMVd; Chrysanthemum stunt viroid, CSVd; Cucumber mosaic virus, CMV; Chrysanthemum virus B, CVB; Chrysanthemum stem necrosis orthotospovirus, CSNV; Impatiens necrotic spot orthotospovirus, INSV; Potato virus X, PVX; Tomato aspermy virus, TAV; Tomato spotted wilt orthotospovirus, TSWV)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2종의 바이러스들(CVB-CN-Y, TAV-CN-Y)과 2종의 바이로이드들(CChMVd-CN-Y, CSVd-CN-Y)이 검정되었다. CVBCN-Y는 6개의 국화 식물체들에서 검정되었고, TAV-CN-Y는 한개가 국화 식물체에서만 검정되었다. CChMVd-CN-Y는 97개의 국화 식물체들에서 검정되었으며, CSVd-CN-Y는 21개의 국화 식물체들에서 검정되었다. CVB-CN-Y는 CVB-GS1과 86.9% 염기서열 상동성을 보였으며, TAV-CN-Y는 3개의 분리주들(TAV-Chj, TAV-P, TAV-V)과 100% 염기서열이 일치하였다. CChMVd-CN-Y는 CChMVd-Horst와 99.5% 염기서열 상동성을 보였으며, CSVd-CN-Y는 4개의 분리주들(Au1.1, K4pop, Sagae, Tochigi)과 99.7% 염기서열 상동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2021년 예산군에서 재배된 국화들을 대상으로 바이러스 및 바이로이드들을 검정하고 그들의 감염률에 관한 보고서이다.

백국과 황국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항유전독성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genotoxic Activity of White and Yellow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Extracts)

  • 이현정;김민정;박재희;박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89-294
    • /
    • 2012
  • 백국 및 황국의 물 및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총 페놀함량,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총 페놀함량은 국화물추출물에서는 국화종류와 추출온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용매추출물에서는 아세톤<에탄올<메탄올 추출물 순으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백국물추출물에서는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황국물추출물에서는 $25^{\circ}C$에서 가장 높은 DP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모든 온도에서 황국물추출물이 백국물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DP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용매별 비교에서는 백국과 황국 모두 에탄올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DP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물추출물과 반대로 용매추출물에서는 백국이 황국보다 DPPH radical 소거능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물추출물에서는 백국보다 황국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용매추출물에서는 아세톤 및 에탄올추출물에서 백국보다 황국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SOD 유사활성을 나타낸 반면, 메탄올추출물은 황국보다 백국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국화용매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보호효과를 보기 위해 국화용매추출물을 50 ${\mu}g/mL$의 농도로 백혈구에 처리한 후 200 ${\mu}M$ $H_2O_2$로 DNA 손상을 유도한 결과, 백국과 황국 용매추출물 모두에서 에탄올추출물의 DNA 손상 억제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백국추출물과 마찬가지로 황국추출물에서도 DNA 손상 보호효과는 DPPH radical 소거능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어, DPPH radical의 소거 활성을 증가시키는 물질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DNA 손상 보호 효과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에서 색에 따른 국화의 물 및 용매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유전독성을 확인하였으며, 이 결과들은 기능성 제품 개발을 위한 천연물 소재로서 국화의 활용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국화 '오블랑'의 재생 효율 증진을 위한 식물생장조절제와 AgNO3 적정 농도 선별 (Optimal concentrations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AgNO3 for the improvement of regeneration efficiency in Chrysanthemum morifolium 'Ohblang')

