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onic renal failure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31초

배양 검사로 증명된 화농성 슬관절염의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Management for Pyogenic Arthritis with Positive Culture in the Knee Joint)

  • 백승훈;김세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7-174
    • /
    • 2012
  • 목적: 관절경적 세척술 및 변연 절제술을 시행하고 배양 검사로 확진된 화농성 슬관절염을 가진 환자들에서, 단기적 임상 경과와 중장기적 기능적 결과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을 시행하고, 배양검사상 양성으로 판명된 32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41.6개월이었다. 감염에 대한 임상적 평가로 사망, 재발, 적혈구 침강 속도 및 C-반응성 단백 수치의 정상화 기간, 정주용 항생제 투여 기간, 재입원 여부를 조사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로 인공 슬관절 치환술, 관절염 진행 정도를, 기능적 평가로 modified Lysholm, Tegner activity 및 Korean version of the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K-WOMAC) score를 조사하였다. 결과: 황색 포도상 구균이 21예에서 동정되었고, 적혈구 침강 속도 및 C-반응성 단백 수치의 정상화 기간은 평균 78.0 및 67.6일이었다. 2예에서 사망하였고, 6예에서 재발하였다. 입원 중 재발은 만성 신부전이 동반된 환자에서 빈발하였다(P=0.034). 5례의 환자에서 재입원이 관찰되었고, 최초 내원시 방사선 검사상 관절염 정도가 심하고(P=0.032), 입원 중 수술 횟수가 많을 수록 재입원의 가능성이 높았다(P=0.006). 21례에서 관절염이 진행하였고, 최종 Kellgren-Lawrence 등급은 최초 내원시의 등급과 관련이 있었다(P=0.007). 5례에서 인공 슬관절 치환술을 시행받았으며, Lysholm score는 평균 53.5점, Tegner activity score는 평균 2.7점, K-WOMAC score는 평균 44.2점이었다. 결론: 관절경적 치료 후 최종 관절염 정도는 기왕의 관절염 정도에 의해 결정되었다. 기존 퇴행성 변화가 심한 환자에서 재입원이 많았고,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는 재발이 많아 이들 환자들에서는 주의를 요한다.

  • PDF

혈액투석 환자의 자기관리 수행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Self-Care and Associating Factors in Hemodialysis Patients)

  • 전진호;강혜경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49-166
    • /
    • 1999
  • Self-care and the performance of their own role might be important for the prevention of complications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CRF). To improve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for the patients, the author estimated the level of self-care and associating factors through a questionnaire. The information was composed of the knowledge for hemodialysis and renal disease, the level of self-care, health belief, supports from the family, disease-related stresses, personal characteristics, medical history, relationships with medical personnel, etc. The data was gathered from 126 hemodialysis patients who were undergoing hemodialysis in one university hospital and five hospitals in Kyungsangnam-Do area from December 1997 to January 1998, and was analyzed by PC SAS program(version 6.12) with the level of significance($\alpha$=0.05). The mean age of subjects was 47.0$\pm$13.5year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distribution. The mean duration of hemodialysis was 39.0 months, and their frequencies of hemodialysis were more than three times per week(77.0%). Only 21.4% had the specific education on hemodialysis and CRF. In the level which was expressed as the score out of 100, the mean of knowledge was 90.7$\pm$9.1 and the mean of self-care was 73.9$\pm$12.7, that means, they only partially carried their knowledge into practice. The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health belief($\gamma$=0.282); self-care and health belief($\gamma$=0.357), family supports and knowledge($\gamma$=0.221), self-care($\gamma$=0.402), health belief($\gamma$=0.431); and health belief and stress($\gamma$=-0.361). Age, religion, marrital status, education, and relationships with medical personnel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and smoking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care. In the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level of self-care as dependent variable, and each of the charac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supports from the family($\beta$=6.615=0.158), the experience of disease specific education($\beta$=4.959), relationships with medical personnel($\beta$=6.615), current smoking($\beta$=-6.986), and current drinking ($\beta$=-7.095) were detected as significant factors. The value of R-square was 34%. In summary, to promote the level self-care and to improve the well beings and Quality of life for the hemodialysis patients, it would be emphasized that they terminate smoking and drinking, and it would be recommended that the education programs and supports from the family be strengthened. And, because there was a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knowledge and self-care, it would also be emphasized to propose the education programs which focused on execution. In addition to that, there is a need to improv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tients and medical personnel through positive changes in the attitudes of the medical personnel.

