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omaticity value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3초

사과농축액을 이용한 간장조림소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Reducing Sauce Made with Apple Concentrate)

  • 윤학봉;최수근;남궁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23-829
    • /
    • 2011
  • The study showed test results of Teriyaki sauce produced by apple concentrate instead of sugar in order to reduce the sugar content. We created four batches of soy sauce for testing. The Control batch was normal soy sauce. S1, S2, S3, and S4 were sauces made with different amounts of apple concentrate. The test results for the moisture contents, color value, sugar content, salinity, viscosity, pH and sensory evaluation (QDA, acceptance test) of all the types of sauce are as follows.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Control was 50.80%, and for S4 was 35.14%. In chromaticity results, the L value of the Control was 10.85 which was the highest compared to samples which were in the range of 8.35~8.55. The value of a and b was highest in S4 and was lowest in Control. The sugar content was 53.53 $^{\circ}Brix$ in the Control, and 43.73 $^{\circ}Brix$ in S1. S1 showed 6.77% salinity, and S4 showed 5.37% salinity. The viscosity of S4 was highest at 60.33 cp, and Control showed the highest pH value of 4.82. The QDA of S4 showed the most intense brown color, which was 5.36. For gloss and soy sauce scen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samples. Control showed a mild apple scent which was 1.45, and S1 showed the saltiest flavor which was 5.18. The sweet flavor for Control was 4.64, and S3 showed the strongest aftertaste from the test.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appearance and acceptance was found between samples. S2 showed a scent of 5.09, which was the best. The savory taste of S3 was best, and was worst for S1. S3 showed the best overall interest which was 4.55. According to these results, S3 had the lowest sugar content, at 4%, and therefore had the highest possibility of being produced.

찰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레올로지 및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Dough Rheological Properties of Pan Bread with Waxy Barley Powder)

  • 정현철;지정란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19-13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찰보리의 이화학적인 성분을 분석하고 찰보리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식빵반죽과 식빵을 제조하여 물리적, 관능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일반 성분 분석 결과 찰보리 분말의 수분함량은 8.33%, 조단백은 10.47%, 조지방은 1.63%, 조회분은 2.97%로 나타났다. 찰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의 sedimentation value와 pelshenke value 측정 결과는 찰보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Water retention capacity와 alkaline water retention capacity 측정 결과는 찰보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찰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의 farinograph 측정 결과 consistency, water absorption, development time, stability 및 time breakdown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tolerance index는 증가하였다. 찰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의 amylograph 측정 결과 pasting temp T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peak viscosity P값, hot past viscosity H값 및 breakdown P-H 값은 감소하였고, final viscosity F값, setback F-H값은 유의적 차이 없었다. 찰보리 분말 첨가한 식빵의 굽기 손실률과 비용적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찰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색도 측정결과 L값, a값, b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찰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texture 측정 결과 경도와 점착성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응집성, 탄력성 및 씹힘성은 감소하였다. 기호도 검사 결과는 맛, 촉촉함, 부드러움, 씹힘성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10%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쌀누룩의 혼합비율을 달리한 고추장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with Different Ratios of Rice-nuruk)

