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rdode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산 흑연가시 속(유선형동물 문, 철선층 목)의 2종 (Two Species of Genus Chordodes(Gordioidea, Nematomorpha) from Korea)

  • 백광민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9권2호
    • /
    • pp.221-228
    • /
    • 1993
  • 1988년 10월부터 1992년 10월 사이에 남한의 4개 지역에서 채집된 철성충중 Chordodes속에 속하는 1신종 Chordodes koreensis, n. sp, 와 1미기록중 Chordodes japonensis Inoue, 1952를 기재한다. 본 Chordodes속은 한국에서 처음 발표되어 2종의 큐티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 기재하였다.

  • PDF

개의 구토물에서 분리한 오디흑연가시(철선충)의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f the Horsehair Worm, Chordodes koreensis (Nematomorpha: Gordiida), Isolated in Canine Vomitus)

  • 손화영;채준석;김현철;박배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8-352
    • /
    • 2009
  • 개의 구토물에서 발견된 기생충의 진단을 의뢰 받았다. 충체는 육안상 흑갈색을 띠고 있었고 길이 215 mm, 폭 1.2 mm 였다. 광학현미경에서 각피, 각피하층, 근층 내에 mesenchyme, nerve cord, pseudocole, 장이 존재하였으나 생식기는 관찰되지 않았다. 각피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서 5개의 특징적인 areoles이 관찰 되었다. 5개의 Areole의 형태는 각각 simple, tubercle, bulging, crowned, circumcluster areole로서 Chododes속의 특징적인 형태를 지니고 있었다. 입의 발달은 미약하였고 총배설강은 후단에서 3.7 mm 전방 배측 정중선에 개구하였으며 후단 정중선에 얕은 구가 존재 하였다. 상기의 결과에 근거하여 오디흑연가시(Chordodes koreensis)의 수컷 유충으로 동정하였다. 철선충증의 인체보고는 많이 있으나 개에서의 보고는 거의 없으며 이는 국내 최초의 개에서의 오디흑연가시증의 증례보고이다.

개의 구토물에서 분리한 오디흑연가시(철선충)의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해부학적 소견 (Anatomical Study of Chordodes koreensis in the Parasitic Phase Using Electron Microscopy)

  • 손화영;채준석;김남수;김현철;조정곤;박배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86-590
    • /
    • 2009
  • 철선충은 주로 사마귀와 같은 곤충에 기생하는 선충류로 사람이나 동물은 우연히 감염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철선충의 생활사는 크게 곤충에 기생하는 기생생활기, 그리고 발육이 완료된 후에 숙주를 죽이고 외계로 나와 자유생활을 하는 자유생활기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개의 구토물에서 오디흑연가시 수컷을 발견하여 이의 횡단면을 주사 및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이다. 전자현미경하에서 표피는 4층(epicuticle, cuticle, epidermis, muscle)으로 이루어졌고, 내강에는 장, 배신경절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고환은 발견되지 않았다. 표피의 최상층에서 여러 형태의 areoles이 관찰되었으며, cuticle은 17열의 섬유로 이루어져 있었다. Epidermis는 1열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muscle층은 여러 개의 근세포가 종으로 일정하게 배열되어 있었다. 그리고 내강에 배신경절이 충체의 정중앙 배측에서만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본 철선충은 기생생활기를 끝내지 못한 미성숙충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