  • PDF

만성신부전환자의 삶의 질 간편도구 개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assess quality of life for end stage renal disease)

  • 김숙현;김용림;박기수;감신;이원기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3호
    • /
    • pp.707-714
    • /
    • 2015
  • 만성신부전으로 인한 투석환자의 삶의 질 측정도구는 SF-36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36문항은 설문에 어려운 점이 많아 이를 축소한 RFQoL-K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2009년부터 45개월 동안 국내 29개 의료기관에서 만성신부전으로 투석을 시작한 신규등록환자이며 삶의 질 측정은 등록 후 3개월째와 12개월째에 응답한 355명을 대상으로 RFQoL-K를 개발하고 내적타당도를 조사하였으며, 기간 중 한 차례만 응답한 411명을 대상으로 외적타당도를 알아보았다. RFQoL-K는 원도구 36문항 중 신체적요소에서 8개 문항, 정신적요소에서 6개 문항의 14문항으로 축소 하였으며 원 도구를 90~93%설명할 수 있었으며 상관관계도 0.96~0.98로 높았고 내적일치성계수도 0.96~0.98로 매우 높아 RFQoL-K가 원 도구를 잘 반영하였다.

소아 요로계 기형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Observation of Congenital Urinary Tract Anomalies)

  • 장수희;김선준;이대열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권1호
    • /
    • pp.67-72
    • /
    • 1997
  • 목적 : 소아요로계 기형은 요로 감염의 주원인이며 발견시 비가역적인 신손상으로 만성 신부전과 고혈압의 원인이 되므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수적이다. 이에 저자들은 요로계 전반의 선천성 기형의 발생양상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86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전북대학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환자중 방사선적인 검사상 요로계 기형이 발견된 124명을 대상으로 기형의 종류와 빈도, 동반기형, 임상증상, 요로감염의 동반유무, 치료방법 등에 관하여 임상기록을 토대로 조사하였다. 결과 : 1)연령분포는 1세 미만이 61명(49%)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4-6세가 20명(16%)으로 많았다. 성별 빈도는 남아가 여아보다 2배정도 더 많았다. 2) 주증상은 발열이 가장 많았고 측복통, 산전진찰로 진단된 수신증, 복부종괴, 배뇨통, 빈뇨, 혈뇨등의 순이었다. 3) 요로계 기형은 방광 요관 역류가 가장 많았고 신우 요관 이행부 협착, 특발성 수신증, 중복 요로계, 거대요관 등의 순이었고 이중 85례에서 수신증이 동반되었다. 4) 단순기형은 109명(87%),복합기형은 15명(12%)으로 단순기형이 더 많았다. 5) 전체 124명중 68명(54.8%)에서 배양 검사에서 증명된 요로감염으로 104회 입원하였고 이때 동반된 기형으로는 방광요관 역류가 가장 많았으며 원인균은 E.coli(70%)가 가장 많았다. 6) 수술적 교정을 시행한 경우는 124명중 46명이었으며 이중 신우요관 이행부 헙착이 가장 많았다.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한 경우는 7명이었고 후부 요도 판막에 의한 신부전 1명에서 신장이식을 시행하였다. 결론 : 소아에서 요로기형은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고 지속적인 추적관찰을 함으로써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할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요로계 기형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의 관상동맥 우회수술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 김건일;송현;유양기;조민섭;마츠다 나루토;소로킨 비탈리;주석중;이재원;송명근;이준승;김순배;박수길;박정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4호
    • /
    • pp.338-344
    • /
    • 2001
  • 배경: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심장병, 특히 관상 동맥 질환의 이환이 늘어나면서 관상동맥 우회수술의 대상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들 환자군은 수술후 유병률과 사망률이 매우 높고 고위험군으로 알려져 있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3월부터 2000년 5우러까지 서울 중앙 병원 흉부외과에서 술전 말기 신부전증으로 진단 받은 후 관상 동맥 우회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의무 기록을 중심의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술전 위험 인자 및 술전 신기능, 수술 결과, 술후 경과, 수술후 합병증, 사망률 및 생존률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술전 평균 크레아티닌 청소율은 12.7$\pm$5ml/mim였고 술전 평균 혈중 크레아티닌 치는 6.2$\pm$3mg/dl(1.7-14.4)였다. 술전 투석을 시행중인 환자는 11례(44%)였고 술전 투석을 시행하지 않았던 14례(56%)중 8례(8/14, 57.1%)는 수술전후로 새로이 투석이 필요하였다. 술전 혈액 투석 중이었던 9례중 2례에서 수술후 복막 투석으로 전환하였다. 수술 사망률은 2례(8%)로 흡인성 폐렴과 종격동염으로 1례, 그리고 수술후 출형과 종격도염으로 1례가 사망하였다. 수술후 합병증은 14명(56%)의 환자에서 발생하여 매우 높은 발생율을 보였다. 만기사항은 2례(8%)에서 발생하였으며 사망원인은 카테터에 의한 복막염이었다. 생존 환자의 4년 생존률은 82$\pm$13% 였다. 결론: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의 관상동맥 우회수술을 비교적 만족스러운 범위의 수술 사망률(8%)을 보였으나 합병증 발생률이 매우 높고 합병증 발생 시 사망률이 매우 높아 수술주위 감염 예방과 세심한 환자 관리가 필요하다.