  • 김유진;최윤희;박신영;최혜선;정석태;김은미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39-346
    • /
    • 2012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added with additives of different ratios of rice-nuruk (at 1:0.7, 1:1.0, 1:1.3) were studied. The kochujang was stored for 8 weeks at $20{\pm}3^{\circ}C$. The brix tended to increase by increasing mixing ratio of rice-nuruk in all treatments. It increased rapidly up to 4 weeks fermentation and then showed a slight change after 6 weeks. The more mixing ratio of rice-nuruk increased, the more salinity of samples decreased. The initial pH value of kochujang was 5.08-5.10., however, the pH value decreased to 4.82-4.83 after an 8 weeks of storage period. The initial acid value was 0.66-0.68 and increased from 0.66-0.68 to 0.87-0.89. It had slight reduction phenomenon in the sixth week. As the aging period passed, chromaticity such as $a^*$- and $b^*$-values decreased gradually except for $L^*$-value. The moisture content of samples decreased gradually by adding rice-nuruk. but increased by passing an aging period. The initial amino nitrogen content of sample was 304-315 mg%. It increased to 399-442 mg% during the aging period. As the aging period passed, the total cell number increased from 6.81 log CFU/mL to 7.01 log CFU/mL in the fourth week and then steadily decreased to 6.66 log CFU/mL in the eight week.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show that, as more rice-nuruk was added, the kochujang received a lower mark.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lavor in all treatments. Color and sweetness with increasing amounts of rice-nuruk showed the lowest score. Saltiness rice-nuruk at the ratio of 1:1.0 was the highest at 6.22 points. Texture scores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the rice-nuruk Based on these results,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1:0.7 rice-nuruk treatment which received the highest score is considered excellent.

국산 옥수수 배유특성에 따른 일반성분, 색도 및 경도 비교 (Comparison of General Ingredients, Chromaticity and Hardness according to Kernel Type of Korean Maize)

  • 박혜영;김미정;배환희;신동선;심은영;최혜선;박지영;최유찬;김홍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88-597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cure basic information for corn processing by compar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maize cultivars and kernel types (dent, intermediate, flint-like). As a result of analyzing 15 cultivars, a range of measurements were observed: 100-kernel weight, 22.89~35.63 g; moisture, 7.57~8.42%; crude protein, 8.46~11.45%; crude lipids, 3.26~4.83%; Hunter's L-value, 83.70~86.79; a-value, 2.61~5.49; b-value, 22.01~28.15; and total carotenoids, 6.74~17.07 ㎍/g. Significance among the cultivars was shown in all quality characteristics (p<0.001), but the significance among the kernel types was found only in crude protein (p<0.005), crude fat (p<0.001), and Hunter's L-value (p<0.05). The hardness of maize was de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soaking time for all maize cultivars (p<0.001). In particular, with the same soaking time for different kernel types, the hardness difference was shown in the order of flint-like > dent ≒ intermediate. It was confirmed that the decrease in the hardness of flint-like kernel of close to that of hard-type starch was slowed compare dent and intermediate kernels. So it is expected the some characteristic of kernel types will contribute to the appropriate customized use of the developed cultivars.

당뇨병 예방을 위하여 한약재 추출액으로 제조한 현미밥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boiled with medicinal herbs extract for diabetes prevention)

  • 양경미;박정란;황수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5-61
    • /
    • 2014
  •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매일 섭취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당뇨병에 효능이 있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열수추출액을 제조하고 현미밥을 제조하여 그 품질특성을 연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수분함량은 현미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은 낮아졌으며, $H_2$에서도 같은 수분함량을 보였다. 물성특성은 $H_1$$H_2$ 모두가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단단한 정도(hardness)는 대조구인 백미 100%의 경우가 가장 낮았고, 현미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탄력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 점착성(gumminess)은 현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씹힘성(chewiness)은 현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는 $H_1$$H_2$ 모두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L값은 현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a값은 현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b값은 반대로 현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H_2$를 이용하여 제조한 현미밥의 관능평가 결과는 외관과 맛, texture, 전반적 기호도는 현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H_1$과 유사한 경향을 보여 현미 30%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새싹보리로부터 항산화기능성을 갖는 천연색소의 추출 - CCD-RSM을 이용한 최적화 (Extraction of Nature Pigment with Antioxidant Properties from Sprout Barley - Optimization Using CCD-RSM)

