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amine-T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초

Taxol 방사면역측정을 위한 $^{125}I-Iodotyraminehemisuccinyltaxol\;(^{125}ITHT)$의 제조 (Preparation of $^{125}I-Iodotyraminehemisuccinyltaxol\;(^{125}ITHT)$ for Competitive Taxol Radioimmunoassay)

  • 이태섭;오옥두;최태현;김현석;홍준표;이은숙;최창운;임상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1-132
    • /
    • 2002
  • 목적: Taxol(Paclitaxel)은 난소암과 유방암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치료시 적절한 체내 혈중농도를 유지함으로서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taxol의 혈중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실험에서는 taxol의 혈중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사면역측정시스템에 표지항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taxol 유도체의 방사성표지화합물을 합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방사면역측정법을 시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Taxol과 succinic anhydride를 무수 pyridine을 용매로 하여 반응시켜 hemisuccinyltaxol을 합성하고, 합성된 hemisuccinyltaxol과 tyramine을 isobutylchloroformate를 coupling agent로 사용하여 tyraminehemisuccinyltaxol을 합성하고 HPLC로 분리 정제 하였다. 산화제인 Chloramine-T($5.25mg/ml,\;10{\mu}{\ell}$)를 사용하여 tyraminehemisuccinyltaxol($4mg/ml,\;30{\mu}{\ell}$)에 $^{125}I(1\;mCi)$를 방사성요오드화하고 HPLC를 이용하여 표지수율을 산정하였다. 정제된 tyraminehenisuccinyltaxol과 $^{125}I-iodotyraminehemisuccinyltaxol$을 80% acetonitrile 수용액에 녹여 $4^{\circ}C$$37^{\circ}C$로 보관하면서, 각 시간대별로 화학적 순도와 방사 화학적 순도를 결정하여 그 안정도를 HPLC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125}I]Iodotyraminehemisuccinyltaxol$를 방사성표지항원으로 사용하여 taxol에 대한 단클론항체(3G5A7)의 역가를 검정하였으며, $0{\sim}100nM$ 농도범위에서 taxol 농도의 증가에 따른 표준투여응답곡선을 작성하였다. 결과: Hemisuccinyltaxol은 79.9%의 수율로 합성되었으며, tyraminehemisuccinyltaxol의 합성수율은 19.5%였다. $^{125}I-iodotyraminehemisuccinyltaxol$의 표자수율은 93%이었다. tyraminehemisuccinyltaxol은 7일까지도 96.5% 이상의 순도를 보여 비교적 안정함을 확인하였으며, $^{125}I-iodotyraminehemisuccinyltaxol$은 3일까지는 93.4% 이상으로 안정하였고 또한 7일 경과시에는 86.1% 이상의 순도를 보였다. taxol에 대한 단클론항체(3G5A7)의 역가를 검정하여 1:256의 역가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taxol 농도에 따른 표준투여응답곡선은 taxol과 방사표지 taxol 유도체간에 경쟁적으로 사용되어 직선성 (R2=0.971)을 나타내었다. 결론: taxol의 경쟁적 방사면역측정법의 방사성 추적자로서 방사성표지 taxol 유도체인 $^{125}I-iodotyraminehemisuccinyltaxol$을 이용한 방법이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혈중 대식세포 유주 저지 인자 측정을 위한 방사면역측정법 (Radioimmunoassay for Determination of Serum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 이태섭;신석환;송지인;우광선;정위섭;최창운;임상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32-539
    • /
    • 2004
  • 목적: 사람 대식세포 유주 저지 인자는 많은 감염성 질환에 의한 패혈증의 병인론과 숙주의 염증 및 면역 반응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은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의 혈중에서 대식세포 유주 저지 인자를 측정할 수 있는 방사면역측정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사람 대식세포 유주저지 인자에 대한 단클론 항체를 포획항체로, 비오틴화된 다클론항체를 검출 항체로 사용하였다. 사람 대식세포 유주 저지인자를 검출하기 위하여 스트렙타비딘에 $^{125}I$를 방사성추적자로 사용하고 재조합 사람 대식세포 유주저지인자를 이용하여 표준투여 응답곡선을 작성하였다. 스트렙타비딘에 $^{125}I$의 표지는 Chloramine-T법을 사용하고, 분리정제는 한외여과법을 사용하였다. $^{125}I$-스트렙타비딘의 안정성을 60일까지 평가하였다. 표지수율과 안정성은 ITLC법을 사용하였다. 방사면역측정법의 유용성은 intra- 와 inter-assay의 변이계수 측정, 재현도 및 희석 실험 등을 시행하였다. 결과: $^{125}I$-스트렙타비딘의 표지수율은 88%이었으며, 분리 정제된 $^{125}I$-SA의 방사화학적 수율은 99%였다. $^{125}I$-스트렙타비딘는 60일까지 93%의 안정성을 나타내어 방사면역측정의 방사성추적자로 사용하는데 적합하였다. 작성된 표준투여 응답곡선에서 재조합 사람 대식세포 유주 저지 인자의 농도와 결합된 $^{125}I$-스트렙타비딘의 방사능 값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2=0.99$). 가장 높은 intra-와 inter-assay의 변이계수 간이 각각 5.5%와 7.6%로 나타났다. 시료 내에서 평균 recovery 측정값은 102%였다. 시료의 농도 희석에 따른 방사능의 측정치는 직선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2=0.97$). 결론: 대식세포 유주 저지 인자의 농도 측정을 위하여 방사성추적자로 $^{125}I$-스트렙타비딘를 이용한 방사면역측정법을 확립하였으며, 이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염증성 질환을 가진 임상환자에서 대식세포 유주 저지 인자의 혈중 농도와 임상적 의의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호르몬 면역학적(免疫學的) 측정법(測定法)의 원리(原理)와 방법(方法) (The Principle and the Method of the Radioimmunoassay)