  • PDF

Adriamycin 유발 신병증에서 중간엽 줄기세포의 완화 효과 (Mesenchymal Stem Cells Ameliorate Adriamycin Induced Proteinuric Nephropathy)

  • 강희경;박소연;하일수;정해일;최용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4권1호
    • /
    • pp.32-41
    • /
    • 2010
  • 목 적 : 사구체신염은 흔히 단백뇨를 보이며 특이 치료법이 없고, 만성 신부전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다. 몇몇 연구에서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를 실험적 사구체신염에 투여하여 단백뇨가 호전된 것을 보고한 바 있으나, 이는 신염을 일으키는 약제와 중간엽 줄기세포를 함께 투여하거나 신장에 직접 투여한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적 신병증에서 단백뇨가 발현된 시점에서 정주 요법으로 MSC를 투여함으로써 MSC의 임상적인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방 법 : 실험용 생쥐에 Adriamycin을 투여하여 신병증(ADR-GN)을 유발한 후, 2주 후에 대량의 단백뇨를 확인하고 MSC를 생쥐 꼬리의 정맥에 주사하였다. MSC에 의한 질병 완화의 기전을 확인하기 위한 in vitro 실험으로 mixed lymphocyte culture(MLC)에 MSC를 투여하였을 때의 염증 관련 cytokine인 IFN-$\gamma$ and IL-10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 과 : 실험용 생쥐에 ADR-GN를 유발하고 단백뇨가 보일 때 MSC를 정주한 군에서는 단백뇨의 소실이 더 먼저 관찰되었다. 또한 MSC를 투여받은 군에서의 생존률이 더 나은 경향이 관찰되었다. MLC 에 MSC를 투여하였을 때, 염증을 유발하는 cytokine인 IFN-$\gamma$ 는 감소하고 염증을 억제하는 cytokine인 IL-10는 증가하였다. 결 론 : 이 연구는 이전의 보고들에서 관찰되었던 사구체신염에서의 MSC의 질병완화 효과가 좀더 임상적으로 적용 가능한 방법으로 투여된 경우, 즉 단백뇨가 있을 때 정주 요법으로 투여한 경우에도 관찰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의 기전과 임상적용에 요구되는 안전성 등에 대한 확인을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겠다.