  • 윤여진;양용준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0권
    • /
    • pp.169-175
    • /
    • 2023
  • 국화 '오블랑'의 기내 배양 잎 절편체로부터 신초 기관형성을 통한 식물체 재생 시스템을 확립하는데 있어 효율적인 신초 재생 및 갈변억제를 위한 식물생장조절제와 AgNO3의 농도를 선정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잎 절편체를 식물생장조절제인 BA 0.5, 1.0, 2.0 mg/L와 NAA 0.2, 0.5, 1.0, 2.0 mg/L를 조합 처리한 12가지 조성의 배지에 치상하여 암조건에서 6주간, 명조건에서 6주간 배양하였을 때, BA 1.0 mg/L, NAA 1.0 mg/L를 첨가한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 결과를 기반으로 잎 절편체로부터 갈변 감소를 위해 MS 염류와 비타민, BA 1.0 mg/L, NAA 1.0 mg/L, sucrose 30 g/L, agar 6 g/L를 포함한 신초유도배지에 AgNO3 0, 1, 3, 5, 7, 10 mg/L를 각각 첨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AgNO3 처리는 잎 절편체로부터의 갈변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나, 처리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신초로의 발달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AgNO3 1 mg/L를 포함한 신초유도배지(MS 염류와 비타민, BA 1.0 mg/L, NAA 1.0 mg/L)에 잎 절편체를 치상하였을 때, 갈변지수 0.7, 절편체당 신초 수가 2.6개로 '오블랑' 재생에 있어 가장 적합한 농도임을 확인하였다.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various kinds of herbal tea

  • Lee, Jin Wook;Eo, Hyun Ji;Park, Gwang Hun;Song, Hun Min;Woo, So Hee;Kim, Mi Kyoung;Eom, Jung Hye;Lee, Man Hyo;Lee, Jeong Rak;Koo, Jin Suk;Jeong, Jin Boo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
    • /
    • 2014
  • Objectives :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re involved in a wide spectrum of diseases including chronic inflammation and canc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the herbal teas such as Lonicera japonica Thunberg (L. japonica),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C. morifolium), Mentha arvensis L. (M. arvensis), and P.rhizoma. Methods :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using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and $Fe^{2+}$ chelating assay. And DNA cleavage assay was performed to evaluate an anti-oxidative effect. Anti-inflammatory effect was performed using NO generation assay and western blot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 line. Results : L. japonica scavenged DPPH radical by 9.8% at 12.5 ${\mu}g/ml$, 24.8% at 25 ${\mu}g/ml$, 34.3% at 50 ${\mu}g/ml$, 61.1% at 100 ${\mu}g/ml$ and 75.8% at 200 ${\mu}g/ml$, respectively. In addition, C. morifolium and M. arvensis removed DPPH radical by 15.6% and 10.4% at 12.5 ${\mu}g/ml$, 34.8% and 22.8% at 25 ${\mu}g/ml$, 66.9% and 43.3% at 50 ${\mu}g/ml$, 87.4% and 69.1% at 100 ${\mu}g/ml$, and 92.1% and 73.2% at 200 ${\mu}g/ml$, respectively. However, P. rhizoma did not affect on DPPH radical scavenging. The $Fe^{2+}$ chelating activity was highest in L. japonica, but lowest in P. rhizoma among the herbal teas. In addition, the extracts from L. japonica, C. morifolium and M. arvensis inhibited oxidative DNA damage via its anti-oxidant activity. In anti-inflammatory effect, the extracts from C. morifolium inhibited NO production. In addition, it suppressed the $NF-{\kappa}B$ signaling pathway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Conclusions : Together, this study indicates that L. japonica, M. arvensis and C. morifolium possess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the oxidative DNA damage. Furthermore, C. morifolium exerts an anti-inflammatory effect.

First Report of Aphelenchoides bicaudatus (Nematoda: Aphelenchoididae) from South Korea

  • Kim, Jiyeon;Kim, Taeho;Park, Joong-Ki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2권4호
    • /
    • pp.253-257
    • /
    • 2016
  • The genus Aphelenchoides (Fischer, 1894) includes a diverse group of species, some of which are of economic importance. A. bicaudatus (Imamura, 1931) Filipjev and Schuurmans Stekhoven, 1941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South Korea, with a detailed redescription of the species.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chrysanthemum (Chrysanthemum morifolium) leaves and shoot tips in South Korea. The species was identified by morphological traits and molecular sequencing. A bifurcated tail distinguishes A. bicaudatus from its congeneric species. To confirm species identification, we determined the partial 18S ribosomal DNA sequence of the specimens and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from other Aphelenchoides species available on GenBank.

