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nnam coastal area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8초

하천수정화 연못-습지 시스템 부들 습지셀의 초기 질산성질소 제거 (Nitrate Removal Rate in Cattail Wetland Cells of a Pond-Wetland System for Stream Water Treatment)

  • 양홍모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6호
    • /
    • pp.24-29
    • /
    • 2002
  • Nitrate removal rate in three cattail wetland cells was investigated. They were a part of a pond-wetland system for stream water treatment demonstration. The system was composed of two ponds and six wetland cells. The acreage of each cell was approximately $150m^2$. The earth works for the system were finished from April 2000 to May 2000 and cattails were planted in the three cells in June 2000. Waters of Sinyang Stream flowing into Kohung Estuarine Lake were pumped into a primary pond, whose effluent was discharged into a secondary pond. The reservoir was formed by a tidal marsh reclamation project and located in southern coastal area of Korean Peninsula. Effluents from the secondary pond were funneled into the three cells. Volumes and water quality of inflow and outflow were analyzed from July 2000 through January 2001. Inflow and outflow averaged $20.2m^3/day$ and $19.8m^3/day$, respectively. Hydraulic retention time was about 1.6 days. Average influent and effluent nitrate concentration was $1.98mg/{\ell}$, $1.38mg/{\ell}$, respectively. Nitrate removal rate averaged $82.6mg\;m^{-2}\;day^{-1}$. Seasonal changes of nitrate retention rates were closely related to those of wetland cell temperatures. The average nitrate removal rate in the cells was a little lower, compared with that of $125.0mg\;m^{-2}\;day^{-1}$ for the wetlands operating in North America. This could be attributed to the initial stage of the cells and inclusion of three cold months into the seven-month study period. Root rhizosphere in wetland soils and litter-soil layers on cell bottoms could not developed. Increase of standing density of cattails within a few years will establish both root zones suitable for the nitrification of ammonia to nitrates and substrates beneficial to the denitrification of nitrates into nitrogen gases, which may lead to increase of the nitrate retention rate.

계산시간절약기법이 적용된 수정 POM WAD의 수치실험 (Numerical Experiments Using Modified POM WAD with Computing Time Saving Technique)

  • 박일흠;최흥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2-8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POM(Princeton Ocean Model) WAD(Wetting and Drying) 모형을 연안역에서 조석조류의 계산에 적합하도록 개경계에서 조석조화상수를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CTS(Computing Time Saving) 기법을 도입하여 계산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이와 같이 수정된 모형은 장방형 내만에 하나의 절점을 갖는 정상파에 대한 해석해 실험과 유속 및 열확산에 대한 수리모형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간석지가 발달한 광양만의 현지해역에 이 CTS 기법을 적용하여 계산시간이 39.4% 단축되는 결과를 얻었다.

위성영상에서 관측한 태풍 Nabi 통과시의 한반도 동부해역 수온의 단기변동 (Short-term Variation of Sea Surface Temperature Caused by Typhoon Nabi in the Eastern Sea of Korean Peninsula Derived from Satellite Data)

  • 김상우;야마다게이꼬;장이현;홍철훈;고우진;서영상;이주;이규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02-107
    • /
    • 2007
  • A remarkable sea surface cooling (SSC) event was observed in the eastern sea of Korean peninsula based on new generation sea surface temperature (NGSST) satellite images in September 2005, when typhoon Nabi passed over the East Sea. The degree of SSC ranged from $1^{\circ}C\;to\;4^{\circ}C$, and its maximum was observed in the southeastern sea area. Daily variations in sea surface temperature at a longitudinal line $(35^{\circ}-41^{\circ}N,\;132^{\circ}E)$, derived from satellite data for September 1-13, 2005, showed that the SSC lasted about 3 days after the typhoon passed in the south of $39^{\circ}N$, whereas it was unclear in the north of$39^{\circ}N$. Water temperature measured by a mooring buoy suggested that the SSC was caused mainly by a vertical mixing of the water column driven by the typhoon, rather than by coastal upwelling.

