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linesterase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3초

두충차 추출액이 알루미늄 투여 흰쥐의 알루미늄 축적률과 각종 장기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ucommia ulmodies Oliver Tea Extract on aluminum Accumulation Rate and Tissue Function in Aluminum-administered Rats)

  • 한성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39-846
    • /
    • 2010
  • 본 연구는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급여가 두충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시한 결과 식이섭취량에서 두충차 추출액과 알루미늄 병합급여군은 알루미늄 단독급여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나 각 실험군간에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음용수 섭취량은 알루미늄 단독 급여군에 비하여 알루미늄과 두충차 추출액 병합급여군이 약간 증가하였다. 체중 증가량은 대조군과 두충차 추출액 급여군에 비하여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급여군이 감소하였으며 식이효율은 각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간, 심장, 신장, 폐, 위, 소장, 대장 및 비장 조직 중의 알루미늄 함량에서 대조군과 두충차추출액급여군 간에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각각의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급여군에 비하여 알루미늄과 두충차 추출액 병합급여군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레닌활성도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두충차 추출액 급여군이 감소하였고, 각각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급여군에 비하여 알루미늄과 두충차 추출액 병합급여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알도스테론농도는 각각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급여군에 비하여 알루미늄과 두충 추출액 병합급여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LT와 AST는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단독 급여군에 비하여 알루미늄과 두충차 추출액 병합 급여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LDHase는 알루미늄 급여군에 비하여 알루미늄과 두충차 추출액 병합급여군이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ChEase는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단독급여군에 비하여 두충차 추출액과 알루미늄 병합급여군 및 대조군과 두충차 추출액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알루미늄을 만성적으로 섭취하게 되면 독성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두충차추출액이 알루미늄에 의해 손상된 조직과 AST, ALT, LDHase. ChEase 활성도, 레닌, 알도스테론 호르몬 농도에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두충의 폴리페놀 성분이 알루미늄에 의한 어느 정도 중독 완화 효과가 있으며, 본 실험은 흰쥐를 이용한 동물모델로 실시하였으나 알루미늄은 여러 경로를 통해 사람에게 노출 될 수 있으므로 알루미늄이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국내 사용농약의 노출 기간이 개의 독성반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Toxic Impact Analysis by Exposure Duration of Dog Studies for Pesticides using in Korea)

  • 이제봉;정미혜;유아선;홍순성;백민경;오진아;박경훈;임양빈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50-358
    • /
    • 2013
  • 농약의 등록을 위한 국내 독성시험성적 요구 기준 중 비식용 농약 등 인체노출이 장기적으로 발생되지 않는 물질에 대하여 개 1년 독성시험 성적을 요구할 것인가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개 13주와 1년 시험성적을 독성학적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에 ADI 설정을 위하여 평가한 40종 농약과 기존에 등록된 농약 중 ADI가 고시된 농약 등 총 166종을 대상으로 ADI설정에 사용된 독성시험성적, 주요관련 표적장기, 13주 및 1년의 표적장기 및 영향의 유사성, NOAEL 차이 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166종 중 68(41%)종이 개를 이용한 독성시험 NOAEL을 이용하여 ADI를 설정하였고, 표적장기에 대한 영향으로는 간에 대한 영향 49건, 체중변화 21건, 콜린에스테라제 저해 16건, 혈액학적변화 14건 등의 순이었으며, 13주와 1년 시험의 표적장기 및 영향의 유사성은 73%에 달했다. 두 시험 간 NOAEL에 대한 차이는 최근 등록된 40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1.5배 이내로 관찰된 것이 22종(55%)으로 가장 많았고 1.6~3.5배가 9종이었다. 나머지 9종에서도 대부분 투여용량 설정 등의 문제였으며 4종(10%)만이 13주 및 1년간에 독성학적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여뀌섭취가 반추수에 비치는 임상병리학적 영향 (Clinicopathological Effects of Waterpepper (Persicaria hydropiper) on Ruminants)