  • 김동환;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35권3호
    • /
    • pp.222-229
    • /
    • 2024
  • 독성이 없고 자극이 적은 환경친화적인 천연색소 사용이 증가하고, 건강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이 많아짐에 따라 인체에 유익한 물질을 함유한 천연 추출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새싹보리로부터 천연 색소를 추출하고 추출공정의 최적화를 위해 CCD-RSM을 이용하였다. 실험의 독립변수는 추출온도, 주정/초순수 부피비, 추출시간으로 설정하고 반응치는 목표하는 색 좌표(L = 45, a = -35, b = 45)와 항산화능을 평가하는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최대치로 설정하였다. RSM 최적화를 통해 산출된 회귀방정식 변수들에 대한 F value와 P value을 통해 주효과도와 교호효과도의 통계적 유의미 여부와 반응치에 대한 영향성을 평가 및 분석하였으며, 각 회귀방정식과 확률도 그래프의 P value를 통해 실험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반응치 4개를 최적화시키는 추출 조건은 추출온도 52.9 ℃, 주정/초순수 부피비 76.1 vol.%과 추출시간 49.6 min이며 이 때, 반응치의 이론값은 L = 45.4, a = -36.8, b = 45.0 항산화능 = 30.9%이다. 최적의 추출 조건으로 실제 실험을 진행하여 분석한 결과 색 좌표 L = 46.2, a = -36.1, b = 48.3, 그리고 항산화능 = 31.1%로 평균 오차율 2.9%로 측정되었다.

시판 건조 쌀가루를 활용한 두부설기의 물리적.관능적 특성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Bean-Curd Sulgidduk with Dried Nonglutinous Rice Flour)

  • 김옥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49-656
    • /
    • 2011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가정에서 쉽게 떡을 제조할 수 있도록 제조방법의 단순화 및 표준화를 위해 시판되는 건조 쌀가루에 두부 첨가량을 달리하여 설기떡을 제조하고, 물리적 관능적 품질특성을 알아보고 최적 배합비를 찾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두부 첨가량을 달리하고 제조한 두부설기의 수분함량은 설기떡을 찌기 전과 찐 후 모두 두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설기의 수분함량도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색도에서 설기의 명도 L값과 적색도 a값은 두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의 경우 설기 1에서 증가하였다가 설기 2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계적 텍스쳐 측정 결과, 견고성의 경우, 두부를 첨가하지 않는 대조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두부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견고성이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부착성의 경우, 두부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으며, 두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깨짐성의 경우 두부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두부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에서는 색, 맛, 향미,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건조 쌀가루 500 g에 두부 420 g을 첨가하여 제조한 설기 3에서 기호도가 좋다고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건조 쌀가루와 두부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설기떡의 영양과 소화율을 증진시키고,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을 만족시키는 가장 좋은 두부설기의 배합비는 건조 쌀가루 500 g에 두부 420 g을 첨가하여 제조한 설기 3임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균형 잡힌 영양과 수분결합력이 큰 두부를 부재료로 첨가하여 설기떡의 영양균형을 맞추고, 칼로리를 낮추면서 유통기한이 짧은 두부의 저장과 보존성을 연장한 상품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건조 쌀가루는 보관과 사용이 간편하며 변성이 적어 종래의 설기떡 제조방법보다 쉽게 가정에서도 떡을 만들어 먹을 수 있어 쌀의 소비촉진과 떡의 대중화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비트 가루 첨가량에 따른 머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containing Beet Powder)

  • 서은옥;고승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7-37
    • /
    • 2014
  • 연구에서는 대조군과 동결 건조시킨 비트가루를 첨가한 실험군 3%, 6%, 9%를 첨가한 머핀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인 부피, 높이, 외관, 단면, 색도 및 수분 함량을 측정하고, 주사전자현미경(SEM)측정, Texture와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비트머핀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머핀의 일반성분 측정 결과 수분함량은 비트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다. 단백질에서는 모든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1). 지질에서는 9%첨가군에서 1.59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났다. 회분에서는 3%, 9%첨가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다. 머핀의 높이는 4.7~5 cm정도로 나타났으며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트 머핀의 부피는 대조군이 $145cm^3$으로 나타났으며,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01). 주사전자현미경(SEM) 측정한 결과는 비트 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글루텐 함량이 적어지므로 거친 기공을 나타났다. 색도 측정결과 비트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 L값, b값은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하였다. 비트 머핀 texture 결과 경도(hardness)는 비트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착성(adhesiveness)에서는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낮게 나타났으며, 모든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01). 응집성(cohesiveness)에서는 9%에서 0.3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01). 검성(gumminess)에서는 3%, 6%에서 높게 나타났다. 씹힘성(chewiness)은 3%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측정결과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nce)에서 6% > 9% > 3% > 0%순으로 나타났으며, 위의 결과로 비트 6%첨가 제조 시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천연색소인 베타라인계 색소를 가진 비트를 이용한 다양한 제빵제품개발도 기대해볼 수 있을 거라고 사료된다.

