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son doctor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1711년 "양동창화후록(兩東唱和後錄)"과 한일의학문화교류 (YangDongChangHwaHuRok and the Korea-Japan Medical Culture Exchange of the Year 1711)

  • 박히준;안상우;김남일;신민규;차웅석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95-303
    • /
    • 2005
  • YangDongChangHwaHuRok(兩東唱和後錄)is a book that organized the conversation between Joseon physician Ki-DuMun(奇斗文) and Japanese Acupuncture specialist Murakami Tanio(村上溪南) and others when they visited the quarters where the Choson Delegation(朝鮮通信使) were staying in, while the Choson Delegation party were visiting Japan in 1711. YangDongChangHwaHuRok(兩東唱和後錄) was discovered in the process of gathering medicine-related historical documents of the Choson Dynasty that is spread out all over the Japanese region, with the help from Japanese and Chinese scholars. This was part of the Co-Examination-Research-Process of korean medical documents that are located in the East Asia traditional medical region, which was promot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in 2003. This paper has analyzed in-depth, with an inner-medical view, the academic exchange content of YangDongChangHwaHuRok(兩東唱和後錄) by following the order of the main text. With this examination, we were able discover new facts about the interest in Primary Symptom(是動病) and Secondary Symptom(所生病) of 17th century doctors, a new hypothesis on the diffusion of HeoYim(許任)'s ChimGuKyungHeomBang(鍼灸經驗方) in Japan, the existence of a new acupuncture tool called ChongChim(腫鍼), and the influence of the 18th comtemporay famous traditional medical books (it is called UiHakYipMun(醫學入門) and ShinEungKyung(神應經) on the 18th century East Asian medical circle. We were also able to ascertain the specific medical content that was diffused to the Japanese medical circle by the Korean medical circle.

18세기 한일 침구학의 교류 - 조선통신사 의학문답기록을 중심으로 - (The Exchange of Acupuncture&Moxibustion in the 18th Century between Korea and Japan -Based of the Joseon TongShinSa (Emissary)'s Record of Catechism on Medicine-)

  • 오준호;차웅석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3권2호
    • /
    • pp.1-18
    • /
    • 2006
  • Objective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the catechism on medicine between the doctors of Joseon and Japan in the 18th century through Choson Delegation(朝鮮通信使 ). Methods: The author intended to review and analyze the contents of catechism related to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nd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and Japan ?s Acupuncture and Moxibustion. Results: At the time, Japanese doctors had a grasp on most theories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nd were very specialized clinically. They usually used filiform needles with various techniques, and already they had many different schools in practice. However, they wanted to know if their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kills were up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especially to Joseon, whom they regarded as a country advanced i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hey wanted to com- pare and contrast their Acupuncture and Moxibustion with Joseon's. 18th century Joseon was high time for Acupuncture and Moxibustion. Various tools were used in surgery, and varieties of needles were used to stimulate acupuncture points. The development of tools evinces the precision of Joseon's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t the time. Also, comprehensive works such as DongUiBoGam(東醫寶鑑) and UiHaklpMun( 醫學入門) greatly influenced Acupuncture and Moxibustion. Because of this impact, it can be deduced that Acupuncture and Moxibustion emphasizing Jang(臟) and Bu(腑) organs and Internal Injury developed greatly. In addition, acupuncturist Holm(許任)'s fame continued from the 17th century into the 18th century, and his medical practice left a huge mark on not only Joseon but other eastern Asian countries as well. Conclusions: We found out the evidences that there were a lot of exchanges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between Korea and Japan based of the Joseon TongShinSa (Emissary)'s record of catechism on medicine in the 18th century.

  • PDF

『동서의학요의(東西醫學要義)』 간행으로 본 1920년대 한의학 정체성 변화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Identity Formation of Korean Medicine in the 1920s: Focusing on the publication of Dongseo uihak youi)

  • 김현구;안상우;김남일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49-59
    • /
    • 2023
  • This paper describes the transformation of the knowledge system of Korean medicine in the early 20th-century colonial context of the 1920s in terms of 'identity formation'. At the time, newly introduced Western medicine was the dominant form of medical knowledge due to strong support from the colonial government but had did not enjoy popular support from the general public especially when compared to Korean medicine. Furthermore,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needed to utilize Korean medicine practitioners' labor due to a serious shortage of Western medicine doctors. In this context, Dongseo uihak youi (Essentials of Eastern and Western Medicines) provides an overview of the role of Korean medicine practitioners in the colonial healthcare system of the time. The book contains a figure of a 'modern' Korean medicine practitioner working within a healthcare system influenced by colonial modernity. The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doctors at that time not only published Dongseo uihak youi but also attempted to establish a school specializing in both Eastern and Western medicines or integrated Korean medicine, which would produce "the Chosŏn doctors" (Chosŏn ŭisa) on a par with doctors trained in Western medicine. Although their attempts did not materialized, they provide a clue as to how and in what direction Korean medicine pursued its identity in the 1920s.