  • 조명래;한홍율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27-259
    • /
    • 1989
  • Waterpepper is a weed which grows on damp soil. especially near swamps, and in shallow water of ponds and ditches. It Is wide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In abundant colonies. In the present experiments, possible toxic effects of waterpepper were investigated in ruminants. Pour cows were fed waterpepper ad libitum or by force in the from of green forage, hay and/or powder, 8 goats were administered in the form of methanol extract, and 4 goats, crude juice, into the lumen. Clinical signs were examined as well as urinalysis, hematology, serum chemical analysis, pH/blood gas analysis and chclinesterase activities following administration of waterpepper. Six goats which were administered the methanol extract or crude juice were sacrificed for pathological examinations., In addition to the clini copathological examinations,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waterpepper were qualitively analyzed from the methanol extract and the Effects of the waterpepper crude juice were examined on the motility of rabbit duodenum and uterus. It is revealed that waterpepper contains steroids, terpenoids, flavonoids, tannin and essential oils in the methanol extract and nitrates in the crude juice. The crude juice of waterpepper relaxed the rabbit uterine and duodenal smooth muscles. The constraction of duodenum by acetylcholine or BaCl$_2$ were partially inhibited by pretreatment of the crude juice. However, the relaxation of duodenum by the crude juice was not blocked by the pretreatments of phenoxybenzamlne, propranolol, cocaine, reserpine and tetrodotoxin. The constituents of waterpepper to evoke elaxation of duodenal smooth muscle were stable to heat. The cows administered waterpepper showed common clinical symptoms such as acrid expression, restlessness, dullness, inappetence, anorexia, severe diarrhea, mild bloat and left displacement of abomasum, while bloody feces was shown in a cow. The goats administered the mothanol extract showed common clinical signs such as acrid expression, restlessness, dullness, inappetence and soft feces, while bloody feces was shown in a goat, A goat adminstered the crude juice showde bloody feces and diarrhea. Respiratory rates and heart beats were increased along with diarrhea in the experimental cows. The erythrocyte counts and MCHC were decreased whereas PCV, MCV and neutrophils were increased in the cows administered waterpepper. In goats administered methanol extract, there were decreases in erythrocytes, PCV and hemoglobin content, and an increase in MCHC. The goats ingester with the crude juice showed negligible changes in hematologic value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which was administered the same amount of water instead of the crude juice. The contents of serum calcium, Inorganic phosphorus, magnesium, Iron, glucose, cholesterol, total protein, triglycerides and phospholipids were tended to decrease in cows. In goats serum iron, glucose, triglycerides, cholesterol, BUN and phospholipids content were decreased while the content of sodium and chloride were increased after administration of the methamol extract The goats ingested with the crude juice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in serum chemical analysis. Even though there were some pathological findings such as hyperemia in the small intestines and kidneys and swelling of liver parenchymal cells, the values of serum AST, ALT, LDH, alkaline phosphatase, total bilirubin and creatinine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While proteins, hemoglobin and blood were detected in the urine of cows, urine pH, ketone bodies, glucose, bilirubin and urobilinogen content were normal or undetec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pH/bolld gas analysis data of cows and cholinesterase activities of plasma and erythrocytes of cows and goats ingested with waterpepper or the methanol extract. It is concluded that waterpepper irritates the gatrointestinal system, causes abdominal pain, relaxes the gastrointestinal smooth muscle and dilatates blood vessels supplied to the system. The irritation and relaxation may lead to abnormal fermentation, maldigestion and malabsorption of nutrients and result in diarrhea, body feces, mild bloat and left displacement of abomasum.

  • PDF

유기인제에 의한 뇌 손상에 있어서 흥분성 아미노산의 역할 (The Roles of Excitatory Amino Acid System in the Organophosphate-induced Brain Damage)

  • 고봉우;박은혜;김동식;방성현;진주연;김대성;주창완;이경갑;조문제;김소미;이봉희;류기중;박민경;이영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3호
    • /
    • pp.148-15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유기인제에 의한 뇌 손상유발에 있어서 흥분성 아미노산계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Djisopropylfluorophosphate(DFP)를 투여하여 뇌 손상을 유발한 흰쥐에 있어서, 뇌 해마부위에서의 aspartate 및 glutamate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경련유발에 따른 신경전달계의 변화와, 이에 따른 신경조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치료약물로 항콜린 약물인 atropine과 NMDA 수용체 길항제인 procyclidine을 각각 단독 또는 병합 투여하여 DFP에 의한 뇌신경독성에 대한 방어효과를 관찰하였다. DFP를 투여한 흰쥐는 경련유발과 더불어 해마부위 에서의 현저한 aspartate와 glutamate의 농도 증가를 보였으며, 병리조직학적으로 해마의 신경세포 감소를 보였다. DFP에 의하여 상승되어진 해마부위의 aspartate와 glutamate의 수준은 procyclidine에 의하여 현저히 억제 되었으나, atropine에 의하여는 DFP 투여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rocyclidine과 atropine 병합 투여 시에는 procyclidine 단독 투여시와 동일한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조직염색소견에서도 DFP에 의하여 현저하게 소실되어진 신경세포는 atropine 단독 투여시보다 procyclidine 단독 투여군 또는 atrpopine과 procyclidine 병합 투여군에서 뚜렷한 신경세포의 손상 및 소실을 방어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DFP에 의하여 유발된 경련은 흥분성 아미노산 신경전달계를 활성화시키고 이에 따라 뇌신경의 손상이 유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procyclidine은 DEP에 의한 경련유발과 뇌 세포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었으며, 이는 흥분성 아미노산계 중 NHDA수용체가 DFP에 의한 뇌 손상기전에 관여됨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로 DFP에 의하여 유발된 경련은 일차적으로 콜린성 신경계를 과도하게 자극하여 이에 따른 흥분성 아미노산의 과도한 분비를 유발하고 특히 NMDA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뇌의 손상을 가져온다고 사료된다.