선소 해역 부근의 해양 환경 개선 사업 고찰 및 주민들의 환경 인식 조사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Marine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Environmental Perception of the Inhabitants around the Sun-So Coast)

  • 심왕근;박세라;김상채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2권1호
    • /
    • pp.12-30
    • /
    • 2009
  •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ne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environmental perception of the inhabitants was investigated. For this purpose, the seawater and bottom materials were analysed. Apart from this, the questionnaire surveys were also conducted around the Sun-so coastal area. In order to examine the improvement in the marine environment, 12 monitoring sites, which are located around Sun-so coast and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such as inland (GW1-GW6) and outland (GW7-GW12) sea, were chosen. All the collected samples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quality of seawater (temperature, pH, salinity, dissolved oxygen: DO, chemical oxygen demand: COD and suspend solid: SS), nutrients (total nitrogen: TN and phosphate: $PO_4-P$) and bottom materials (COD, volatile solids: VS) as per the standard analytical procedures. In addition, the questionnaire mainly focused on the following three factors: 1) social economy, 2) dependent environmental awareness and 3) independent environmental awareness related wit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e monitoring studies indicated that the marine environment of the Sun-so coast showed various trends for analyzing parameter. No significant temporal changes in temperature, pH and salinity were observed. However, the other parameters showed decreasing (COD, SS, TN, $PO_4-P$ and VS) and increasing (DO) trend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seawater and bottom materials. The questionnaire survey clearly showed that most of the residents in Sun-so recognized the improvement of marine environment as compared with the situation experienced in the past. The dredging project which is closely related with economic and living conditions of the local residents led to alter the environmental perceptions and attitudes. The survey also indicated that the inhabitants perceived the necessity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87% of respondents) and preferred regular schooling (55% of respondents) as effective and practical education methods.

  • PDF

서남해에서 해상풍력구조물의 건설에 의한 해저지형의 변화예측 (Prediction of Seabed Topography Change Due to Construction of Offshore Wind Power Structures in the West-Southern Sea of Korea)

  • 정승명;권경환;이종섭;박일흠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6호
    • /
    • pp.423-433
    • /
    • 2019
  • 서남해에서 해상풍력구조물의 건설에 따른 해저지형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조석, 조류, 부유사 그리고 해저질 등에 대한 현장조사를 수행하였고, 이들 자료를 수치실험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치실험에서 표사량 산정은 관련 상수를 시행착오적으로 변화시켜 관측된 부유사농도에 대해 계산치의 오차가 적당할 때에 경험상수들을 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어떤 농도분포인자가 0.1 그리고 부유사 평형농도 공식의 비례상수가 0.05일 때, 관측치와 계산치가 합리적으로 유사하였다. 부유사농도에 관한 개경계조건은 관측된 부유사농도에 대해 남동측 경계점에서 11.0배, 남서측 경계점에서 0.5배, 서북측 경계점에서 1.0배, 북서측 경계점에서 1.0배 그리고 북동측 경계점에서 1.0배이었을 때, 개경계와 서로 인접한 계산영역 내의 수심변화 계산결과가 단속적이지 않고 매끄럽게 나타났다. 그리고 연간침식퇴적량은 해상풍력 구조물의 건설전후에 대하여 그 변화가 ± 1 cm 이상 발생하는 해역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는데, 사용된 대격자 수치모형은 세굴과 같은 국지적 현상을 재현할 수 없고, 해상풍력 하부구조물이 직경 1 m 정도의 자켓타입의 투과식이어서 이들에 의하여 ± 2 cm/s 이상의 유의미한 유속변화역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해저지형변화가 미미한 것은 당연한 결과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1.물리${\cdot}$화학적인 특성 (The Outbreak of Red Tides in the Coastal Waters off Kohung, Chonnam, Korea: 1.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in 1997)