혈액암 환자의 원내 사망률에 미치는 신속대응팀의 효용성 (Effectiveness of Rapid Response Team on In-hospital Mortality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 박소정;홍상범;임채만;고윤석;허진원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29
    • /
    • 2021
  • Purpose: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HM) typically have a high mortality rate when their condition deteriorates. The chronic progressive course of the disease makes it difficult to assess the effect of intervention on acute events. We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a rapid response team (RRT) on in-hospital mortality in patients with HM.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data of patients with HM who admitted to the medical intensive care unit between 2006 and 2015. Clinical outcomes before and after RRT implementation were evaluated. Results: A total of 228 patients in the pre-RRT period and 781 patients in the post-RRT period were included. The overall in-hospital mortality was 55.4%. Patients in the post-RRT period had improved survival; however, they required more vasopressor therapy,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and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in-hospital mortality was associated with RRT activation (hazard ratio [HR], 0.634; 95% confidence interval [CI], 0.498-0.807; p < .001), neurological disease (HR, 2.007; 95% CI, 1.439-2.800; p < .001), sequential organ failure assessment score (HR, 1.085; 95% CI, 1.057-1.112; p < .001), need for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HR, 1.608; 95% CI, 1.206-1.895; p< .001), mechanical ventilation (HR, 1.512; 95% CI, 1.206-1.895; p< .001), vasopressor (HR, 1.598; 95% CI, 1.105-2.311; p = .013), and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HR, 1.728; 95% CI, 1.105-2.311; p = .030). Conclusion: RRT activation may be associated with improved survival in patients with HM.

산전 초음파로 발견된 선천성 신 요로 기형의 발생률과 임상 결과: 단일 기관 연구 (Incidence and outcome of congenital anomalies of the kidney and urinary tract detected by prenatal ultrasonography: a single center study)

  • 임진아;이주훈;박영서;김건석;원혜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4호
    • /
    • pp.464-470
    • /
    • 2009
  • 목 적 : 산전 초음파로 발견된 선천성 신 요로 기형의 빈도와 임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89년 10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18년간 산전 초음파에서 발견되어 출생 후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선천성 신 요로 기형이 진단된 906예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과 검사 결과를 조사하였다. 결 과 : 발생 빈도는 수신증, 다낭성 이형성 신, 중복 신장, 방광 요관 역류, 단일 신, 수뇨관 신증, 이소성 신장, 다낭성 신, 요관류, 후부 요도 판막의 순이었다. 수신증은 520예로 57.4%를 차지하였으며 이 중 20%가 수술이 필요하였다. 다낭성 이형성 신은 25.4%에서 다른 동반된 신 요로 기형이 있었다. 중복 신장은 57.9%에서 수술이 필요하였다. 방광 요관 역류는 남아에서 10배 많았다. 상염색체 열성형 다낭성 신의 7예 중 2예가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하였다. 후부 요도 판막은 9예(1%)로 빈도가 낮았으며, 그 중 1예가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하였다. 결 론 : 산전 초음파로 발견되는 선천성 신 요로 기형은 그 종류가 다양하며 임상 결과는 많은 예에서 양호하여 특별한 처치가 필요 없는 경우도 많으나, 일부에서는 신장 기능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거나, 반복적인 요로 감염의 원인이 되어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있으며 특히 양쪽 신장에 발생하는 기형은 적절한 처치를 하지 않으면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기형에 대한 정확한 분포와 임상 결과를 알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다기관 뿐 아니라 전국적인 조사 연구가 필요하다.

고혈압 환자의 혈압강하제 처방양상 - 외래 처방전을 중심으로 - (Prescribing Patterns of Antihypertensive Drugs by Outpatients with Hypertension in 2007)