  • 창전방부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18
    • /
    • 1970
  • 호르몬의 면역학적(免疫學的) 측정법(測定法)은 내분비학적(內分泌學的)인 입장(立場)에서 가장 중요(重要)한 연구방법(硏究方法)의 하나이며, 또한 핵의학적(核醫學的) 입장(立場)에서도 방사성(放射性) 동위원소(同位元素)를 이용(利用)한 성체관내(誠體管內) 측정(測定)의 하나로 중요(重要)한 位置를 차지하고 있다. 이 방법(方法)의 일반원리(一般原理)는 방사성(放射性) 동위원소(同位元素)로 표지(標識)된 호르몬이 특정항체(特定抗體)에 대(對)하여 가역적(加逆的)으로 반응(反應)하고, 표지(標識)된 항원-항체(抗原-抗體) 복합체(複合體)를 형성(形成)하는데 근거(根據)를 두고 있다. 단일(單一) system내(內)에서 표지(標識)되지 않은 호르몬이 표지(標識)된 호르몬과 면역학적(免疫學的)으로, 특정항체(特定抗體)에 대(對)해 경합적(競合的)으로 작용(作用)하기 때문에, 실제적(實際的)으로는 일정량(一定量)의 표지(標識)된 호르몬과 일정량(一定量)의 항체(抗體)가 있는 조건(條件)하에서 미지성료(未知誠料)와 알려진 양(量)의 호르몬을 가진 표준(標準) 호르몬을 동시(同時)에 처리(處理)하여, 표준곡선(標準曲線)을 얻고, 여기에서 미지성료(未知誠料)의 흐르몬 양(量)을 추정(推定)하게 된다. 이때 경합적(競合的)으로 결합(結合)한 표지(標識)호르몬(bound form)과 결합(結合)하지 못한 표지(標識)호르몬(free form)을 분리(分離)하는 것이 필요(必要)하며, 전기영동법(電氣泳動法), 이중항체법(二重抗體法), solid phase법(法), 염석법(鹽析法) 및 효소(酵素)에 의한 단백소산법(消散法) 등이 이 목적(目的)을 위해 개발(開發)되어 있다. 이 중(中)에서 전기영동법(電氣泳動法)은 변성(變性)된 호르몬 및 유리(遊離)된 방사성옥소(放射性沃素)를 알 수 있는 특장(特長)이 있고, 이중항체법(二重抗體法) 등은 다수(多數)의 성료(誠料)를 처리하거나, 시간(時間)을 단축(短縮)시키는 이점(利點)이 있다 호르몬에 방사성(放射性) 동위원소(同位元素)를 부착(附着)시키는 데에는 $^{131}I$$^{125}I$가 주(主)로 쓰이나, 각기 장단점(長短點)이 있으며, 높은 방사성(放射性) 활성도(活性度)를 얻기 위해 chloramine-T 및 Na-metabisulfite를 사용하는 부착방법(附着方法)이 주(主)로 사용된다. 미량의 호르몬을 실제 측정(測定)하기 때문에 표지(標識)호르몬의 비방사능도(比放射能度)가 높을 필요성(必要性)이 있으며, 이 경우에는 방사능(放射能)에 의(依)한 흐르몬의 변성(變性)이 큰 문제점으로 등장하게 된다.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β-N-Acetylhexosaminidase from Rice Seeds