  • 양재삼;최현용;정해진;정주영;박종규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5권1호
    • /
    • pp.16-26
    • /
    • 2000
  • 비내만성 적조가 빈발하는 남해안 고흥 해역에서 1997년 5월에서 10월까지 적조발생 이전, 도중 그리고 이후 등 총 6차에 걸쳐 해수 물성 및 영양염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연구해역의 해수특성 변화 및 수층구조는 국지적인 기상조건이나 인접한 육지의 영향보다는 외해역에서 유입되는 해수의 특성에 따라 변화하였다. 특히 적조 발생기간인 8월에서 9월 사이에 극심한 해수환경의 변화가 발견되었다. 적조발생 전에는 주변환경에 비하여 높은 농도의 용존무기질소가 관측된 반면, 적조가 발생한 기간에는 오히려 농도가 낮아졌다. 그러나 용존무기인 농도의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해역의 북측 내만은 인근 육지에서 공급된 용존무기질소의 양이 전체 유입량의 70%를 차지하고, 그 외의 해역에서는 외해로부터 유입된 수지(flux)가 전체 유입량의 98%로 주 유입원이 된다. 이와 같이 높은 영양염과 고온${\cdot}$저염의 특징을 가진 외해 공급원은 하절기에 남해를 통과하는 고온${\cdot}$저염의 특성을가진 양자강 희석수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고온${\cdot}$저염수가 출현한 8월 21일에 적조생물 Gyrodinium impudicum이 처음 발견되었고, 해수특성이 다시 크게 달라진 9월 22일에 적조가 소멸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외해역에서 연구해역으로 간헐적으로 유입되는 외해수의 출현과 적조의 발생 및 소멸이 깊은 관련이 있음을 제시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2011-2012년 서해 보령연안 수온의 시공간적 변동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in Sea Surface Temperature Around Boryeong off the West Coast of Korea From 2011-2012)

  • 추효상;윤은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97-512
    • /
    • 2017
  • 2011~2012년 보령연안 수온의 시공간적 변동특성을 장기 연속수온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온은 반일 또는 일일의 단주기 변동이 전 계절에 탁월하고 그 진폭은 하계와 춘계에 크고 추계에 작다. 수온과 기온의 연변동 진폭은 기온 $12.9^{\circ}C$, 수온 $10.9^{\circ}C$로 기온이 더 크며, 연변동 최고위상은 기온 8월 2일, 수온 8월 22일로 기온이 20일 앞선다. 수온의 연변동 진폭은 원산도와 대천항 연안에서 가장 크다. 수온변동 중 일일주기는 대천항과 무창포항, 반일주기는 원산도 주변 협수로에서 탁월하며, 대천천 하구는 천해조 비율이 높다. 표층수온과 기온은 대체로 풍향 변동에 따라 변동한다. 하천수가 방출되면 수온은 상승 후 하강 또는 하강 후 상승한다. 수온 탁월주기는 0.5일, 1.0일, 15일 주기와 7~10일 전후이다. 수온변동특성에 따라 해역을 분류하면 (1)원산도 남동연안의 혼합수역 (2)삽시도~용도, 장고도~삽시도, 장고도~안면도 남쪽의 서쪽 외해수역 (3)용도~독산의 남쪽 외해수역 (4)송도~대천항~무창포항의 조간대 연안수역으로 구분된다.

태안 허베이스피리트호 원유 유출사고가 대형저서동물군집에 미치는 초기영향 (The Early Impacts of the 'Hebei Spirit' Oil Spill on the Macrozoobenthic Communities in the Subtidal Area Around Tae-an, Western Coast of Korea)

  • 서진영;박소현;신현출;임현식;최진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6권3호
    • /
    • pp.139-146
    • /
    • 2011
  • 본 연구는 충남 태안에서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 유류유출 사고 직후 유류오염이 대형저서동물 군집에 미치는 초기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고, 10일 후인 2007년 12윌 18일부터 22일까지 72개 정점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고 주변 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228종, 서식밀도는 561 개체 $m^{-2}$였으며, 생물량은 39.7 gww $m^{-2}$였다. 본 연구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를 보인 대형저서동물은 단각류의 Ampelisca sp.였다. 그러나 이 종은 유류 오염에 민감한 종으로 유류오염의 직접적 영향을 받았던 만리포 주변 해역에서는 전혀 출현하지 않았다. 반면 기회주의적 다모류에 속하는 얼굴갯지렁이류의 Prionospio bocki, Prionospio cirrifera가 만리포 주변 해역에서 우점하게 나타나는 등 유류오염에 의한 징후가 나타났다. 또한 유류사고 직전에 수행된 연구 결과들에 비해 서식밀도 및 생물량 조성이 크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일부 해사채취해역에 위치한 정점들에서는 유류사고 전후의 군집조성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동해 울진 바다목장해역의 크기별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Spatio-temporal Fluctuation of Phytoplankton Size Fractionation in the Uljin Marine Ranching Area (UMRA), East Sea of Korea)