  • 성예나;장선미;임도희;신숙연;송현종;이숙향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7-179
    • /
    • 2009
  • Hypertens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chronic diseases and it causes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 While antihypertensive drug use increased, it took 15%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drug expenditu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attern of antihypertensive drug prescription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base and compare it with recommendations of Korea Hypertension Treatment Guidelines. Among the antihypertensive drugs, calcium channel blocker(64.4%) was most commonly prescribed class, and diuretics(44.6%),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33.3%),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11.7%) was followed. Approximately 81% of antihypertensives prescription were without cardiovascular or cerebrovascular disease, and among the comorbid conditions, diabetes(10.7%) was most common. calcium channel blocker(62.3%) was mostly prescribed class for hypertension with angina pectoris, angiotensin receptor blocker(45.3%) with myocardial infarction, diuretics(70.2%) and calcium channel blocker(49.5%)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For Hypertension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calcium channel blocker(68.0%) and angiotensin receptor blocker(43.3%) were prescribed mainly. When it comes to diabetes, calcium channel blocker(57.2%) was still mostly prescribed and angiotensin receptor blocker(45.9%) followed. But in hospitals and tertiary hospitals, angiotensin receptor blocker(65.7, 66.1%) was mostly prescribed for the patients with diabetes. For Hypertension with chronic renal disease, angiotensin receptor blocker(59.5%), calcium channel blocker(56.5%), diuretics(54.6%) were mainly used. Average number of classes per prescribing was $1.89{\pm}0.89$ class, average days per prescribing was $33{\pm}19$ day. Among the hypertension without comorbidity, 40.5% of prescription was monotherapy and 58.8% of polytherapy included diuretics. Among the outpatient prescriptions, calcium channel blocker was the most commonly used class, and the prescription pattern in clinic did not closely followed recommendations of Hypertension Treatment Guidelines.

  • PDF

Microbiology and Epidemiology of Infectious Spinal Disease

  • Jeong, Se-Jin;Choi, Seung-Won;Youm, Jin-Young;Kim, Hyun-Woo;Ha, Ho-Gyun;Yi, Jin-Seo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6권1호
    • /
    • pp.21-27
    • /
    • 2014
  • Objective : Infectious spinal disease is regarded as an infection by a specific organism that affects the vertebral body, intervertebral disc and adjacent perivertebral soft tissue. Its incidence seems to be increasing as a result of larger proportion of the older patients with chronic debilitating disease, the rise of intravenous drug abuser, and the increase in spinal procedure and surgery. In Korea, studies assessing infectious spinal disease are rare and have not been addressed in recent tim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scribe the epidemiology of all kind of spinal infectious disease and their clin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o assess the diagnostic methodology and the parameters related to the outcomes.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all infectious spinal disease cases presenting from January 2005 to April 2010 to three tertiary teaching hospitals within a city of 1.5 million in Korea. Patient demographics, risk factors, clinical features, and outcomes were assessed. Risk factors entailed the presence of diabetes, chronic renal failure, liver cirrhosis, immunosuppressants, remote infection, underlying malignancy and previous spinal surgery or procedure. We comparatively analyzed the results between the groups of pyogenic and tuberculous spinal infection. SPSS version 14 statistical software was used to perform the analyses of the data. The threshol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established at p<0.05. Results : Ninety-two cases fulfilled the inclusion criteria and were reviewed. Overall, patients of tuberculous spinal infection (TSI) and pyogenic spinal infection (PSI) entailed 20 (21.7%) and 72 (78.3%) cases, respectively. A previous spinal surgery or procedure was the most commonly noted risk factor (39.1%), followed by diabetes (15.2%). The occurrence of both pyogenic and tuberculous spondylitis was predominant in the lumbar spine. Discs are more easily invaded in PSI. At initial presentation, white cell blood count and C-reactive protein levels were higher in PSI compared to TSI (p<0.05). Etiological agents were identified in 53.3%, and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etiological agents was tissue culture (50.0%). Staphyococcus aureus was the most commonly isolated infective agent associated with pyogenic spondylitis, followed by E. coli. Surgical treatment was performed in 31.5% of pyogenic spondylitis and in 35.0% of tuberculous spondylitis cases. Conclusion : Many previous studies in Korea usually reported that tuberculous spondylitis is the predominant infection. However, in our study, the number of pyogenic infection was 3 times greater than that of tuberculous spinal disease. Etiological agents were identified in a half of all infectious spinal disease. For better outcomes, we should try to identify the causative microorganism before antibiotic therapy and make every effort to improve the result of culture and biop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