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al hydrate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9초

아동의 비만도가 진정요법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obesity on pediatric conscious sedation)

  • 김지연;박성동;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2-69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의 비만도가 진정요법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자 중 ASA I 또는 II에 해당하는 40명의 환아 (평균연령 30.5개월, 평균신장 91.3cm, 평균체중 14.3kg)를 대상으로 chloral hydrate(60mg/kg) 및 hydroxyzine(25mg)을 사용하여 진정요법을 시행하였다. 환아의 체중과 신장을 이용하여 환아 각각의 비만도를 계산하였고 Broadsky's scale을 이용하여 편도선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진정요법에 대한 결과는 Houpt's scale(수면, 움직임, 울음, 전반적인 행동지수)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환아의 비만도는 진정효과중 움직임과 울음에 대하여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만들지 않았으나 비만도가 증가할수록 전반적인 행동지수가 유의하게 나빠지는 결과를 보였다.

  • PDF

Aspergillus nidulans에 있어서 체세포 재조합의 유발에 화학물질이 미치는 영향 (Induction of Mitotic Recombination by Chemical Agents in Aspergillus nidulans)

  • 송재만;강현삼
    • 미생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37-151
    • /
    • 1979
  • Germinating conidia of Aspergillus nidulans diploid heterozygous for color and other genetic markers were used to direct and distinguish genetic events such as mutation, mitotic crossingover and nondisjunction in a single test after treatment with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NG), mitomycin C(MC), and chloral hydrate(CH).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NG reduced the survival of conidia and increased the frequencies of miototic segregants about sevenfoli over the control ; among the mitotic segregants the predominant genetic event was mitotic crossingover. NG also produced many abnormal colonies, which appeared to be of the types caused by induced semidominant lethals or chromosomal aberrations, and the aneuploid types found spontaneously. 2. After treatment with MC the survival of conidia was reduced but few abnormal colonies were produced. The frequencies of miotic segregants were increased about threefold over the control ; in the mitotic segeregants the induced genetic event was mitotic crossingover. 3. CH gave no apparent effect on the survival of conidia and the frequencies of mitotic segregants. However, CH generated abnormal colonies, very greatly, which turned out to be of the aneuploid types. This result suggests that CH interferes with the normal distribution of chromosomes in mitosis.

  • PDF

Drug selection for sedation and general anesthesia in children undergoing ambulatory magnetic resonance imaging

  • Jung, Sung Mee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7권3호
    • /
    • pp.159-168
    • /
    • 2020
  • The demand for drug-induced sedation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cans have substantially increased in response to increases in MRI utilization and growing interest in anxiety in children. Understanding the pharmacologic options for deep sedation and general anesthesia in an MRI environment is essential to achieve immobility for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procedure and ensure rapid and safe discharge of children undergoing ambulatory MRI. For painless diagnostic MRI, a single sedative/anesthetic agent without analgesia is safer than a combination of multiple sedatives. The traditional drugs, such as chloral hydrate, pentobarbital, midazolam, and ketamine, are still used due to the ease of administration despite low sedation success rate, prolonged recovery, and significant adverse events. Currently, dexmedetomidine, with respiratory drive preservation, and propofol, with high effectiveness and rapid recovery, are preferred for children undergoing ambulatory MRI. General anesthesia using propofol or sevoflurane can also provide predictable rapid time to readiness and scan times in infants or children with comorbidities.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drugs as well as sufficient monitoring equipment are vital for effective and safe sedation and anesthesia for ambulatory pediatric MRI.

약물을 이용한 행동조절시 부가적인 아사화질소 흡입진정의 효과 (ADDITIONAL EFFECTS OF NITRUOS OXIDE TO OTHER SEDATIVE DRUGS FOR BEHAVIOR MANAGEMENT.)

  • 진영임;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937-945
    • /
    • 1996
  • Nitrous oxide has acquired widespread use as a tool for management of anxious and comprehensive pediatric dental patients. Clinical impressions have suggested that inhalation sedation with $N_2O/O_2$ reinforces the effect of other sedatives. Fifteen uncooperative children, mean age of 37months, who were regarded as fail in the first treatment using chloral hydrate-hydroxyzine orally, midazolam orally or intranasally, were sedated with the same sedatives in conjunction with $N_2O/O_2$. All the children were restrained in a pediwrap and were monitored with pulse oximeter for their heart rate and oxygen saturation. Degree of sleep, crying and movement were evaluated. The clinical results indicated that a satisfactory level of sedation was achieved in approximately two thirds of the cases (about 66 %) under those sedation manner. Complications were rare and those of treatments were successfully completed without difficulty.