  • 윤양호
    • 환경생물
    • /
    • 제34권3호
    • /
    • pp.151-160
    • /
    • 2016
  • 동해 울진 바다목장해역에서 크기별 식물플랑크톤 구성비 및 물질순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현장조사는 2008년 4월에서 11월까지 4회 실시하였다. 바다목장해역 표층의 피코플랑크톤은 $0.03{\sim}0.87{\mu}g\;L^{-1}$의 변동 폭으로 연평균 $0.26{\mu}g\;L^{-1}$로 12.9% 구성비를 나타내었고, 나노플랑크톤은 $0.11{\sim}5.60{\mu}g\;L^{-1}$의 범위로 연평균 $1.32{\mu}g\;L^{-1}$로 65.0%, 네트플랑크톤은 nd~$4.68{\mu}g\;L^{-1}$의 범위로 연평균 $0.45{\mu}g\;L^{-1}$로 22.1%를 차지하였다. 10 m 수심도 다소 측정값의 차이는 있지만, 변동양상은 표층과 유사하였다. 시간적으로는 여름 네트플랑크톤 구성비가 30%까지 상승하였지만, 연간 피코 및 나노플랑크톤 구성비가 70% 이상으로 높은 특징을 보였다. 즉 동해 바다목장해역의 물질순환은 계절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담수유입이 원활한 연안해역의 먹이사슬 구조 (bottom-up)보다는 빈영양 환경특성으로 생태계순환에 의한 물질순환 (top-down)에 더욱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초등 사회과 지리 영역에 있어서 환경교육의 방안 (A Study on Method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Geographic Section of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 홍기대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9권1호
    • /
    • pp.39-57
    • /
    • 1996
  • All kinds of environmental problems are related to each local and geographical environment.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for schools in each region to provide environmental education which suits the geographical character of their particular region. In order to provide solutions to the environmental problems of each school's geographic region,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1. We can make students re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race and the environment by teaching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n each local area. 2. By teaching students about the problems in their own local environment, we can increase their concern about the state of their local surroundings. 3. When teaching about the environment, it is useful to use educational material which suits the character of each local region. 4. Students' interest in environmental preservation can be aroused through extracurricular environmental activities. The ares concerned are Chonnam and Kwangju City, which are divided into urban, industrial, rural, coastal, and mountainous areas. The conclusion about considering environmental education in environmental school social studies is as follows: 1. Kwangju and Chonnam should be divided into five sections, each with similar geographical environments. This will be an improvement over the old uniform approach to environmental studies in which all regions were treated as being the same each region will now receive special attention. 2.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efficient use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Building. When Media, environmental data and special material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re used effectively, teachers can lead class effectively and students will be more interested in the class. 3. We can detect the cause of pollution, increase interest in the environment and easily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by collecting and displaying environmental educational materials. 4. An environmental education corner could boost students' interest in environmental problems and could act as a kind of bridge between theoretical and practical education. 5. Media and environmental data must be specialized according to the geographic character of each region. In this way, we can expect to improve the qual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over the simplistic environmental education of previous years. 6. Students will become interested in the problems of the region in which they live through social studies, and primarily through the environmental curriculum. 7. We can prevent learning deficiencies by making a consistent teaching pla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ill be improved and the teachers will be proud of what they teach. 8.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Procedure Content Analysis is to make teaching and learning concise and easy by systematizing environmental and related subjects. This can be done by adding an environmental unit to the geographic section of social studies. 9. Citizens' interest in their own residential environment can be increased through action by sustaining environmental preservation movements to local region peop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