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ella culture solution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7초

수계 Microcosm을 이용한 도금폐수의 독성평가 (A Study on the Toxicity Assessment of Plating Wastewater using Aquatic Microcosm)

  • 위성욱;도삼유평;조경;나명석;이종빈
    • 환경생물
    • /
    • 제20권3호
    • /
    • pp.256-262
    • /
    • 2002
  • 생태계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법으로 주로 사용되는 이화학적 측정 평가법은 객관적인 측정치를 제시하는데는 용이하다. 그러나 단지 측정치의 단순한 평균이나 최고치만으로는 타 인자와의 복합 효과 또는 지속 시간에 의한 가중 효과 때문에 실상을 나타낼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이화학적 측정치들을 객관적으로 종합하여 생태계의 상태를 파악할 필요성이 보다 중요하다. 즉 key factor나 trigger factor와 같은 생물체의 내성과 관련이 있는 인자들로 종이나 생태계의 조절 기구와의 관계를 평가해야 한다. 또한 생물을 이용하여 생태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지표종을 이용한 평가방법이 있으나 오염원에 대한 누적 효과나 종합적인 평가를 판단하는데는 한계성이 있다. 따라서 생태계를 하나의 단위로 하는 평가 방법 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실험은 생산자, 분해자, 소비자로 구성된 microcosm이용하여 대표적인 산업폐수인 도금공장 폐수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금 폐수의 이화학적 성상은 크롬 42,234.8mg\ell^{-1}$, 구리 3.1mg\ell^{-l}$, 아연 $521.3mg\ell^{-1}$로 크롬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시안은 $42.9mg\ell^{-1}$이었다. 도금 폐수를 농도별로 microcosm 내에 첨가한 후 각 개체군들의 동태 변화를 조사한 결과 Ch. vulgaris는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P. putida는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C. glaucoma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개체수가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2.5%이상의 처리구에서는 모든 개체수가 사멸하였다. 본 연구 결과 제어된 생물환경 조건하에서 구성된 microcosm이 실험 재현성이 비교적 우수하고, 안정된 미소 생태계를 유지할 수 있어 산업 폐수 및 오폐수에 대한 새로운 독성평가 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Application of Biosynthesized Silver Nanoparticles Against a Cancer Promoter Cyanobacterium, Microcystis aeruginosa

  • El-Sheekh, Mostafa Mohamed;El-Kassas, Hala Yass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6호
    • /
    • pp.6773-6779
    • /
    • 2014
  • Background: Nanotechnology opens new applications in many fields including medicine. Among all metallic nanoparticles, silver nanoparticles (silver NPS) have proved to be the most effective against a large variety of organisms including toxic cyanobacteria. Materials and Methods: Silver NPs were biosynthesized in vivo with different alga species namely, Spirulina piatensis, Chlorella vulgaris and Scenedesmus oh/iquus following two scenarios. First: by suspending a thoroughly washed algae biomass in 1 mM aqueous $AgN0_3$ solution. Second: by culturing them individually in culture media containing the same concentration of $AgN0_3$. Silver NPs were characterized using UV-Vis spectroscop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energy dispersive analysis (EDX)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FfIR) spectroscopy. The biosynthesized silver NPs were tested for cytotoxic activity against a cancer promoter cyanobacteruim Microcystis aeruginosa, considering effects on cell viability and chlorophyll content. Results: The surface plasmon band indicated the biosynthesis of silver NPs at ~400 n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revealed that the silver NPs had a mean average size below 100 nm. Energy-dispersive analysis X-ray (EDX) spectra confirmed the presence of silver element. FfIR spectral analyses suggested that proteins and or polysaccharides may be responsible for the biosynthesis of silver NPs and (-COO-) of carboxylate ions is responsible for stabilizing them. The toxic potentialities ofthe biosynthesized silver NPs against the cancer promoter cyanobacterium, Microcystis aeruginosa showed high reduction in viable cells count and the total chlorophyll content. Conclusions: The potential activity of the biosynthesized silver NPs from the studied algae species against Microcystis aernginosa cells is expected to be mainly mediated by the release of silver ions (Ag+) from the particle surface and bioactive compounds as indicated by FfIR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