  • PDF

합성유기질소 성분에서의 염소 소독부산물 생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Chlorination Byproduct Formation of Synthetic Nitrogenous Compounds)

  • 손희종;황영도;노재순;빈재훈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23-530
    • /
    • 2010
  • 14종의 합성유기질소 화합물들에서의 염소 소독부산물 생성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단위 DOC당 THM 생성능은 $Br^-$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3-aminobenzoic acid, 2-aminophenol, aniline, anthranilic acid 및 4-nitroaniline에서 높게 나타났다. 단위 DOC당 HAA 생성능 조사결과, $Br^-$ 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단위 DOC당 THM 생성능과 유사한 생성특성을 보였으나 특이하게 p-nitrophenol에서 가장 높은 생성능을 나타내었으며, 생성된 HAAFP의 대부분이 TCAAFP로 나타났다. 단위 DOC당 HAN 생성능은 3-aminobenzoic acid, 2-aminophenol, aniline 및 anthranilic acid에서 $Br^-$ 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높은 생성능을 나타내었고 다른 합성유기질소 화합물들에 비해 aniline에서 높은 생성능을 보였으며, 반응성이 높은 4종의 합성유기질소 화합물들에서 생성되는 HAN 구성종의 대부분은 DCAN으로 나타났다. 단위 DOC당 chloral hydrate와 chloropicrin의 생성능을 조사결과에서 3-aminobenzoic acid와 2-aminophenol에서 생성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적으로 10 $mg/{\mu}g$ 이하의 비교적 낮은 생성능을 보였다. 염소 소독부산물 생성능이 높은 6종의 합성유기질소 화합물들과 시판 humic acid에서의 $Br^-$ 첨가 유무에 따른 단위 DOC 당 총 DBP 생성능을 조사한 결과에서 $Br^-$를 첨가한 경우는 anilin e> anthranilic acid> 3-aminobenzoic acid> 4-nitroaniline> humic acid> p-nitrophenol> 2-aminophenol 순으로 나타났고, $Br^-$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는 anthranilic acid> aniline> p-nitrophenol> humic acid> 4-nitroaniline> 3-aminobenzoic acid> 2-aminophenol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aniline, anthranilic acid, 4-nitroaniline 및 p-nitrophenol의 경우는 염소와의 반응성이 아주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구진정 실패 후 피부 도포마취제를 사용한 정주진정으로의 전환 치료 (CONVERTING FROM ORAL SEDATION TO INTRAVENOUS SEDATION USING TOPICAL ANESTHETICS ON SKIN AFTER ORAL SEDATION FAILURE)

  • 이은희;김승오;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13-217
    • /
    • 2010
  • Chloral hydrate와 hydroxizine을 이용한 경구진정법은 적용대상의 나이와 체중에 따라 제한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경구 진정법은 36개월 미만, 체중 15 kg 미만의 환아에서 가장 좋은 진정 효과를 보인다. 그러나 36개월 이상 또는 15 kg 이상의 환아에 대해서는 경구진정법이 적절한 진정 효과를 얻는데 한계를 가지며, 얕은진정으로 인해 시술 중 잦은 움직임을 보여 쉽게 진정에 실패하게 된다. 진정 실패 시 고려 할 수 있는 대안은 추가적인 약제 투여로 인한 재진정의 유도나, 좀 더 깊은진정 법으로의 전환이 있다. 그러나 깊은진정법으로의 전환은 환아의 움직임과 동통의 감소를 위해 흡입마취제 및 마취기계가 요구되어 외래 진료실에서는 쉽게 선택되지 못한다. EMLA cream(Eutectic Mixture of Local Anesthesia)은 피부의 도포마취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약제로 본 증례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자극 없이 정주진정 경로를 확보하여 경구진정에서 정주진정으로의 전환에 성공하였다. 만 46개월, 체중 15 kg 남아가 다발성 우식을 주소로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일반적인 행동조절 하에 치료 권유하였으나 보호자의 요구에 의해 경구진정 시도하였으며, 경구진정 실패를 고려하여 복용 전 EMLA cream을 사전 도포하였다. 경구 복용 90분 경과 뒤에도 진정효과를 얻지 못하여 보호자의 동의하에 아산화질소를 이용하여 얕은진정 유도 후, EMLA cream 도포 부위에 정맥로를 확보하였다. 총 시술 시간 2시간 30분으로 특별한 부작용 없이 성공적으로 시술을 완료하였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의 진정법의 변화 양상 (The Changes of Sedation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 이고은;송제선;김성오;이제호;최병재;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54-161
    • /
    • 2018
  • 진정작용은 행동조절이 어렵고 광범위한 치료가 필요하거나 의학적 문제가 있는 어린이의 치과 치료에 유용한 행동조절 방식이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서 사용하는 진정제와 진정치료의 경향을 분석하여 진정법의 사용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11년 - 2016년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의 전자의무기록(EMR)을 바탕으로 환자 및 진정법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진정법으로 치료받은 환자들의 수가 일반적으로 증가했다. 남자가 여자보다 진정법을 이용한 치과 치료를 더 많이 받았으나 2015년부터는 유사한 비율로 적용되고 있다. 전신질환(ASA II) 환자의 치료 비율은 2013년에 감소했지만, 이후에는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4 - 5세 및 6 - 10세의 진정 치료 비율은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0 - 2세 및 11세 이상은 감소했다. 3세는 비교적 일정한 비율로 유지되고 있다. 가장 자주 사용되는 진정법은 아산화질소 흡입진정법이었으며, chloral hydrate의 사용이 감소하는 동안 benzodiazepine계열의 사용이 증가했다. 최근에는 행동관리 기법으로 진정법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안전한 사용을 위하여 다차원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으며, 진정제 사용의 안전성과 효능에 대한 추가 연구 역시 동반 수행되어야 한다.