1910년대 주거담론의 성격 (Modern Housing Discourse of Korea in 1910s)

  • 김명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628-633
    • /
    • 2010
  • 1910년대 주거담론은 위생론 일반을 다루는 글, 여성의 주택청결 관리를 계몽하는 글 그리고 일본인이 한국전통주택을 관찰하고 평가하는 글에서 등장한다. 1900년대의 그것과 비교하면 위생에 초점을 두는 점은 같지만 깊이와 양에서 매우 위축되어 있다. 담론의 주체와 맥락도 달라졌다. 1900년대 주거담론은 위생을 국가의 문명화와 부국강병을 위한 방법론으로 인식한 개화론자들이 주도했고 국가의 공중위생 책무를 강조하는 담론과 함께 전개되었다면, 1910년대는 여름철이나 환절기 전염병을 예방 차원에서 개인위생을 계몽하는 의사나 의료관료들을 통해 주로 개진되었다.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환경위생사업에서 식민지 조선인의 거주지와 주택은 제외되어 불결했고, 공중위생정책에서 차별받는 그들에게 주거의 청결은 개인의 책임지고 해결해야 할 문제였다. 주택의 불결은 민족적 미개함 열등함의 표상이 되었고 식민지지배의 당위성을 공고히 하는 효과를 낳았다. 또한 1920년대 주거개량 문제가 조선인의 인종적 개량과 문명화의 과제로서 논의되는 데 심리적 배경이 되었다.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보존 현황 및 과제 (Preservation of World Records Heritage in Korea and Further Registry)

  • 김성수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7-48
    • /
    • 2005
  • 이 논문은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에 대하여 먼저 그 의미와 가치를 재확인하고, 이들 세계기록유산에 대한 보존 관리 및 그 현황을 조사하며, 한국의 기록유산을 디지털화 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모색하고, 추후 한국의 기록유산 중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기를 희망하는 4종의 기록물들에 대한 가치와 의의를 고찰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상세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2장에서는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에 대한 가치와 의의를 고찰하였다. 먼저 세계기록유산의 선정기준과 절차 등을 먼저 파악하고,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인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직지(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에 대하여 각각 그 가치와 의미를 분석하였다. 둘째, 제3장에서는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보존 관리 현황'에서는 세계기록유산을 보존하고 있는 <서울대학교 규장각> <국가기록원 부산기록정보센터> <간송미술관>의 기관별로 그 보존 관리 현황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이 3기관 모두 세계기록유산 보존 관리 현황은 '매우 우수하다'고 평가할 수 있었다. 즉, 1)그 세부적인 보안대책이 완벽하다. 2)그 보존방법에 있어서도 항온 항습의 특별한 서고를 별도로 마련하고, 이 서고 내에서 다시 '오동나무 상자 서장(書欌)'을 설치한 후, 이들 상자와 서장 속에 세계기록유산을 납입하여 보존하고 있다. 3)방화장치와 서고조명 및 소독 등에도 철저를 기하고 있음 등을 파악하였다. 셋째, 제4장에서는 '한국의 기록유산 디지털화 과제'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 기록유산의 디지털작업 및 DB구축에서 '디지털화 표준'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며,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디지털화(Digitization)에 대한 총체적이고 표준적인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국가기록관리시스템을 개발한 경험이 있는 <국가기록원>과 한국학 고기록물의 디지털화에 많은 관심을 가진 <문화재청>이 공동으로 노력하여, 한국학 관련 기록유산의 디지타이제이션(Digitization)에 대한 총체적이고 표준적인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됨을 파악하였다. 넷째, 제5장 '세계기록유산 등록을 추후 희망하는 한국의 기록유산'에서는 한민족의 기록유산 중에서 차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기를 희망하는 4종 즉, 1)<해인사 고려대장경 경판>, 2)"동의보감", 3)"삼국유사", 4)"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기록물에 국한하여, 그 어떤 의미에서 세계적인 가치와 의의가 있는가를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