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operlida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Two Species of Chloroperlidae (Insecta: Plecoptera) New to Korea, with Adult Keys to Species of the Family in Korea

  • Ham, Soon-Ah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4권2호
    • /
    • pp.185-189
    • /
    • 2008
  • Two species of the chloroperlid stonefly, Alloperla medlata and Sweltsa illiesi,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lloperla mediata can be distinguished by the smaller epiproct and the presence of a median sclerite under epiproct in male, and by the modified subgenital plate in female. Sweltsa illiesi can be distinguished by the presence of a pair of ridges on tergum 9 in male and upward V-shaped pattern on the center of head in adults. The line drawings of diagnostic characters and taxonomic remarks of the two species are provided with keys and comparative characters for adults of Korean Chloroperlidae.

Poorly known Chloroperlidae (Plecoptera) from Korea, addressing a certain problem of limits between Alloperla Banks, 1906 and Sweltsa Ricker, 1943

  • Jeong Mi Hwang;Ji Hyoun Kang;Jun Mi Hur;David Muranyi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2권4호
    • /
    • pp.326-331
    • /
    • 2023
  • Alloperla tiunovae Teslenko, 2009 and Haploperla maritima Zhiltzova & Levanidova, 1978, hitherto known only from the Russian Far East, are reported from South Korea. The male of A. picta Zwick, 1973, previously known only from the female holotype collected in North Korea, was described based on numerous specimens collected in South Korea. The species previously reported as Triznaka (?) sp. sensu Zwick, 1973 proved to be A. tiunovae. The generic assignment of both A. picta and A. tiunovae point on certain problems of generic diagnosis of Alloperla Banks and Sweltsa Ricker, and call for a comparative generic review of Alloperlini Surdick, which should focus on Asian taxa.

한반도 강도래목(곤충강)의 종다양성 (Species Diversity of Plecoptera(Insecta) in the Korean Peninsula)

  • 함순아
    • 환경생물
    • /
    • 제27권1호
    • /
    • pp.100-109
    • /
    • 2009
  • 한국산 강도래목의 연구는 1921년에 시작되어 1980년대 이후부터 최근 20년간 연구가 가장 활발하였고.과별로 종수는 Nemouridae가 가장 많고, 다음이 Chloroperlidae였다. 한편 북한산 강도래목의 연구는 1938년에 시작되었고, 외국인에 의해 1970년대에 많은 진전이 있었고, 그 이후 적은 수의 종들이 추가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과별 종수를 보았을 때 Perlidae가 가장 많고, 다음이 Nemouridae였다. 한국산 강도래목은 총 10과 25속 43종이었고, 북한산 강도래목은 총 10과 20속 37종이었으며, 남북한 공통으로 보고된 종은 13종이었다. 그리고 강도래목 국명표기는 한국은 우리말식과 한자식이 혼용되었으며, 북한은 우리말식 종명 표기가 많았지만 대부분의 종의 명명이 안 되어 있었다. 특히 국내 생물자원으로서 강도래목은 환경부가 지정한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822종 중에 강도래목 9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한국 고유 생물종 2,322종 중 강도래목은 11종이 지정되어 있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2속의 국명 신칭, 즉 Megaleuctra 속은 큰꼬마강도래속, Haploperla 속은 한녹색강도래속으로 신칭을 붙였고, 4종 국명 신칭 즉, Nemoura brevicercia는 민강도래, Nemoura espera는 꽃민강도래, Amphinemura baeisms 제주아가미민강도래, Amphinemura rai는 아가미민강도래로 신칭을 붙였다.

산간 소하천에 서식하는 녹색강도래의 생활환 (Life Cycles of Sweltsa Species (Plecoptera: Chloroperlidae) in a Small Mountain Stream)

  • 정근
    • 생태와환경
    • /
    • 제48권4호
    • /
    • pp.280-286
    • /
    • 2015
  • 점봉산의 한 소하천에 서식하는 녹색강도래 Sweltsa illiesi와 S. lepnevae의 생활환이 추정되었다. 약충은 DNA barcode로 동정되었다. 이들의 약충은 성충으로 우화하기 몇 달 전부터 머리에 종 특이적 무늬가 나타났으며, 더듬이 셋째 마디의 모양이 서로 달랐다. 두 종은 거의 동일한 semivoltine 생활환을 가지며, 산란된 알은 6월에 부화하여 약 701일의 생육기간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종의 통합된 연평균 생물량은 회분외질량 (AFDM)으로 $96mg\;AFDM\;m^{-2}$으로 추정되었다. 통합 2차생산력은 size frequency법으로는 373 mg, increment summation법으로는 $297mg\;AFDM\;m^{-2}\;yr^{-1}$인 것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