진정요법사용에 관한 설문조사 (SEDATION PRACTICES IN DENTAL OFFICE : A SURVEY OF MEMBERS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최영심;심연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79-588
    • /
    • 1999
  • 치과에서 행해지는 진정요법이 안전하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환자에 대한 모니터가 필수적이다. 우리나라에서 소아치과의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진정요법에 관해 알아보고자 대한소아치과학회 회원 245명을 대상으로 1998년 10월 1일부터 1998년 12월 20일까지 진정요법의 사용여부 및 사용하는 진정요법의 빈도, 방법, 사용하는 약물, 용량 결정, 모니터 여부, 응급장비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설문지 응답자의 29%에서 진정요법을 이용하여 치료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설문지 응답자의 71%에서는 진정요법을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진정요법을 사용하는 사람 중 61%에서만 진정요법 치료시 모니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진정요법을 사용하는 사람의 39%에서는 진정요법 치료시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진정요법은 아산화질소-산소를 이용한 흡입진정요법이었다. 그 외에 경구 투여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약물은 chloral hydrate였다. 4. 진정요법을 사용하는 사람의 28%에서만 동의서를 작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 진정요법을 이용하여 치료를 한다고 응답한 사람의 60%에서만 응급장비를 구비하고 있으며, 응답자의 91%에서 응급처치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 PDF

진정법을 이용한 치과치료 시 편도선의 크기가 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LDREN'S TONSIL SIZE ON THE BEHAVIOR DURING PEDIATRIC DENTAL SEDATION)

  • 김현지;백광우;마연주;정영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38-34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진정법을 이용한 치과치료에서 소아환자의 편도선 크기가 진정법 중 환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진정법으로 치과치료를 받은 소아환자 35명의 진정기록지를 분석하였다. 진정법은 chloral hydrate 50 mg/kg, hydroxyzine 1 mg/kg를 경구투여하고, 치료 중 50% 아산화질소-산소 흡입 진정 및 필요에 따라 midazolam의 점막하투여(0~0.3 mg/kg)를 병행하는 방법으로 시행되었으며, 편도선의 크기는 Brodsky 분류법을 이용하여 4그룹으로 분류하였다. 환자의 진정 기록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진정법 중 행동 반응은 수면, 움직임, 울음, 전반적 행동 모두에서 편도선 크기가 클수록 낮은 지수(negative behavior) 를 보였다(p<0.05). 2. 편도선의 크기는 진정법 중 구호흡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으나(p<0.05), 진정법 중 코골이, 기침과는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p>0.05). 3. 편도선의 크기가 큰 환자일수록 midazolam의 점막하투여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음용 원수의 염소소독에 의한 소독부산물 생성패턴에 관한 연구 II (A Study on Formation Pattern of DBPs by Disinfection of Drinking Raw Water II)

  • 이강진;홍지은;표희수;박송자;유제강;이대운
    • 분석과학
    • /
    • 제17권1호
    • /
    • pp.69-81
    • /
    • 2004
  • 한강과 낙동강에서 채취한 원수에 염소소독제인 hypochlorite를 $10{\mu}g/mL$의 농도로 투여한 후 1시간 ~ 14일까지 TOC (total organic carbon), 잔류염소량 및 14종의 염소소독부산물 생성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TOC 및 탁도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잔류염소량은 한강에서 투여 후 1시간 경과 시 $6{\mu}g/mL$ 이상에서 14일째에 $1.23{\mu}g/mL$으로 감소한 반면 낙동강의 경우 3일 이후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7일 후 발생한 총 소독부산물의 농도는 한강의 경우 101.3 ng/mL (789.6 nM)이며 이 중 THMs (trihalomethanes)가 6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외에 HAAs (haloacetic acids, 19%), chloral hydrate(10%)가 검출되었으며, 낙동강의 경우 총 소독부산물의 농도가 98.4 ng/mL (678.6 nM)이며 이 중 HAAs가 5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외에 THMs (34%), HANs (haloacetonitriles, 5%) 및 chloropicrin등 질소화합물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이는 낙동강의 경우 한강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된 암모니아성 질소가 소독제인 염소와 반응하여 클로라민을 생성함으로써 염소에 의한 소독효과와 클로라민에 의한 소독효과를 함께 나타내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며 전체적인 소독부산물들의 생성비율 경향을 살펴보면 소독제의 종류에 따라 소독부산물의 생성패턴에 차이가 있으나 산성도가 큰 HAAs의 초기 생성농도가 높고 점차 THMs의 생성속도가 증가하였다.