  • Jin, Yu-Lan;Jo, Yu-Young;Kim, Kil-Yong;Shim, Jae-Han;Kim, Yong-Woong;Park, Ro-Dong
    • BMB Reports
    • /
    • 제35권3호
    • /
    • pp.313-319
    • /
    • 2002
  • N-Acetyl-$\beta$-D-hexosaminidase ($\beta$-HexNAc'ase) (EC 3.2.1.52) was purified from rice seeds (Oryza sative L. var. Dongjin) using ammonium sulfate (80%) precipitation, Sephadex G-150, CM-Sephadex, and DEAE-Sephadex chromatography, sequentially. The activities were separated into 7 fractions($F_1-F_7$) by CM-Sephadex chromatography. Among them, F6 was further purified to homogeneity with a 13.0% yield and 123.3 purification-fold. The molecular mass was estimated to be about 52 kDa on SDS-PAGE and 37.4 kDa on Sephacryl S-300 gel filtration. The enzyme catalyzed the hydrolysis of both p-nitrophenyl-N-acetyl-$\beta$-D-hexosaminide (pNP-GlcNAc) and p-nitrophenyl-N-acetyl-$\beta$-D-hexosaminide (pNP-GalNAc) as substrates, which are typical properties of $\beta$-HexNAc'ase. The ratio of the pNP-GlcNAc'ase activity to the pNP-GalNAc'ase activity was 4.0. However, it could not hydrolyze chitin, chitosan, pNP-$\beta$-glucopyranoside, or pNP-$\beta$-glucopyranoside. The enzyme showed $K_m$, $V_{max}$ and $K_{cat}$ for pNP-GlcNAc of 1.65 mM, $79.49\;mM\;min^{-1}$, and $4.79{\times}10^6\;min^{-1}$, respectively. The comparison of kinetic values for pNP-GlcNAc and pNP-GalNAc revealed that the two enzyme activities are associated with a single binding site. The purified enzyme exhibited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pNP-GlcNAc of 5.0 and $50^{\circ}C$, respectively. The enzyme activity for pNP-GlcNAc was stable at pH 5.0-5.5 and $20-40^{\circ}C$. The enzyme activity was completely inhibited at a concentration of 0.1 mM $HgCl_$ and $AgNO_3$, suggesting that the intact thiol group is essential for activity. Chloramine T completely inhibited the activity, indicating the possible involvement of methionines in the mechanism of the enzyme.

에스트라디올 유도체의 합성, 표지 및 체내동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thesis, Labeling and Its Biodistribution of Estradiol Derivatives)

  • 김상욱;양승대;서용섭;전권수;안순혁;임수정;최창운;임상무;김영순;유국현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03-409
    • /
    • 2000
  • 목적: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불균질 분포와 시간 변화에 따른 수용체 상태의 변화 때문에 조직검사를 통한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생화학적 측정은 유방암을 진단하기에 충분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런 단점을 개선하고 좀더 나은 유방암의 진단을 위하여 E-$[^{123}I]$IVE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의 영상을 얻기에 적합한 방사성 추적자를 개발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여러 가지 에스트라디올 유도체 중에서 $17{\alpha}$-ethynyl estradiol로부터 $17{\alpha}-[^{123}I]$iodovinyl estradiol ($[^{123}I]$IVE)을 합성하였다. E-$[^{123}I]$IVE는 peracetic acid와 $[^{123}I]$NaI를 이용하여 합성하였고, Z-$[^{123}I]$IVE는 chloramine-T/HCl과 $[^{123}I]$NaI로 합성하였다. 표지수율은 TLC-scanner를 이용해 측정하였으며, 방사 화학적 순도는 HPLC로 측정하였다. E-$[^{123}I]$IVE의 체내 동태 연구는 immature female Fisher rate를 사용해 60분, 120분 그리고 300분에 측정하였다. 결과: E-$[^{123}I]$IVE와 Z-$[^{123}I]$IVE의 표지수율은 각각 92%와 94%이었고, 정제 후 방사 화학적 순도는 98% 이상이었다. E-$[^{123}I]$IVE의 최고섭취는 uterus에서 주사 120분 후에 관찰되었다(3.11%ID/g).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E-$[^{123}I]$IVE는 유방암환자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존재를 평가하는 진단시약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