First Record of Aphelenchoides nonveilleri (Nematoda: Aphelenchoididae) from South Korea

  • Kim, Jiyeon;Kim, Taeho;Park, Joong-Ki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4권2호
    • /
    • pp.110-113
    • /
    • 2018
  • Aphelenchoides nonveilleri $Andr{\acute{a}}ssy$, 1959, belonging to the family Aphelenchoididae Skarbilovich, 1947, is first reported from South Korea. The genus Aphelenchoides Fischer, 1894 includes about 200 species worldwide, but to date only nine Aphelnechoides species have been reported from South Korea. Specimens of A. nonveilleri were collected from the roots and shoot tips of chrysanthemum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1792) from a greenhouse. This species is distinguished from other Aphelenchoides species by its star-shaped mucro on the female tail tip, three lateral incisures, and the length of the post-vulvar uterine sac. Here we provide details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morpometrics of A. nonveilleri based on optical microscopy.

국화과 꽃의 미백 화장품 기능성 검색 (Evaluation for the flowers of compositae plants as whitening cosmetics functionality)

  • 이영근;이정훈;이나영;김남균;정다원;;김유성;김형근;;박하승;백남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1호
    • /
    • pp.5-11
    • /
    • 2017
  • 18종의 국화과 식물의 꽃을 MeOH로 추출하였다. 농축한 추출물은 용매의 극성을 이용하여 n-hexane, EtOAc, n-BuOH 및 물 분획으로 제조하였다. 각 추출물과 분획물에 대하여 총 페놀 양, 총 플라보노이드 양, DPPH radical scavenge 효과 및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쑥부쟁이(Aster yomena)의 n-hexane 및 EtOAc 분획, 하얀 코스모스(Cosmos bipinnatus White)의 n-hexane 분획, 분홍 코스모스(C. bipinnatus Pink)의 n-hexane 및 EtOAc 분획에서 총 페놀양이 높게 나타났으며, 쑥부쟁이(A. yomena)의 EtOAc의 분획, 하얀 코스모스(C. bipinnatus White)의 EtOAc 분획, 빨간 코스모스(C. bipinnatus Red)의 EtOAc 분획, 프로기(C. morifolium Froggy)의 EtOAc 분획, 그리고 하이마야(C. morifolium Himaya)의 EtOAc 분획에서 총 플라보노이드 양이 높게 나타났다. 쑥부쟁이(A. yomena)의 EtOAc 분획, 하얀 코스모스(C. bipinnatus White)의 EtOAc 분획, 분홍 코스모스(C. bipinnatus Pink)의 EtOAc 분획, 옐로우마블(C. morifolium Yellowmable)의 EtOAc 분획, 그리고 로사(C. morifolium Rosa)의 MeOH 추출물이 DPPH radical을 효과적으로 포획하였다. 서양들골나무(C. chinensis)의 EtOAc 분획, 하얀 코스모스(C. bipinnatus White)의 EtOAc 분획, 빨간 코스모스(C. bipinnatus Red)의 EtOAc 분획, 하이마야(C. morifolium Himaya)의 EtOAc 분획 그리고 홍심(C. morifolium Hongsim)의 EtOAc 분획이 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였다. 수율 및 위의 실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쑥부쟁이(A. yomena), 하얀 코스모스(C. bipinnatus White), 분홍 코스모스(C. bipinnatus Pink), 빨간 코스모스(C. bipinnatus Red) 및 하이마야(C. morifolium Himaya) 의 다섯 품종이 미백물질개발을 위한 좋은 자원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