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ru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5초

Radiation belt electron losses induced by wave-particle interactions

  • Summers, Danny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9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8권2호
    • /
    • pp.32.2-32.2
    • /
    • 2009
  • We examine cyclotron resonant interactions of radiation belt electrons with VLF chorus, plasmaspheric ELF hiss and electromagnetic ion cyclotron (EMIC) waves. Bounce-averaged diffusion rates depend on wave mode, equatorial pitch-angle, electron energy and L-shell. As well, diffusion rates can be sensitive to the latitudinal distributions of particle density and wave power. For different configurations of the plasmasphere, we calculate electron precipitation loss timescales due to combined scattering by VLF chorus, ELF hiss and EMIC waves.

  • PDF

화성 진행 학습 모델을 적용한 규칙 기반의 4성부 합창 음악 생성 (Rule-Based Generation of Four-Part Chorus Applied With Chord Progression Learning Model)

  • 조원익;김정훈;천성준;김남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11호
    • /
    • pp.1456-146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규칙 기반의 4성부 합창 음악 생성 과정에 화성 진행 학습 모델을 적용해 보고자 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32음의 멜로디를 입력으로 받아 다른 세 성부를 화성학의 규칙에 맞게 완성시켜 주며, 그 과정에서 사용하는 화성 진행을 CRBM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한다. 학습 데이터는 화성학 교육 자료집에서 다수 발췌하였으며, 화성 진행을 조성에 독립적으로 추출하여 주어진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 모델을 적용한 결과물이 기존의 규칙 기반 4성부 합창 음악에 비해 보다 자연스러운 진행을 보임이 확인되었다.

Effectiveness of Mating Call Playbacks in Anuran Call Monitoring: a Case Study of Three-striped Pond Frogs (Rana nigromaculata)

  • Sung, Ha-Cheol;Kim, Su-Kyung;Park, Shi-Ryong;Park, Dae-Si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9권4호
    • /
    • pp.199-203
    • /
    • 2005
  • We studied the effectiveness of mating call playbacks on call monitoring of three-striped pond frogs (Rana nigromaculata). Playback experiments were conducted between 2100 to 0030 at 15 sites located at Chungwon, Chungbuk, and Yeongi, Chungnam, in May 2005. We recorded call responses of 25 males to two different call playbacks, (i) single mating calls from a single male and (ii) chorus mating calls from five males, by randomly presenting the calls with a 15 min-gap between the two playbacks. We compared the number of response calls of the focal males for three min before, during, and after the playbacks. Five of 25 males were silent before stimulus presentation, but all the males emitted calls after the playbacks. The number of calls in response to single playback calls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the three playback periods, where males gave more calls during the playback than before or after the playbacks. In addition, subject males presented significantly more calls to single call playbacks than to chorus call playback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layback using repeated single mating calls is effective in call monitoring of R. nigromaculata males.

오디오 핑거프린트의 비트에러율을 이용한 자동 음악 요약 기법 및 시스템 (Automatic Music Summarization Method by using the Bit Error Rate of the Audio Fingerprint and a System thereof)

  • 김민성;박만수;김회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53-463
    • /
    • 2013
  • 본 논문은 음악의 코러스(chorus) 구간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기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다루었다. 코러스 구간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음악 요약 기술은 방대한 음악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음악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샘플 음악을 생성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기존의 알고리즘들은 2차원 유사도 행렬, 확률모델, 신경망모델, 템포 특징 벡터, 클러스터링 기법 등을 적절히 활용하여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의 오디오 핑거프린트를 추출한 후 곡 내의 오디오 핑거프린트 구간 쌍의 비트에러율을 통해 음악 요약을 추출한다. 다만, 음악 검색 솔루션에서 사용된 오디오 핑거프린트가 데이터베이스에 이미 존재할 경우에는 이를 바로 로딩한 후 비트에러율을 계산하여 음악 요약을 추출할 수 있다. 이런 방법은 이미 만들어진 데이터베이스를 변형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음악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다양한 알고리즘과 솔루션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음악의 코러스를 추출하는데 있어서 기존 방식보다 매우 뛰어난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야생조류 새벽 지저귐 개시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과 종간 차이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Start of the Dawn Chorus of Wild Bird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Species)

  • 기경석;홍석환;김지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44-352
    • /
    • 2015
  • 본 연구는 야생조류의 새벽 지저귐 시작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과 종간 차이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음성녹음은 봄철(2014년 4월~7월) 번식기 동안 일출 2시간 전에 시작하여 매일 2시간씩 실시하였다. 녹음된 소리는 분석 프로그램(Adobe Audition CC)을 이용하여 소노그램 패턴 확인을 통해 종을 구분하고 종별 지저귐 개시 시간을 분석하였다. 야생조류 지저귐 시작시간과 환경요인 및 종간차이 분석을 위해 한국 기상청으로부터 기상자료(일강수량, 율리안일, 일출시간, 월출시간, 온도, 여명시간)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일강수량과 월출시간을 제외한 모든 환경요인이 야생조류의 지저귐 개시 시간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야생조류 종간 지저귐 개시 시간에 차이가 있었다. 야생조류는 지저귐 개시 시간 차이에 따라 3개 그룹(일찍 일어나는 새, 중간에 일어나는 새, 늦게 일어나는 새)으로 구분되었다. 꿩과 노랑턱멧새는 일찍 일어나는 새 그룹에 속하였고, 딱따구리류는 늦게 일어나는 그룹에 속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야생조류를 대상으로 지저귐 개시 시간에 대한 우선순위를 밝힌 최초의 논문이라는 데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왜 종별로 지저귐 개시 시간에 차이가 나는지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Short-duration Electron Precipitation Studied by Test Particle Simulation

  • Lee, Jaejin;Kim, Kyung-Chan;Lee, Jong-Gil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2권4호
    • /
    • pp.317-325
    • /
    • 2015
  • Energy spectra of electron microbursts from 170 keV to 340 keV have been measured by the solid-state detectors aboard the low-altitude (680 km) polar-orbiting Korean STSAT-1 (Science and Technology SATellite). These measurements have revealed two important characteristics unique to the microbursts: (1) They are produced by a fast-loss cone-filling process in which the interaction time for pitch-angle scattering is less than 50 ms and (2) The e-folding energy of the perpendicular component is larger than that of the parallel component, and the loss cone is not completely filled by electrons. To understand how wave-particle interactions could generate microbursts, we performed a test particle simulation and investigated how the waves scattered electron pitch angles within the timescale required for microburst precipitation. The application of rising-frequency whistler-mode waves to electrons of different energies moving in a dipole magnetic field showed that chorus magnetic wave fields, rather than electric fields, were the main cause of microburst events, which implied that microbursts could be produced by a quasi-adiabatic process. In addition,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high-energy electrons could resonate with chorus waves at high magnetic latitudes where the loss cone was larger, which might explain the decreased e-folding energy of precipitated microbursts compared to that of trapped electr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