벼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이 미질 관련 형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orage Period and Temperature on the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Rice Quality)

  • 하기용;박홍규;고재권;김정곤;최윤희;김기영;김영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25-29
    • /
    • 2006
  • 장기 저장시 취반특성에 영향을 주는 벼 품종간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에 따른 색도 변화, 지방산 함량 및 식미치 등 쌀 품질저하에 관여하는 요인을 구명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는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색도(b값)는 모든 품종에서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저장 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으로 상온저장이 저온$(5{\sim}10^{\circ}C,\;10{\sim}15^{\circ}C)$저장보다 높았으며, 저온저장의 경우 6개 월 후부터, 상온저장의 경우 4개월 후부터 b값이 뚜렷이 증가하였다. 2. 공시품종중 조생종 품종인 삼천벼가 가장 높은 색도 증가를 보였으며 중생종 품종인 간척벼, 세계화벼가 중만생 품종인 동진벼와 호진벼보다 높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3. 토요 식미치는 품종간 차이가 있으나, 상온저장시 저온저장에 비하여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 폭이 커서 저온 저장보다 낮았는데, 저온저장시는 8개월 저장 후부터 약간 감소하였고, 상온저장시는 2개월 후부터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4. 저장온도간 토요 식미치는 $5{\sim}10^{\circ}C$에서 감소 폭이 가장 적었고 품종간에도 색도에서와 마찬가지로 조생종 품종일수록 감소폭이 컸다. 5. 현미 지방산도는 저장 2개월 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상온저장시 저온저장시보다 증가폭이 컸다.

참깨 재배조건에 따른 생육과 품질 (Growth and Seed Quality as Affected by Growing Condition in Sesame)

  • 김동관;국용인;천상욱;강명화;이주철;김명석;박규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43-447
    • /
    • 2002
  • 참깨 재배조건에 따른 생육과 수량 및 품질 차이를 구명하고자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닐하우스 재배가 노지 재배에 비해 개화기가 빠른 반면 성숙기가 늦어 생식생장기간이 길었다. 또한 경장과 착삭부위장이 매우 길었다 한편 주당삭수가 많고 천립중이 무거워 수량이 57%가량 많았다. 2. 비닐하우스 재배에서는 6월 8일 파종구가 5월 9일 파종 구에 비해 착삭부위장이 길었다. 그리고 주당삭수가 많고 천립중이 무거웠다. 또한 착삭 상단부위 등숙율이 높고 착삭 중, 하단부위 천립중이 무거우나 수량은 비슷하였다. 3. 노지 재배에서는 5월 9일 파종구가 6월 8일 파종구에 비해 유효분지수와 주당삭수가 많았다. 그러나 착삭 상, 중단부위의 등숙율이 낮고 천립중이 가벼워 수량은 비슷하였다. 4. 종실의 $L^*$값은 재배조건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a^*$값은 비닐하우스 재배에서 높았으나 $b^*$값은 노지 재배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파종기간 색차($\Delta E^*{ab}$)는 노지 재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비닐하우스 재배에서는 수용성 성분인 세사미놀 배당체 함량이 높고, 노지 재배에서는 세사민과 세사몰린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