  • PDF

일부 농촌지역 비닐하우스 농사자들의 작업환경 및 농부증 실태와 관련요인평가 (A Studs on Farmers Syndrome and Its Risk Factors of Vinylhouse Workers and Evaluation of Risk Factors of Vinylhouse Works)

  • 이중정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9권1호
    • /
    • pp.101-119
    • /
    • 2004
  • 비닐하우스 농사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비닐하우스 작업에서 문제가 되는 유해 환경을 평가하기 위하여 2004년 4월 8일부터 18일까지 11일간에 걸쳐 경상북도 고령군 1개 읍, 7개면 지역의 비닐하우스 농사자 102명 및 일반 농사자 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이화학적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아울러 비닐하우스내의 기중, 토양중 중금속 측정 및 기온, 기습, 기류, 유해가스 등을 측정하였다. 비닐하우스내의 고온환경을 측정한 결과 흐린날임에도 불구하고 한낮의 비닐하우스 내부 온도는 $33.4^{\circ}$나 되었으며,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가 $16^{\circ}$ 정도를 보였다. 산소농도는 내부와 외부에서 비슷하였으며, 이산화탄소는 내부에서 농도가 낮았다. 일산화탄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8개의 비닐하우스 내부의 공기중, 카드뮴은 검출되지 않았고, 토양내 납 농도는 표토에서 모두 오히려 하우스 주변의 농지에 비해 농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카드뮴은 일부 지 점을 제외하고는 비슷한 농도를 보였다. 남자 비닐하우스 재배자에서 농부증 양성자는 16.4%, 의심자는 49.2%였으며, 여자 비닐하우스 농사자의 경우 농부증 양성 및 의심인 경우가 41.5%, 46.3% 였다. 남자 일반 농사의 경우는 농부증 양성자가 30.4%였으며, 여자 일반 농사자의 경우 농부증 양성자가 60.0%, 의심자가 28.3% 였다. 고혈압 및 간기능이상의 분포는 비닐하우스 농사자와 일반 농사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당뇨유병율은 일반 농사자에서 높았다. 농부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비닐하우스 재배, 성, 일일 농사시간이 유의한 변수로 채택되었는데 비닐하우스 농사자에서 일반 농사자에 비해 오히려 농부증 양성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비차비: 0.304, 95% 신뢰구간: 0.118-0.975), 여자에서 남자보다 양성율이 더 높은 것으로 니타났으며(비차비: 9.376, 95% 신뢰구간: 2.457-35.782), 일일 농사시간이 10시간을 초과하는 농사자에서 그 이하 시간의 농사자보다 농부증 양성율이 높았다(비차비: 4.053, 95% 신뢰구간: 1.460-11.253). 비닐하우스 농사자 중 농사를 지은 총기간, 농사면적, 하루 평균 농사짓는 시간, 같이 농사를 짓는 가족수, 농약 살포횟수 등의 농작업 관련 변수와 농부증 분포의 차이는 없었다. 또한 농약을 직접 살포하는 사람중 마스크, 방제복 착용과, 개인위생과도 농부증 분포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농부병 분포별로 혈중 납농도와 요중 카드뮴 농도, 혈청 콜린에스테라제, 혈색소치의 차이는 없었다. 비닐하우스 농사자에서 여자에서 남자보다 농부증 양성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비차비: 89.042, 95%신뢰구간: 4.357-1819.511), 일일 농사시간이 10시간을 초과하는 농사자에서 그 이하 시간의 농사자보다 농부증 양성율이 높았다(비차비: 5.312, 95% 신뢰구간: 1.280-22.054). 또한 하루평균 수면시간이 8시간 이상인 군이 8시간 미만 수면군에 비해 양성율이 낮았다(비차비: 0.281, 95% 신뢰구간: 0.081-0.978). 결론적으로 비닐하우스 내의 물리적 환경은 유해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화학적 환경의 경우 유해성의 큰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비닐하우스 농사자에서 일반농사자보다 농부증 및 고혈압, 당뇨, 간기능 이상 등의 만성병 유병률이 높지 않게 나타났으며, 비닐하우스 농사자에서 농사시간이 길수록, 수면시간이 충분치 못한 경우 농부증 유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